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12일, 수요일

일본 첨단 소재, 미래 산업 판도 바꿀까?

11월 日 ‘고기능 소재 위크’ 개최
첨단소재·광학·재활용 기술 총망라, 글로벌 혁신 조망

일본 고기능 소재 위크
일본 고기능 소재 위크 이미지

미래 산업의 핵심 경쟁력으로 꼽히는 첨단 소재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장이 열린다. 세계 최고 수준의 소재 기술이 집결하는 ‘고기능 소재 위크 2025’가 오는 11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일본 마쿠하리 메세에서 개최된다.

올해 행사에는 1,050개 이상의 기업이 참가해 수만 건의 첨단 기술을 선보일 예정으로, 소재 과학과 광학, 지속가능한 제조 혁신을 아우르는 글로벌 기술 교류의 허브가 될 전망이다. 특히 이번 전시회는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일본의 고기능 소재 기술력과 자원 효율성을 높이는 재활용 기술을 집중 조명한다.

전시회는 △FILMTECH JAPAN △PLASTIC JAPAN △METAL JAPAN △CERAMIC JAPAN 등 총 8개의 전문 전시회를 통해 일본 소재 기술의 저력을 보여준다. 셀룰로오스 기반 신소재, 경량 탄소섬유 복합재, 고내열·내화학성 플라스틱, 고기능 필름 등은 전자, 자동차, 항공우주, 헬스케어 등 첨단 산업의 성능을 한 단계 끌어올릴 혁신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기후 위기 대응이 글로벌 과제로 떠오르면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Sustainable Material Expo’에서는 바이오 플라스틱, 무용제 공정 등 친환경 제조 기술이 소개돼 탄소 중립을 고민하는 전문가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것으로 보인다. 츠치야 카츠토시 전시회 사무국장은 “이번 전시회에서 주목받는 일본의 고기능 소재와 첨단 재활용 기술은 미래지향적이면서도 현재 산업 현장에 즉시 적용 가능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행사는 광학 기술을 다루는 ‘Photonix Tokyo’,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의 각축장인 ‘FINETECH JAPAN’, 순환 경제 기술을 선보이는 ‘Recycle Tech Japan’과 동시에 개최되어 시너지를 극대화한다. 레이저 가공, OLED·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AI 기반 폐기물 분류 솔루션 등 각 분야의 최신 기술이 융합되어 산업 혁신을 가속할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기능 소재 위크’는 R&D, 구매, 제품 디자인, 제조 등 관련 산업 분야 전문가들에게 수천 건의 혁신 기술을 직접 체험하고 실질적인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할 수 있는 최적의 플랫폼이다. 관련 분야 종사자는 무료로 참관할 수 있으며, 자세한 정보는 공식 웹사이트(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IO-Link Wireless
SourceRX Japan
오윤경 기자
오윤경 기자http://icnweb.co.kr
아이씨엔매거진 온라인 뉴스 에디터입니다. 오토메이션과 클라우드, 모빌리티, 공유경제, 엔지니어 인문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는 아래 이메일로 주세요. => news@icnweb.co.kr
ACHEMA 2027
fastechEcat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fastechEcat
오토모션

Related articles

AR 글래스, ‘어플라이드-GF’ 연합군이 띄운다

재료공학 솔루션 기업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가 반도체 제조사 글로벌파운드리(GF)와 협력하여, AI 시대의 핵심 기술인 포토닉스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GF 싱가포르에 최첨단 웨이브가이드 제조시설을 구축한다

하니웰 CEO, “항공우주-자동화-첨단소재 3개 부문으로 분할한다”

하니웰(Honeywell)의 CEO는 하니웰 그룹 전반에 걸친 포트폴리오 간소화 및 전략 검토를 완료하고, 1)자동화, 2)항공우주, 3)고급소재 사업 부문으로 사업 분할을 단행한다고 밝혔다

키사이트, 실리콘 포토닉스 웨이퍼 생산 가속화 지원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가 반도체 제조업체들이 안정적이고 반복 가능한 테스트 기능으로 실리콘 포토닉스 웨이퍼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키사이트 PathWave Semiconductor Test 소프트웨어 기술에 새로운 NX5402A 실리콘 포토닉스 테스트 시스템을 통합했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K-BATTERY_SHOW 2025
fastechEcat
오토모션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