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18일, 월요일

전 부하 및 입력 전압 범위에서 효율을 최적화 시켜주는 스위칭 주파수 조절 방법

전 부하 및 입력 전압 범위에서 효율을 최적화 시켜주는 스위칭 주파수 조절 방법

글. Joel Turchi
Senior Principal Applications Engineer
온세미컨덕터, 프랑스 툴루즈 지사
j.turchi@onsemi.com

 

서론

최근의 파워서플라이 설계에서는 환경에 대한 우려로 인해 효율에 관한 새로운 조건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한 예로, 80 PLUS initiative와 거기서 파생된 Bronze, Silver, Gold[1] 규격은 데스크탑 및 서버 제조업체들이 혁신적인 솔루션을 만들어 내도록 압박하는 요소이다. 중요한 포커스는 EMI 필터 다음단에 연결된 PFC(Power Factor Correction) 단인데 이 PFC 단은 낮은 입력 전압, 풀 부하에서 출력 전력의 5% 내지 8%를 소모한다.

그러나 관련된 소자들은 설계된 최대 전력에서 영구히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짧은 시간 동안만 그러한 전력에서 동작한다. 그러므로 전력을 효과적으로 절약하기 위해서 “친환경 요건”은 풀 부하 효율 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대신, 이들은 평균 효율 또는 예를 들어 풀 부하의 20%, 50%, 100% 같은 서로 다른 부항 조건 상황에서의 효율 비율에 대해서 최소 레벨을 지정함으로써 실제 동작 환경에 대응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부하가 중간 또는 낮을 때의 효율이 해결해야 될 중요 포인트가 되었다. 이러한 조건에서는 스위칭 주파수를 낮춰서 손실을 줄이는 것이 많이 이용되는 방법이다. 이 솔루션은 전력 레벨이 매우 낮을 때에는 극히 효율적이지만 중간 레벨의 전력에서는 조심스럽게 구현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최적의 성능을 위해서 스위칭 주파수를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를 분명히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CCFF(Current Controlled Frequency Fold-back) 기법의 원리에 대한 밑그림을 그려준다. 이 새로운 솔루션은 적정 레벨로 평균화된 저 부하 효율을 위해 스위칭 주파수를 조절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전 부하 및 입력 전압 범위에서 효율을 최적화 시켜주는 스위칭 주파수 조절 방법

전 부하 및 입력 전압 범위에서 효율을 최적화 시켜주는 스위칭 주파수 조절 방법

전 부하 및 입력 전압 범위에서 효율을 최적화 시켜주는 스위칭 주파수 조절 방법

전 부하 및 입력 전압 범위에서 효율을 최적화 시켜주는 스위칭 주파수 조절 방법

전 부하 및 입력 전압 범위에서 효율을 최적화 시켜주는 스위칭 주파수 조절 방법

전 부하 및 입력 전압 범위에서 효율을 최적화 시켜주는 스위칭 주파수 조절 방법

전 부하 및 입력 전압 범위에서 효율을 최적화 시켜주는 스위칭 주파수 조절 방법

전 부하 및 입력 전압 범위에서 효율을 최적화 시켜주는 스위칭 주파수 조절 방법

전 부하 및 입력 전압 범위에서 효율을 최적화 시켜주는 스위칭 주파수 조절 방법

전 부하 및 입력 전압 범위에서 효율을 최적화 시켜주는 스위칭 주파수 조절 방법

참고문헌

[1] 80플러스 프로그램, http://www.plugloadsolutions.com/About.aspx

[2] NCP1631 데이터쉬트 및 애플리케이션 노트, http://www.onsemi.com/PowerSolutions/product.do?id=NCP1631

[3] NCP1611 데이터쉬트 및 애플리케이션 노트, http://www.onsemi.com/PowerSolutions/product.do?id=NCP1611

[4] NCP1612 데이터쉬트 및 애플리케이션 노트, http://www.onsemi.com/PowerSolutions/product.do?id=NCP1612

 정리. 아이씨엔 뉴스팀 news@icnweb.co.kr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IO-Link Wireless
은주 박
은주 박http://icnweb.co.kr
아이씨엔매거진 뉴스 에디터입니다. 보도자료는 여기로 주세요. => news@icnweb.co.kr
ACHEMA 2027
K-BATTERY_SHOW 2025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오토모션
fastechEcat

Related articles

온세미, 스토니브룩대학교에 와이드 밴드갭 소재 연구 센터 설립

온세미는 스토니브룩대학교(Stony Brook University)와 함께 800만 달러를 투자해 와이드 밴드갭 연구 센터를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온세미, 2025년 1분기.. 자사주 매입으로 잉여현금흐름의 66% 주주 환원

온세미가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에 따르면, 잉여현금 6억 2,000만 달러와 잉여현금흐름 4억 5,500만 달러로(전년 대비 72% 증가) 매출의 31%를 차지했다

온세미, ‘알레그로 마이크로시스템즈’에 69억 달러 규모 인수 제안

지능형 전력 및 센싱 기술의 선도 기업인 온세미(onsemi)가 알레그로 마이크로시스템즈(Allegro MicroSystems, 이하 알레그로) 인수에 적극 나선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오토모션
fastechEcat
K-BATTERY_SHOW 2025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