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6일, 일요일

[안내]실무자를 위한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기술 집중교육 세미나 개최.. 세미나허브

2024년 1월 10일, EV 폐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공정 기술 및 향후 전망 논의

실무자를 위한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기술 집중교육 세미나

세미나허브가 주최하고 아이씨엔과 배터리다이브가 후원하는 ‘실무자를 위한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기술 집중교육 세미나’가 오는 2024년 1월 10일 서울에서 개최된다.

미국, EU 등 주요국들이 탄소중립 달성의 일환으로 폐자원 순환 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라 폐배터리 재활용 비율을 확대중이다. EU는 2031년부터 배터리 핵심 원료인 리튬·코발트 등에 대한 재활용을 의무화하는 ‘지속 가능한 배터리 법’을 통과시켰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전기차 폐차 대수는 2025년 56만 대, 2035년 1,784만 대, 2040년 4,277만 대 등으로 증가할 전망이고 글로벌 폐배터리 시장 역시 매년 증가해 오는 2025년 208억 달러, 2040년 2,08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리서치앤마켓스닷컴은 지난 4월 보고서에서 전 세계 블랙매스(배터리 셀을 분쇄한 가루에 양극재와 음극재가 혼재된 것) 재활용 시장 규모는 지난해 92억 2,051만 달러(12.2조 원)에서 2031년 529억 870만 달러(약 70조 원)로 약 6배로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부터 전기차 1세대의 폐배터리가 대량으로 쌓이게 되는데 폐배터리를 분해하면 전극 소재, 코발트, 리튬, 니켈 등 고가 소재를 추출할 수 있기에 재활용 가치가 매우 높다. 향후 수년 안에 다수의 경쟁사가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에 진입하면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성장과 혁신도 촉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미나의 오전 세션에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손정수 박사가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필요성 △폐배터리 재활용 현황 △폐배터리 화재 및 폭발 원인과 대응 방안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물리적 처리기술 △배터리 재활용 신기술에 대해 발표한다.

오후 세션에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김홍인 센터장이 △블랙매스 침출 기술 △침출액 내 불순물 제거 공정 △침출액 내 유가금속 분리정제 기술 △리튬 회수 및 폐수 처리 기술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세미나허브 관계자는 “수명이 다한 배터리가 쏟아지는 시기가 곧 다가오고, 세계 주요국들의 환경규제로 인해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는 시점에 이번 세미나를 통해 대한 관련 산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세미나의 유료 사전 등록은 1월 5일까지이며, 행사 관련 자세한 내용은 세미나허브 홈페이지(www.seminarhub.co.kr) 또는 전화(02-2088-6488)로 문의하면 된다.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IO-Link Wireless
오윤경 기자
오윤경 기자http://icnweb.co.kr
아이씨엔매거진 온라인 뉴스 에디터입니다. 오토메이션과 클라우드, 모빌리티, 공유경제, 엔지니어 인문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는 아래 이메일로 주세요. => news@icnweb.co.kr
ACHEMA 2027
fastechEcat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fastechEcat

Related articles

엘앤에프, 협력사와 ‘ESG 원팀’ 꾸렸다

엘앤에프가 한국산업단지공단 및 협력사와 함께 산업단지 내 ESG 공급망 리스크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하니웰, 에너지 관리 ‘올인원’으로 끝낸다

하니웰이 상업 및 산업용 시장을 겨냥해 배터리 저장, 첨단 제어 시스템, 사이버 보안을 하나로 통합한 콤팩트 모듈형 배터리에너지저장장치(BESS) ‘하니웰 아이오닉(Honeywell Ionic™)’을 글로벌 출시했다

전력반도체, 300mm GaN 시대 열린다

아이멕(Imec)이 엑시트론, 글로벌파운드리 등과 협력하여 저·고전압 전력 전자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가속화와 제조 비용 절감을 위한 300mm 질화갈륨(GaN)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을 공식 출범했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오토모션
오토모션
오토모션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