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6일, 일요일

시스템반도체, 융복합 반도체로 적용분야 확대 중

시스템반도체는 전기전자 시스템의 신호·정보·에너지 프로세싱 기능을 단일 칩에 통합해 경제성, 편의성,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다기능 융·복합 반도체로 진화하고 있다.

전력·에너지 반도체를 비롯해 자동차·프로세서·스토리지·통신방송·멀티미디어 SoC, 고주파반도체, 센서반도체, 바이오/의료기기 SoC, 디스플레이 SoC 등이 해당된다.

세계 시스템반도체 시장은 2011년 약 2113억달러로 전체 반도체 시장 67.9%로 2016년까지 연평균 5.9% 성장이 예상된다.

전력·에너지 반도체 세계시장 규모는 2011년 약 323억달러로 연평균 6.5% 성장해 2016년 441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모바일 기기 수요 증가와 스마트폰 비중의 확대로 PMIC, BMIC, EMIC 등 전력·에너지관리 시스템반도체는 성장을 이어갈 전망이다.

특히 모바일 분야에서 고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휴대폰과 태블릿 반도체 시장은 각각 2011년 418억달러, 70억달러에서 2016년 792억달러, 192억달러로 연 13.6%, 22.2% 성장이 예상된다. 2016년 스마트폰용 반도체 비중이 휴대폰 반도체시장의 84%를 차지할 전망이다.

세계 자동차용 반도체 시장도 2008년 200억달러에서 경제위기의 여파로 2009년 160억달러 규모로 감소했으나 2011년 250억달러 규모에 재 도달한 후 2016년 340억달러 수준에 이를 전망이다. 2011년 세계 의료용 반도체 시장규모는 36억달러이며 연평균 10.0%로 성장해 2016년에는 57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국내 시스템반도체생산 규모는 2011년 98억달러로 세계시장의 4.6%를 점유하고 있으며, 연평균 16.6% 성장해 2016년에 211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삼성전자의 스마트폰용 모바일 AP 시장 비중이 높아지면서 국내업체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2010년 3.3%에서 2011년 4.6%로 확대됐다.

시스템반도체는 IT 융·복합 시스템산업의 경쟁력과 직결된다. 주력산업의 고도화 및 융합신산업의 경쟁력과 고부가가치화는 시스템반도체 기술력 확보에 좌우된다.

제조 기술 외에 우수 설계 인력과 임베디드 SW 경쟁력 확보가 필수적인 지식집약산업이다. 또 에너지 분야에 반도체 기술을 융합해 스마트그리드, 그린에너지, 감성조명 등 녹색산업의 발전을 견인하는 역할도 수행하는 등 그 적용분야를 다양하게 늘려가고 있다.

아이씨엔 오승모 기자 oseam@icnweb.co.kr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IO-Link Wireless
은주 박
은주 박http://icnweb.co.kr
아이씨엔매거진 뉴스 에디터입니다. 보도자료는 여기로 주세요. => news@icnweb.co.kr
ACHEMA 2027
fastechEcat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fastechEcat
오토모션

Related articles

‘갤럭시 워치’가 산업현장 안전 지킨다

삼성전자가 갤럭시 워치와 AI 기반 B2B 솔루션 ‘스마트싱스 프로’를 결합하여, 산업 현장 근무자의 생체 및 환경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위험 상황 발생 시 자동으로 알림을 보내는 ‘스마트싱스 프로 안전 관리 솔루션’을 출시했다

키사이트, 삼성·엔비디아와 AI-for-RAN 협업 성과 공개

키사이트가 삼성전자의 5G-Advanced 및 6G 기술을 위한 AI 모델을 학습시키도록 삼성전자 및 엔비디아와 협력한다고 밝혔다

현대자동차-삼성전자, 5G 특화망 레드캡 기술 실증 성공

현대자동차는 올해 1월부터 삼성전자 수원사업장 내 테스트베드에서 5G 특화망 레드캡 기술 실증을 진행하고, MWC2025 바로셀로나 현장에서 공개했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fastechEcat
오토모션
오토모션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