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활용 확대에 따른 투명성·신뢰 확보가 핵심 과제…
‘소버린 AI’ 위한 거버넌스 구축 강조
인공지능(AI)이 우리 일상에 깊숙이 자리 잡으면서, 시민들이 정부의 공공 서비스에 거는 기대치 또한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IT 자문 기업 가트너(Gartner)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의 주요 거브테크(GovTech) 트렌드를 발표하며, 각국 정부가 AI를 중심으로 한 기술 주도 혁신을 통해 시민들에게 실질적인 성과를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딘 라셰카(Dean Lacheca) 가트너 VP 애널리스트는 “AI가 일상생활에 깊숙이 스며들면서, 시민들은 공공 서비스 또한 혁신을 통해 더 나은 접근성을 가진 맞춤형 서비스로 재탄생하기를 기대한다”며, “특히 아태지역은 이런 기대가 높음과 동시에 지정학적 불안이 두드러지는 지역으로, 정부는 AI를 포함한 안전하고 확장 가능한 기술 기반의 혁신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가트너가 제시한 3대 트렌드는 공공 부문 리더들이 AI 시대를 맞아 보다 스마트하고 효율적인 대민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적인 청사진을 제공한다.
트렌드 1: 건축 인허가부터 법률 해석까지… ‘AI 에이전트’의 등장
첫 번째 트렌드는 ‘AI 에이전트’를 활용한 맞춤형 시민 서비스의 등장이다. AI 에이전트는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스스로 인지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며, 행동하는 자율 또는 반자율 AI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 역량을 한층 강화할 수 있다. 가트너에 따르면, 초기 도입 단계에서는 건축 인허가 신청이나 각종 자격 심사와 같이 정해진 법률과 정책에 따라 업무를 처리하는 데 집중될 전망이다. 현재 다수의 아태지역 정부는 복잡한 법률 및 규제 프레임워크를 해석하는 용도로 AI 에이전트 활용을 모색하고 있다.
라셰카 VP 애널리스트는 “기술이 성숙해지고 정부가 AI 에이전트 구축 및 관리에 익숙해지면 여러 에이전트를 통합 활용하는 사례도 늘어날 것”이라면서도, “투명성과 대중의 신뢰를 얻는 것이 성공의 관건이므로, 자율성, 실패 가능성, 보안, 데이터 프라이버시 등에 대한 명확한 거버넌스와 윤리 가이드라인을 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렌드 2 & 3: ‘데이터 샌드박스’에서 안전하게, ‘거버넌스’로 투명하게
두 번째와 세 번째 트렌드는 AI 기술을 안전하고 투명하게 도입하기 위한 방법론에 초점을 맞춘다.
두 번째 트렌드는 ‘디지털 혁신 랩과 데이터 샌드박스’의 확산이다. 정부의 혁신은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는 법규나 조달 규정 때문에 제약을 받는 경우가 많다. 이에 아태지역 정부들은 ‘샌드박스’라 불리는 통제된 데이터 환경을 갖춘 혁신 랩을 설립하는 추세다. 이는 개인정보 등 민감한 데이터를 보호하면서 외부 기술 파트너와 안전하게 협력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실험하기 위함이다. 싱가포르 해양항만청, 대만의 디지털 신원 지갑 프로그램, 호주의 정부-교육기관 협력 혁신 공간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세 번째 트렌드는 ‘거버넌스 중심의 AI 도입’이다. AI 활용이 넓어질수록 정부는 위험, 비용, 통제, 가치 사이의 균형을 잡을 수 있는 AI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구축해야 하는 압박을 받는다. 가트너는 2028년까지 80% 이상의 정부가 AI 도입 및 모니터링 체계에 대해 독립적인 감사를 받게 될 것으로 예측했다.
라셰카 VP 애널리스트는 “아태지역 정부들이 소버린 AI(Sovereign AI) 의제를 추진함에 따라, 이러한 거버넌스 가드레일은 향후 투명하고 책임감 있는 AI 도입을 보장하는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