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2025 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 개최… 인간과 AI가 함께 도출한 12대 유망기술 공개
‘인류세’ 시대 기후위기 대응, AI 기반 분석체계로 ‘탈동조화’ 성장 전략 모색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하 KISTI)이 오는 11월 6일 서울 코엑스에서 제20회 ‘2025 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를 개최한다. 20년간 국내 과학기술 및 산업 트렌드의 방향을 제시해 온 이 컨퍼런스는, 올해 ‘기후위기’라는 인류 공통의 난제를 정조준한다.
하지만 KISTI가 주목하는 것은 위기 자체가 아니다. 바로 ‘기후위기 대응 미래유망기술(Human & AI United for Climate Action)’이라는 주제처럼, 기후위기를 새로운 성장의 기회로 전환할 첨단 과학기술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인간의 통찰력과 AI의 예측력, 융합의 현장
이번 컨퍼런스가 특히 주목받는 핵심 이유는 바로 ‘방법론’에 있다. KISTI는 세계적인 예측 정확도를 자랑하는 ‘지능형 미래분석체계’를 구축했다.
이번에 발표되는 미래 예측은 단순한 전문가의 감(感)이 아닌, 이 AI 시스템이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물에 전문가의 깊이 있는 통찰을 결합해 도출한 것이다.
기조강연은 ‘인류세(Anthropocene)’의 개념을 대중에게 알린 박정재 서울대학교 교수가 맡아, 인간의 활동이 지구 환경을 결정하는 시대의 대응 과제를 제시한다.
AI가 지목한 12대 기술과 10대 사업 아이템
컨퍼런스의 하이라이트는 KISTI의 분석 모델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찾아냈는지 공개하는 세션들이다.
김소영 KISTI 미래기술분석센터장은 ‘PROJECT EARTH : 기후전환을 이끄는 미래유망기술’ 발표를 통해 KISTI의 ‘AI 기반 미래기술예측 모델’로 도출한 ‘기후 전환을 이끄는 미래유망기술 12선’을 발표한다. 여기에는 △고효율 태양광 열병합 발전 기술 △광촉매 이종접합 기반 친환경 에너지 전환 기술 △지속가능한 대체육 기술 △기후변화 대응 가뭄 모니터링 및 예측 기술 등이 포함된다.
기술(R&D)에 그치지 않고, 당장 시장에서 주목해야 할 사업 아이템도 제시된다. 윤성욱 KISTI 기술사업화연구센터 팀장은 ‘기후테크 유망 사업화 아이템 10선’을 공개한다. △수소 무역의 핵심인 암모니아 크래킹 △이산화탄소로 연료를 만드는 전자 연료(E-fuel) △산업 부산물 기반 혼합재 시멘트 등이 그 예다.
이 외에도 유가영 경희대 교수의 ‘자연 기반 해법(NbS)’, 조헌혁 LG CNS 단장의 ‘데이터센터 에너지 효율화’, 권태훈 KISTI 팀장의 ‘UN SDG 관점의 한국 R&D 현주소’ 분석 등 구체적인 전략이 논의된다.
KISTI 이식 원장은 “과거 경제 성장은 에너지 사용과 온실가스 배출 증가를 동반했지만, 이제 첨단기술을 통해 급속한 경제성장 속에서도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탈동조화’의 기회가 열리고 있다”고 설명하고, “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를 통해 기후위기를 위협이 아닌 새로운 기회로 전환하는 계기를 만들고자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