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일, 4월 19, 2025

무선 전동공구 개발, 어렵지 않아요.. ST마이크로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무선 전동공구 개발을 간소화하는 플러그앤플레이 STSPIN32 프로토타입 보드 출시

ST마이크로,플러그앤플레이 STSPIN32 프로토타입 보드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최첨단 가정용 및 조경용 무선 전동공구 개발을 지원하는 새로운 플러그앤플레이 보드 2종을 출시했다. 이 보드로 최대 56V 리튬이온 배터리로 구동되며 3상 브러시리스 모터를 제어한다.

STEVAL-PTOOL1V1 및 STEVAL-PTOOL2V1 평가 보드는 ST의 고집적 STSPIN32 모터제어 SiP(System-in-Package)를 기반으로 하며, 작은 크기와 낮은 대기전류와 같은 전동공구의 핵심 요건을 충족한다. 홀효과(Hall-Effect) 로터 위치 감지를 이용하는 6스텝 모터 정류용 펌웨어가 제공되며, 이는 낮은 토크 리플과 최적의 전력 효율을 보장해준다.

STEVAL-PTOOL1V1은 2셀(7.4V) ~ 6셀(22.2V)의 리튬이온 배터리 팩으로 구동되는 장비를 지원하며, 70mm x 30mm의 크기로 최대 15A의 연속 전류를 제공한다. 대기전류는 1µA 미만이다. 이 보드의 핵심인 STSPIN32F0B 모터 컨트롤러는 STM32F0 마이크로컨트롤러, 3상 하프-브리지 게이트 드라이버, 12V 및 3.3V 전압 레귤레이터, 전류 감지를 위한 연산증폭기를 비롯해 프로그래머블 과전압 보호(OCP: Over-Current Protection), 교차전도 방지, UVLO(Under-Voltage Lockout과 같은 전력단 보호 기능도 갖추고 있다. STEVAL-PTOOL1V1 전력단은 ST의 파워 MOSFET N-채널 60V STripFET F7 기술이 적용되었다.

8셀(29.6V) ~ 15셀(55.5V)의 배터리 사이즈에 맞는 STEVAL-PTOOL2V1 보드는 최대 19A의 연속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보드는 ST의 STSPIN32F0252 모터 컨트롤러로 제어하며, 여기에는 3상 250V 게이트 드라이버와 STM32F0 마이크로컨트롤러, 매우 빠르고 유연한 OCP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비교기가 포함돼 있다. 견고하게 설계된 STSPIN32F0252는 출력 핀이 -120V에 이르는 접지 미만 스파이크까지 견딜 수 있어 전동공구의 신뢰성을 향상시켜준다. 

두 보드 모두 속도 변동을 위한 포텐셔미터(potentiometer), 트리거 및 회전방향 설정을 위한 입력, 열 셧다운, 전력단 출력 역 바이어스 보호기능이 제공된다. 히트싱크도 미리 장착돼 제공된다. 이 보드는 무선 공구 외에도, 단일 션트 제어 기능의 브러시리스 3상 모터를 활용하면서 배터리로 동작하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수 있다.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ASI
오승모 기자
오승모 기자http://icnweb.kr
기술로 이야기를 만드는 "테크 스토리텔러". 아이씨엔 미래기술센터 수석연구위원이며, 아이씨엔매거진 편집장을 맡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데이터에 기반한 혁신 기술들을 국내 엔지니어들에게 쉽게 전파하는데 노력하는 중입니다.
ACHEMA 2027
  • 파스텍 배너 900
  •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파스텍 배너 300
Hannover messe

Related articles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지는 제조 혁신 – 보쉬의 디지털 제조 전략

독일 울름에 위치한 보쉬 렉스로스의 모델 팩토리는 개방형 표준으로 모범적인 제조 프로세스를 구축했다.

노르딕 세미컨덕터, 초저전력 PMIC ‘nPM2100’ 개발 지원 본격화

노르딕 세미컨덕터가 자사의 nPM2100 전력관리 IC를 위한 평가키트와 소프트웨어 및 기술자료 등을 공식 지원한다고 밝혔다

엘앤에프, ‘인터배터리 2025’서 LFP 양극재·하이니켈 기술력 선보인다

엘앤에프가 ‘인터배터리 2025(InterBattery 2025)’에서 차세대 배터리 소재 기술력과 글로벌 생산체계를 선보인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오토모션
파스텍 배너 300
Hannover messe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