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e

    CSRmesh™ 홈오토메이션, 스마트홈 사물인터넷 구현 기술로 최적화

    조명 제어를 넘어 사물 인터넷에 최적화되어 Bluetooth® Smart와 결합된 CSR의 혁신적인 Mesh 프로토콜
    CSR(http://www.csr.com)은 난방, 환기, 에어콘, 출입문 잠금 장치, 창문 여닫힘 센서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한 CSRmesh™ 2.0 홈 오토메이션을 발표했다.
    CSRmesh 홈 오토메이션은 기존 개발 예제로 제공해 왔던 스마트폰, 태블릿 뿐 아니라PC,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기기로도 제어가 가능하며, 센서(sensor)와 액튜에이터(actuator)가 장착된 Bluetooth Smart 기기들을 간단하게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 있다.
    작년 최초로 발표된CSRmesh 프로토콜의 초기 버전은 조명 제어에 최적화 되어 있었다. CSR은 CSRmesh 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추가, 확장하여 홈 오토메이션, IoT(사물인터넷) 등을 위해 고객들이 Mesh 네트워크에 추가하고 싶은 다양한 센서 또는 액튜에이터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CSRmesh™ 홈 오토메이션, 가정 내에서 간결하고 원활한 제어 및 연결 제공
    CSRmesh™ 홈 오토메이션, 가정 내에서 간결하고 원활한 제어 및 연결 제공

    CSR의 앤서니 머레이(Anthony Murray) 비즈니스그룹 수석 부사장은 “우리의 Mesh 프로토콜은 이미 사물인터넷에 흥미로운 기능을 더했고 우리의 고객은 설정과 사용이 쉬운 스마트 조명 솔루션을 시장에 출시하고 있다”며 “우리가 내놓은 새로운 버전은 스마트 홈 개발자를 위한 효과적이고 안정적이며 확장이 가능한 홈 오토메이션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CSRmesh는 CSR의 CSR101x™ 제품들을 포함한 검증된Bluetooth Smart 칩셋솔루션들로 제품화할 수 있고, 관련 소프트웨어가 함께 제공하고 있다. 이는 Bluetooth Smart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내의 다른 기기들에 패킷 릴레이 방식으로 메시지를 보내고 전달한다. 전송 프로토콜의 직관성을 통해 일반 사용자들은 초기 제품 등록 과정을 제외한 복잡한 설정, 페어링 등이 필요치 않으며, 라우터, 브리지와 같은 별도의 장치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CSRmesh 기술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혹은 웨어러블기기들을 통한 제어뿐만 소비자들이 보다 쉽게 이용 가능한 형태인 스위치나 제어 패널 같은 범용의 제어 장치도 컨트롤러로서 사용될 수 있다.
    CSR의 최근 시장조사에 따르면 고객들이 ‘스마트 홈’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예를 들어, 72%의 응답자는 방에 들어가는 것에 반응하여 자동으로 전원이 켜지고 꺼지는 조명 기기를 원했다. 예컨대, 이러한 기능은 CSRmesh를 지원하는 조명 스위치에 적외선 (IR) 센서를 통한 물체 움직임의 감시를 통해 구현 가능하다. CSR 은 최근 Mesh 프로토콜을 통해 직접적인 제어하는 방식 이외에도 클라우드 네트워크(cloud network)를 통한 원격 감시, 제어를 위한 솔루션을 소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멀리 출장 또는 여행 중에도 문이나 창문이 열려 있는지, 집안의 가전이 켜져 있는지, 화재 경보기가 꺼져 있는지 등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CSRmesh 홈 오토메이션 솔루션은 칩에서 클라우드까지 개발 지원을 통해 언제, 어느 곳에 있어도 가정 내의 다양한 기기들을 원격으로 제어하고 통제할 수 있다.
    CSR은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블루투스 스마트 Mesh Protocol의 표준화를 위하여 블루투스 특별 이익 단체(SIG)의 블루투스 Smart Mesh 스터디 그룹 내에서도 관련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앤서니 머레이는 “CSR은 사물인터넷 개발 지원에 힘쓰고 있다. 또한 모든 호환성 기기들의 상호 운용성을 강화하고 시장 성장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막기 위해 블루투스 SIG에서 표준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전했다.
    CSRmesh 홈 오토메이션 지원 가능한 소프트웨어 버전은 2015년 2분기에 출시할 예정이다. 개발자들은 CSRmesh 관련 안드로이드와 iOS 소스 코드를 비롯하여 CSRmesh 개발 키트를 이미 이용할 수 있으며, 향후 출시될 홈 오토메이션 관련 기능들 또한 현재의 개발 키트를 사용하여 개발할 수 있다.
    아이씨엔 오윤경 기자 news@icnweb.co.kr

    ASI
    오윤경 기자
    오윤경 기자http://icnweb.co.kr
    아이씨엔매거진 온라인 뉴스 에디터입니다. 오토메이션과 클라우드, 모빌리티, 공유경제, 엔지니어 인문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는 아래 이메일로 주세요. => news@icnweb.co.kr
    K-BATTERY Show
    •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오토모션
    K-BATTERY SHOW 2024

    Related articles

    키사이트, 엔비디아 6G 리서치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AI 연구 협업

    키사이트가 엔비디아 6G 리서치 클라우드 플랫폼 솔루션 파트너로 선정됐다

    코보, 5G 매시브 MIMO 프리 드라이버 출시

    코보(Qorvo)는 3.5GHz에서 39dB의 이득을 제공하고 +29dBm의 피크 전력을 달성하는 프리 드라이버를 출시한다

    노르딕, 시스벨의 셀룰러 IoT 표준특허 라이선스 계약.. 0.66$를 0.08$로 제공

    노르딕은 LTE-M 및 NB-IoT 셀룰러 기술에 대한 SEP(표준특허) 라이선스를 위해 시스벨(Sisvel)과 새로운 계약을 체결했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오토모션
    오토모션
    오토모션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