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6일, 일요일

300mm 팹 장비 투자 내년부터 회복

 300mm 팹 전망
300mm 팹 전망 (@SEMI)

반도체 300mm 팹(fab) 장비 투자액이 2020년 부터 점차 회복세로 돌아설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전자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협회인 SEMI는 300mm 팹 장비 투자액이 2019년 침체기를 거친 후 2020 년에 천천히 회복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최근 업데이트 된 SEMI의 300mm 팹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300mm 팹 장비 투자액은 2021년 600억 달러를 처음으로 돌파하고 2023년에 다시 최고치를 경신할 전망이다.

2023년까지 300mm 팹 장비 투자는 메모리∙로직∙전력 반도체 및 파운드리 분야가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별로는 한국이 300mm 팹 장비 투자에서 1위 지역이 될 것으로 보이며, 유럽/중동 및 동남아시아도 2019년에서 2023년 사이 꾸준한 증가세가 예상된다.

300mm 팹 및 라인의 수는 2019년 136개에서 2023년 172개로 30% 이상 증가 할 것으로 보이며, 현재 투자 가능성이 낮은 팹과 라인들까지 합산하면 2023년 200개를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300mm 팹에 대한 증가세는 기존 150mm 및 200mm 팹에 대한 폐쇄로 신규 300mm 팹의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비쳐진다. 기술적으로는 20나노 이하의 공정기술이 일반화되면서, IC 생산에 대형 웨이퍼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300mm 팹은 특히 메모리 전문업체들에 의해서 주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C 인사이츠에 따르면, 2017년 기준 300mm 웨이퍼 시장 점유율은 삼성전자 22%로 선두이며, 마이크론(14%), SK하이닉스(13%), TSMC(13%), 도시바/WD(11%)의 순이다. 

오승모 기자 oseam@icnweb.co.kr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ASI
오승모 기자
오승모 기자http://icnweb.kr
기술로 이야기를 만드는 "테크 스토리텔러". 아이씨엔 미래기술센터 수석연구위원이며, 아이씨엔매거진 편집장을 맡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데이터에 기반한 혁신 기술들을 국내 엔지니어들에게 쉽게 전파하는데 노력하는 중입니다.
ACHEMA 2027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fastechEcat

Related articles

반도체 장비 시장 ‘고공행진’, AI가 이끌었다

SEMI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전 세계 반도체 장비 매출액은 첨단 로직 및 HBM 수요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한 330억 7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전력반도체, 300mm GaN 시대 열린다

아이멕(Imec)이 엑시트론, 글로벌파운드리 등과 협력하여 저·고전압 전력 전자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가속화와 제조 비용 절감을 위한 300mm 질화갈륨(GaN)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을 공식 출범했다

자동차 ‘암흑전류’ 잡는 파수꾼 나왔다

ST가 무부하 시 3.5µA의 초저 대기 전류와 넓은 동작 온도 범위를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300mA LDO 전압 레귤레이터 L99VR03을 출시하여 차체 제어 모듈, 텔레매틱스 등의 배터리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한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오토모션
오토모션
K-BATTERY_SHOW 2025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