체험형 전시 등 자율제조 위한 다양한 솔루션 선보여

우리의 업무와 생활 전반에서 인공지능(AI)가 광범위하게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제조AI에 대한 산업에서의 비전도 구체화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가운데 오는 6월 5일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는 ‘2025 자율제조 월드쇼’가 개최된다.
AI가 많은 영역에서 업무와 생활에서 편리성과 자동화를 통해 효율성, 효용성을 높이고 있다. 제조 현장에서도 산업에 특화된 AI 도입이 적극 추진되고 있다. 오히려 다른 산업분야 보다 실질적인 솔루션으로 구체화되어 가고 있는 중이다. 자동화를 넘어선 자율화로 가는 골목에서 제조AI가 그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의 개입이 없는 자율형 공장 혹은 자율생산 시스템 등을 구축하기 위한 수단이자 필수적인 요소 기술로는 현재 ‘디지털 트윈’과 ‘AI’가 꼽히고 있으며, 최근 정부에서도 두 기술에 관련된 정책적인 지원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에 오는 6월 5일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열리는 ‘2025 자율제조 월드쇼(AMWS, Autonomous Manufacturing World Show)’가 주목된다.
‘2025 자율제조 월드쇼’는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한국자율제조플랫폼협회, 서울테크노파크, 부산테크노파크, 대전테크노파크, 경남테크노파크, 전남테크노파크, 인더스트리뉴스, FA저널 Autonomous manufacturing이 공동주관하며, 중소벤처기업부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후원한다.
구체적으로 2025 자율제조 월드쇼는 자율제조 시스템의 핵심기술을 중심으로 6개 영역에서 컨퍼런스를 운영한다.
지능형로봇·스마트로지스틱스의 IRL, 스마트팩토리 제조생산 솔루션 컨퍼런스의 SFAC, 디지털트윈·모델링·시뮬레이션의 DMS, 스마트머신비전·AR· 3D프린팅의 MVA, 인공지능·빅데이터·머신러닝의 AIM, 스마트컨트롤·센서/예지보전의 SCS로 구성됐다. 올해도 AI, DX 글로벌 기술 혁신 기업과 전통적인 자동화 전문기업, 학계·연구기관까지 한데 어우러져, 참관객들에게 풍성한 볼거리와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6개 전문 영역에서 펼쳐지는 강연은 최근 업계에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로봇에서부터, AI, 디지털트윈 등 기술적 핫이슈가 다뤄진다.
오전에는 통합트랙 기조강연으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미쓰비시전기오토메이션, 인터엑스, 뉴로메카가 나서, 자율제조의 글로벌 트렌드 및 핵심기술과, OT 보안, 지능형 휴머노이드 등이 다뤄진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은 정부의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제조AI·스마트제조혁신 정책현황을 소개한다. 아울러 스누아이랩이 기조강연이 시작되기 전에 특별강연을 펼칠 예정이다.
오후 트랙강연에는 좀더 세부 주제로 들어가며, 참관객들은 관심 있는 강연을 찾아 들을 수 있다. 기업에서는 오전 기조강연을 맡은 뉴로메카, 인터엑스, 한국미쓰비시전기오토메이션을 비롯해 라온피플, 리쉐니에, 미라콤아이앤씨, 스누아이랩, 엠아이큐브솔루션, 에이디링크테크놀로지, 유비씨 등이 나서며, 학계·연구기관에서는 카이스트, 카이스트 제조AI빅데이터센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에서 강연한다.
주요 주제를 살펴보면 △제조산업의 생성형AI 활용방안 △탄소중립 제조를 위한 공정/에너지 최적화 전략 △미래 자율제조공정을 위한 디지털트윈 기반 소프트웨어정의공장 아키텍쳐 △생산제조의 혁신 : 디지털트윈과 AI 자율제조(예 : 이차전지제조장비) △지능형 자동화 플랫폼 △자율제조를 위한 사이버물리시스템 △자가구축형 자율제조 위한 자율제어가속기 구축과 활용 등이 펼쳐진다.
컨퍼런스장에서의 강연과 동시에 로비 부스에서는 기업들의 솔루션 등이 전시되며, 참관객들은 자율제조 관련 다양한 솔루션 체험 기회도 마련된다. 강연에 나서는 기업 이외에도 버넥트, 여의시스템, 크로이스, 와이드티엔에스, 애플제조업R&D지원센터가 부스를 꾸렸다. 이외에도 생산 구축 바이어 상담회, 공급기업 및 수요기업을 위한 금융지원 상담관 등을 운영해 실질적인 정보 교류는 물론 비즈니스 매칭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