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12일, 수요일

반도체 장비 시장 ‘고공행진’, AI가 이끌었다

2025년 2분기 매출 330억 달러, 전년比 24%↑
첨단 로직·HBM 수요가 성장 견인

2025년도 2분기 반도체장비 시장
2025년도 2분기 반도체장비 지역별 시장 현황 (source. SEMI)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 협회인 SEMI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전 세계 반도체 장비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한 330억 7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 분기 대비 3% 증가한 수치다.

이번 성장은 첨단 로직 공정과 고대역폭 메모리(HBM)에 대한 수요 확대, 그리고 아시아 지역으로의 출하량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SEMI의 아짓 마노차(Ajit Manocha) CEO는 “2025년 상반기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은 65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며 2024년의 강력한 성장세를 이어갔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AI 혁신을 이끄는 첨단 로직 및 메모리 생산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별 공급망 회복력을 제고하기 위한 투자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발표는 SEMI와 일본반도체장비협회(SEAJ)가 회원사로부터 제출받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된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 통계 리포트(WWSEMS)’에 따른 것이다.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ASI
SourceSEMI
오승모 기자
오승모 기자http://icnweb.kr
기술로 이야기를 만드는 "테크 스토리텔러". 아이씨엔 미래기술센터 수석연구위원이며, 아이씨엔매거진 편집장을 맡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데이터에 기반한 혁신 기술들을 국내 엔지니어들에게 쉽게 전파하는데 노력하는 중입니다.
ACHEMA 2027
fastechEcat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오토모션
fastechEcat

Related articles

AI·자동화가 주도하는 아태지역 에너지 전환 가속화

ABB 설문조사 결과, 한국은 AI와 자동화, 그리고 아태 평균을 웃도는 디지털화 투자를 통해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AI가 이끄는 웨이퍼 시장, 2028년 ‘역대 최고’ 온다

SEMI는 2025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전년 대비 5.4%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칼럼] AI의 심장을 쥔 젠슨 황, 경주 APEC서 ‘GPU 공급망’ 새판 짜기 시사

엔비디아 CEO, 국내 '26만 장 GPU 공급' 발표 삼성·SK하이닉스와 차세대...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fastechEcat
fastechEcat
오토모션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