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13일, 목요일

데이터뉴스

Home미디어공장데이터뉴스

AI·자동화가 주도하는 아태지역 에너지 전환 가속화

ABB 설문조사 결과, 한국은 AI와 자동화, 그리고 아태 평균을 웃도는 디지털화 투자를 통해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AI가 부른 반도체 투자 랠리, 3년간 3,740억 달러

SEMI 보고서에 따르면 AI 칩 수요 급증과 공급망 현지화 추세에 힘입어, 2028년까지 3년간 글로벌 300mm 팹 장비 투자액이 3,740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 goto Mobility Times ―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pot_img

AI·자동화가 주도하는 아태지역 에너지 전환 가속화

ABB 설문조사 결과, 한국은 AI와 자동화, 그리고 아태 평균을 웃도는 디지털화 투자를 통해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More News

AI·자동화가 주도하는 아태지역 에너지 전환 가속화

ABB 설문조사 결과, 한국은 AI와 자동화, 그리고 아태 평균을 웃도는 디지털화 투자를 통해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AI가 이끄는 웨이퍼 시장, 2028년 ‘역대 최고’ 온다

SEMI는 2025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전년 대비 5.4%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AI가 부른 반도체 투자 랠리, 3년간 3,740억 달러

SEMI 보고서에 따르면 AI 칩 수요 급증과 공급망 현지화 추세에 힘입어, 2028년까지 3년간 글로벌 300mm 팹 장비 투자액이 3,740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Explore more

국내 퍼블릭 IT 클라우드 시장, 2025년에 3조 8900억원까지 성장한다

국내 퍼블릭 IT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이 연평균 14.8%의 연평균 성장을 통해 오는 2025년에는 8952억원까지 확장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지브라, “물류창고 현대화에 적극 나서야 할 때”

물류창고 운영자들이 고객과 근로자 모두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인력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전세계 반도체 장비 지출액, 15% 증가해 1,175억 달러 전망

SEMI가 개최하는 세미콘 웨스트 2022 행사에서 진행된 발표에 따르면 전 세계 반도체 장비 지출액은 1,175억 달러로 2021년의 1,025억 달러 대비 14.7%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지역 제조사, 스마트 제조 솔루션에서 미래를 찾다

아시아 지역 제조업체들은 다른 지역보다 글로벌 팬데믹으로 인한 어려움을 스마트 제조 솔루션을 통해 극복해 나가고자 하는 생각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설계 엔지니어, “빠른 설계 주기에 대규모 설계팀으로 대응한다”

지난 3~5년 동안 설계 도구, 기술 혁신, 새로운 설계 방법론이 개선되었으며, 이로 인해 업무에 투입되는 노력은 간소화됐다.

블루투스 기기, 5년내 70억대 돌파… 블루투스SIG 리포트

블루투스 기술 적용 사례와 더불어 블루투스 기술이 광범위한 시장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되고 있는 가운데, 업계에서 블루투스의 영향력이 더욱 커지고 있는 중이다. 이에 불루투스 기술이 탑재된 디바이스 기기의 연간 출하량이 5년내에 70억대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자동차, 바퀴달린 데이터센터로의 새로운 변신

디지털 기술 채택이 점차 늘어나면서 차세대 자동차에서도 새로운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자동차가 이제는 소프트웨어, 스토리지, 연결성 및 컴퓨팅 능력 등의 강력한 채용을 통해 '바퀴달린 데이터센터'로서의 역할도 담당하게 될 것이란 전망이다.

지속가능성을 위한 아태지역의 ESG 주요 10대 전망

한국IDC가 최근 2022년 이후의 미래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주요 10대 전망을 실은 보고서를 발간했다.

세계 2021년 반도체 장비 시장, 1000억 달러 돌파 전망

SEMI는 올해 반도체 장비 시장은 전공정 장비 및 후공정 장비 모두에서 성장세가 이어져 1,000 억 달러를 넘어서는 큰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러한 성장세는 내년에도 이어갈 전망이다. 

[데이터] 규제자유특구 지정 현황

정부는 지난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총 4차례에 거처 규제자유특구를 지정했다.

우리나라의 자동화는 세계 몇 위?

국제로봇연맹(IFR: 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이 최근 최신 세계 자동화 통계에 따른 순위를 발표했다. 이에 의하면 세계에서 가장 자동화가 잘 된 나라는 싱가포르이며 한국이 뒤를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오토모션
A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