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지기만 있었어도”… 잇따른 질식사에 가스트론 ‘VENTIS MX4’ 시연
김영훈 노동부 장관 “공감, 제도화 준비”… ‘안전기기 의무화’ 더는 미룰 수 없습니다
[아이씨엔 우청 기자] 올해에만 15명이 밀폐공간에서 질식해 숨졌습니다. 바로 최근, 경주 아연 제조 공장 정화조에서 근로자 3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이처럼 끔찍하고 안타까운 사고는 왜 반복되는 것입니까?
지난 10월 30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고용노동위원회 국정감사장에서 이 문제가 정면으로 다뤄졌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박홍배 의원은 “공기 중 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가스감지기만 있었다면 방지할 수 있는 사고”라며 참담한 현실을 지적했습니다.
말뿐인 지적이 아니었습니다. 박 의원은 곧바로 휴대용 가스감지기 시연을 진행했습니다. 국정감사장에 등장한 이 기기는 국내 가스감지기 전문기업 제품입니다. 작업자가 휴대하며 산소 농도나 유해가스 누출을 실시간 감지가 가능한 장비입니다.

기술은 있는데, 왜 현장은 없습니까?
시연의 핵심은 단순한 경보음이 아니었습니다. 박 의원이 자신의 감지기에서 알람을 발생시키자,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니고 있던 동일 제품이 즉각 상호 통신하며 반응했습니다. 한 작업자의 위험이 즉시 동료 모두의 위험 신호로 공유되는, 현장에서 반드시 필요한 ‘네트워크 안전망’ 기술입니다.
기술은 이미 여기에 있습니다. 국내 기업이 이런 첨단 안전기기를 생산할 여건도 갖추고 있습니다. 문제는 ‘제도화’입니다. 박 의원의 촉구처럼, ‘있으면 좋은’ 선택 사항이 아니라 ‘없으면 안 되는’ 의무 사항으로 만들어야 할 때입니다.
이에 김영훈 장관은 “공감한다”며 “R&D로도 접근해야 할 것 같다. 체계적으로 준비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장관의 공감과 준비 약속은 환영할 일입니다.
하지만 ‘체계적인 준비’가 또 다른 비극을 막을 만큼 신속해야 함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R&D를 통한 기술 고도화도 중요하지만, 당장 ’15명’의 생명을 앗아간 것은 첨단 기술의 부재가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기본 안전 장치의 부재였습니다.
국감장에서 울린 경고음은 가스감지기의 알람 소리만이 아니었습니다. 이는 ‘안전 불감증’과 ‘제도 미비’라는 우리 사회의 질식 상태를 고발하는 경고음이었습니다. 정부는 ‘체계적 준비’라는 답변의 무게를 안고, 하루빨리 현장의 노동자들이 안전하게 숨 쉴 권리를 제도화해야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