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e

    지능형 사물인터넷 적용 확산 대표 7대 과제 본격 추진

    국민체감과제(3개); 실내공기질 관리, 재활치료, 지역시설물 관리 등
    선도서비스(4개); 신재생에너지, 저온유통 관리, 예측정비, 비대면 공연 등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하 ‘NIPA’)은 디지털 뉴딜의 일환으로 국민체감 성과를 창출하고, 선도적 서비스모델을 발굴하기 위해 지능형 사물인터넷 적용 확산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5년(’16년~’20년)간 400억(116개 과제)을 투자하여 사물인터넷 분야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나 혁신 역량을 보유한 중소・중견기업을 육성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지난 5년간 사물인터넷 공급기업이 연평균 5% 이상 증가하여 2,502개(’20년 기준)가 되었고, 국내 사물인터넷시장도 연평균 20% 이상 성장하여 약 13조 4,637억원(’20년 기준) 규모가 되는 등 성과가 있었다.

    올해부터는 개인・소상공인, 디지털 건강관리, 에너지, 물류・교통, 제조의 5개 전략분야 중심으로 7개 대표 과제를 집중지원하기로 했다.

    올해 상반기 과제 공모를 통해 총 300여개 이상 기관이 참여하는 60개 연합체의 신청을 받았고, 신속한 성과 확산을 위한 지역연계 등을 고려하여 7개 과제를 최종 선정하였다.

    7개 과제는 지역연계 국민체감과제 3개(60억원), 생산성 혁신을 위한 선도서비스 4개(80억원)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능형 사물인터넷 기반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
    지능형 사물인터넷 기반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

    지역연계 국민체감과제(3개 과제, 60억원)

    ① 지능형 사물인터넷 기반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개인·소상공인 지원)

    실내외의 감지기가 공기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인공지능이 공기살균기, 환기시스템, 공기청정기를 제어하여 실내공기질을 자동으로 관리한다. 특히, 사용자 공간과 상황에 최적화된 운전패턴을 제공하여 효과적으로 실내공기를 개선할 수 있으며 고양시와 연계하여 요양원, 경로당, 어린이집, 행정복지센터 등 140개 수요처에 적용 및 확산할 예정이다.

    ② 사물인터넷 적용 가상현실/증강현실 재활치료시스템(디지털 건강관리)

    사물인터넷 적용 가상현실/증강현실 재활치료시스템은 뇌졸중환자, 고령자, 외상성 뇌손상환자 등 취약한 재활환자를 위한 서비스이다. 손바닥만한 크기의 비접촉식 레이더센서와 동작인식 센서가 재활환자의 심박, 호흡, 움직임, 자세 등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공지능이 환자가 필요한 재활운동의 종류, 시간 강도 등을 계산하여 맞춤형 가상현실.증강현실 재활콘텐츠를 추천한다.

    고령층 등의 안전하고 재미있는 재활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요양병원이나 지역케어센터 등에 적용되어 효과적인 재활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③ 지능형 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한 다중이용시설 통합관제 서비스(안전관리)

    다중이용시설의 수해, 화재 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건물 내 기계장치, 전기실, 발전기, 저류조 등에 센서를 설치하여 주요 시설의 온도, 소음, 전력사용량 등을 측정하고 인공지능이 이상징후를 파악한다. 또한 지능형 순찰로봇이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현장에 접근하여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등 초기진압을 지원한다. 이 서비스는 충북개발공사와 연계하여 충북연구원, 충북기업진흥원, 청주밀레니엄타운에 구축된다.

    생산성 혁신을 위한 선도서비스(4개 과제, 80억원)

    ① 인공지능 반자율운전 신재생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에너지)

    반자율운전 신재생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은 저수지, 육상 양식장 등에 적용될 수 있는 소수력 발전기 반자율운전 시스템이다. 소수력 에너지는 낮은 낙차에서도 발전이 가능한 신재생 에너지로 900여개 이상의 양식어가(’15년 기준)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나, 전체 발전량의 0.12% 수준에 불과한 등 확산이 제한적이었다.

    기존에는 호우, 강풍, 수위상승 등이 있을 경우, 사람이 수동으로 발전기를 정지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급작스러운 상황에서 발전 시스템이 손상되는 등 소수력 발전의 경제성이 저평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지원되는 시스템은 내외부 센서가 설치된 발전기가 기상상황과 발전기 상태 등을 파악하고, 인공지능이 상황에 따라 가동을 멈추는 등 발전기를 자동으로 보호하기 때문에 발전효율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② 지능형 사물인터넷 통합 저온 유통 서비스(물류・교통)

    저온 유통 기반(물류 창고, 차량, 박스)에 감지기를 설치하여 온・습도, 진동 등을 모니터링하고, 인공지능이 사고 발생 전에 고장 상황을 예지하는 서비스이다. 기존에는 온도이탈 사고가 발생한 이후에 사후대처가 이루어졌으나, 이 서비스를 통해 사전대비를 통한 콜드체인 유지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과제의 주관기관은 본 과제의 일환으로 질병관리청과 ‘코로나 백신 저온 유통 중앙관제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안전한 백신 보관·관리를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③ 중소장비 제조기업용 예측정비 서비스(제조)

    도색 불량률과 직접 관련된 에어콤프레셔 등 제조장비에 감지기를 부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공지능이 장비고장 이전에 이상징후를 예보하는 서비스이다. 제조장비 고장에 따른 공정불량, 장비수리를 위한 제조중단과 생산차질 발생을 예방하여 생산성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④ 지능형 사물인터넷 로보틱 악기 등 기반 비대면 공연장(엔터테인먼트)

    인공지능이 사용자 취향을 분석해서 음악을 선곡하면 로봇공학사물인터넷이 피아노, 드럼, 기타, 베이스 등을 직접 연주하여 음악을 들려주는 새로운 문화기술 서비스이다.

    과기정통부 홍진배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최근 사물인터넷은 인공지능과 5세대 이동통신(5G) 등과 융합하여 사물지능으로 진화하면서 코로나 이후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고, 디지털 뉴딜의 성공적 안착을 지원하는 주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고 밝히고, “이번 대표 과제를 통해, 지능화된 사물인터넷이 우리의 삶을 바꾸고 에너지, 제조 등 다른 융합산업의 생산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의미있는 성과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ASI
    오승모 기자
    오승모 기자http://icnweb.kr
    기술로 이야기를 만드는 "테크 스토리텔러". 아이씨엔 미래기술센터 수석연구위원이며, 아이씨엔매거진 편집장을 맡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데이터에 기반한 혁신 기술들을 국내 엔지니어들에게 쉽게 전파하는데 노력하는 중입니다.
    K-BATTERY Show
    •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오토모션
    K-BATTERY SHOW 2024

    Related articles

    원프레딕트, 하이텍앤솔과 AI 기반 산업설비 예지보전 사업 MOU 

    원프레딕트(윤병동 대표, onepredict.ai)가 설비 관리 시스템 전문기업 하이텍앤솔과 AI 기반 산업설비 예지보전 사업 제휴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노르딕, 시스벨의 셀룰러 IoT 표준특허 라이선스 계약.. 0.66$를 0.08$로 제공

    노르딕은 LTE-M 및 NB-IoT 셀룰러 기술에 대한 SEP(표준특허) 라이선스를 위해 시스벨(Sisvel)과 새로운 계약을 체결했다

    [기고] 미래 전력망을 위한 셀룰러 IoT

    셀룰러 IoT는 미래의 전력망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K-BATTERY SHOW 2024
    K-BATTERY SHOW 2024
    K-BATTERY SHOW 2024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