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에서 2차 협력사로 이어지는 ‘탄소 감축 연쇄 반응’ 시동… 정부-현대차 맞손

전 세계적으로 탄소 규제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단순히 공장 굴뚝에서 나오는 연기를 줄이는 것을 넘어, 제품을 만들 때 들어가는 모든 부품의 탄소 배출량을 합산하는 ‘탄소발자국’이 새로운 수출 무역의 장벽으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우리 정부와 국내 대표 완성차 기업이 자동차 부품 생태계의 생존을 위해 힘을 합쳤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와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11월 17일, 현대차·기아 및 87개 자동차 부품 협력기업과 함께 ‘자동차 공급망 탄소 감축 상생 협약식’을 개최했다. 이번 협약은 갈수록 정교해지는 EU 등 주요국의 탄소 규제가 기존 ‘사업장 단위’ 관리에서 ‘제품 단위’의 탄소발자국 산정으로 변화하는 추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낙수효과’를 노린 탄소 감축 상생 모델
이번 협약의 가장 큰 특징은 대기업과 1차, 2차 협력사가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탄소를 줄여나가는 ‘연쇄적 지원 체계’를 구축했다는 점이다.
우선 산업부와 현대차·기아가 1차 협력업체의 탄소 감축을 위한 설비 교체를 지원한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지원을 받은 1차 협력업체는 그 혜택받은 금액만큼을 다시 환원하여, 중기부와 함께 2차 협력업체의 설비 교체를 돕는다. 즉, 대기업의 지원이 1차 협력사를 거쳐 2차 협력사까지 흘러가는 구조로, 공급망 전체에 걸쳐 탄소 감축 효과가 연쇄적으로 일어나도록 설계된 것이다.
산업부 박동일 산업정책실장은 “공급망의 탄소 감축은 어느 한 기업이 독자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라며, “이번 협약이 우리 산업 전반의 그린전환(GX)을 가속화하고 글로벌 공급망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완성차는 ‘배출권’ 확보, 협력사는 ‘수출 경쟁력’ 확보
이번 협력은 단순히 대기업이 중소기업을 시혜적으로 돕는 차원을 넘어선다. 현대차·기아 입장에서는 협력업체의 저탄소 전환을 도움으로써 최종 완성차의 탄소발자국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 사업을 통해 확보한 감축 실적을 향후 배출권거래제에서 상쇄 배출권으로 인정받아 자사의 배출량 감축 의무를 이행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협력업체들 역시 실질적인 설비 투자 지원을 받게 된다. 중기부는 ‘중소기업 탄소중립 설비투자 지원’ 사업 예산을 2026년 정부안 기준 191억 원으로 책정하고, 저탄소 공정 전환이 시급한 중소기업에 최대 3억 원(보조율 70% 이내)까지 설비 도입 비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올해 LG전자, 포스코, LX하우시스, LG화학 등 4개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며, 내년에는 105억 원 규모의 ‘산업 공급망 탄소 파트너십 사업’을 신규로 런칭해 지원을 본격화한다.
정부는 이번 자동차 산업을 시작으로 향후 전기·전자, 철강, 석유화학, 반도체, 조선 등 주력 산업 전반으로 ‘공급망 탄소 파트너십’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이는 개별 기업의 노력을 넘어 대한민국 산업 생태계 전체의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 역량’을 높이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안내] PLM 전문기업 콘택트소프트웨어, 11월 13일 서울서 AI 기반 제조혁신 세미나 개최](https://i0.wp.com/icnweb.kr/wp-content/uploads/2025/10/contactSW-3D-robot.png?resize=100%2C70&ssl=1)



![[그래프] 국회의원 선거 결과 정당별 의석수 (19대-22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결과(정당별 의석 수)](https://i0.wp.com/icnweb.kr/wp-content/uploads/2025/04/main-image-vote-flo-web-2.jpg?resize=324%2C160&ssl=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