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일, 4월 24, 2025

디지털화 촉진에 힘입어 2023년까지 300mm 팹 투자 늘어난다

SEMI
300mm Feb 전망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인 디지털화를 촉진하면서, 오는 2023년까지는 300mm 팹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SEMI가 발표한 ‘300mm 팹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300mm 팹 투자 규모는 2020년에 전년 대비 13% 증가하여 2018년의 기존 최고치를 경신한 후 2023년에는 무려 20%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COVID-19)가 전 세계적인 디지털화를 가속화하여 2020년 팹 투자 규모가 급증할 것이며 이 추세는 2021년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코로나19외에도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 PC, 게임 및 헬스케어 테크놀로지 등의 수요 증가로 인해 팹 투자액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5G, IoT, 자율 주행, AI 및 머신러닝 등에 대한 기술의 발전으로 대규모 데이터를 증가시키면서 이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반도체 분야의 투자를 촉진시키고 있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최소 34개의 신규 300mm 팹이 건설될 예정이다. 이 기간 동안 월간 팹 생산량에 대해서 약 180만 달러가 투자되어 월 웨이퍼 생산량은 2024년 700만 장을 넘어설 것이다.

신규 팹 중 11개는 대만, 8개는 중국에서 건설되며, 이는 전체 신규 팹의 절반을 차지한다. 2024년까지 300mm 팹은 전 세계적으로 161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SEMI는 “반도체 팹 투자는 2021년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올해는 전년 대비 13% 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2021년에는 4%의 성장세가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2022년에는 2% 소폭 하락할 것으로 보이지만 2023년에는 20% 증가한 약 700억 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최대 규모의 팹 투자가 기대된다.

300mm 팹 투자액 증가의 대부분은 메모리 분야가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300mm 메모리 팹에 대한 투자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 매년 한자리 수 후반대 성장이 예상되며 2024년에는 약 10%의 성장이 전망된다.

또한 300mm 팹 분야의 가장 큰 투자 지역인 한국은 2020년부터 2024년 사이에 약 150~190억 달러를 쓸 것으로 예상된다. 뒤이어 대만이 약 140~170억 달러, 중국이 110~130억 달러를 투자할 것으로 보인다.

SEMI의 CEO인 Ajit Manocha는 “코로나19가 다양한 산업에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반도체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신규 38개의 팹은 디지털화를 주도하는 반도체의 역할을 더욱 견고하게 해주고 세상이 직면하고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고 밝혔다.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ASI
오승모 기자
오승모 기자http://icnweb.kr
기술로 이야기를 만드는 "테크 스토리텔러". 아이씨엔 미래기술센터 수석연구위원이며, 아이씨엔매거진 편집장을 맡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데이터에 기반한 혁신 기술들을 국내 엔지니어들에게 쉽게 전파하는데 노력하는 중입니다.
ACHEMA 2027
  • 파스텍 배너 900
  •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파스텍 배너 300
Hannover messe

Related articles

스트럭처, 노르딕 nRF5340 SoC 기반 스레드 매터 기술로 스마트 퍼걸러 시장 선도

미국의 고급 퍼걸러 제조업체인 스트럭처(StruXure)가 노르딕 세미컨덕터의 무선 SoC를 채택해 미국 최초로 스레드 기반 매터 연결 기능을 지원하는 퍼걸러 제품을 구현 및 출시했다

EMO Hanover 2025: A Global Hub for Innovation in Metalworking and Production Technology

EMO Hannover 2025 hosted the 'EMO WORLD TOUR 2025 SEOUL' event in Seoul on February 20

콩가텍, ‘aReady.IOT’ 출시로 IIoT 연결성 강화 및 비즈니스 모델 혁신 주도

콩가텍이 ‘에이레디.IOT(aReady.IOT)’를 출시하고 ‘에이레디.COM’의 애플리케이션-레디 기능을 확장한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파스텍 배너 300
파스텍 배너 300
오토모션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