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e

    유통업계, 모바일 통한 셀프 서비스 확대된다

    지브라 테크놀로지스, 제15회 연례 보고서 ‘글로벌 구매자 연구’ 발표

    zebra retail
    지브라테크놀로지스 웹사이트 캡처 이미지

    최근 수행된 한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구매자의 약 75%, APAC 지역에서는 68%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구매가 지연되었다고 응답한 가운데, 이들은 여전히 매장 방문을 통한 구매로 돌아오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구매자(전 세계 76%, APAC 지역 68%)는 가능한 한 빨리 매장을 드나들길 원하고 있으며, 셀프 서비스 기술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면서 이러한 일이 실현될 수 있도록 기꺼이 돕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셀프 서비스 솔루션 전반에 걸친 구매자의 상호 작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구매자의 절반 가량은 셀프 계산대를 이용한 경험이 있으며, 10명 중 거의 4명은 현금 없는 결제 방법을 사용한다고 응답했다. APAC지역에서도 비슷한 추세가 관찰됐는데, 구매자의 47%가 셀프 계산대를 사용하고, 응답자의 46%는 현금 없는 결제 방법을 선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브라 테크놀로지스(Zebra Technologies)가 제15회 연례 ‘글로벌 구매자 연구(Global Shopper Study)’ 보고서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구매자들은 팬데믹 이전과 비슷한 수준으로 오프라인 매장을 다시 방문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구매자들이 매장에서 “DIY(Do-it-Yourself)”를 비롯한 셀프 서비스 기술을 경험함에 따라, 유통업체 직원은 현장에서 보다 중요한 고객 지원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됐다.

    지브라 테크놀로지스의 제15회 글로벌 구매자 연구 보고서에는 2022년 6월-7월에 걸쳐 호주·중국·인도·일본·뉴질랜드의 아시아 태평양(APAC) 지역 응답자, 그리고 전 세계 4,000명 이상의 유통업체 의사결정자, 직원 및 구매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내용이 포함됐다.

    특히 전 세계 구매자의 43%, APAC 지역에서는 50%가 모바일 디바이스나 스마트폰으로 결제하는 것을 선호했다. 절반 이상의 구매자(전 세계 50%, APAC 지역 48%)가 셀프 계산대를 선호하는 반면, 매장 직원이 근무하는 전통적인 계산대에 대한 선호도(전 세계 55%, APAC 지역 51%)는 비슷하게 감소했다.

    대다수의 유통업체는 자동화 기술로 인해 유인 계산대의 필요성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고 생각한다. 전 세계적으로, 업체의 절반 가량이 전통적인 계산대 공간을 셀프 서비스 및 비접촉 결제 옵션으로 전환하여 매장을 준비하고 있다. 이러한 의견은 APAC 지역에서도 나타났다. 유통업체의 79%는 유인 계산대가 필요하지 않다고 언급한 가운데, 53%는 매장 공간을 셀프 서비스 구역으로 전환했으며 52%는 비접촉 옵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유통업체들은 비접촉 셀프 결제 방식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재고 사항에 대한 실시간 가시성 확보가 시급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실제로, 유통업체의 80%(전 세계적으로 79%, APAC지역 84%)는 재고 부족에 대한 실시간 가시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며, 정확성과 가용성을 위해 더 나은 재고 관리 툴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IO-Link Wireless
    우청 기자
    우청 기자http://icnweb.co.kr
    아이씨엔 매거진 테크니컬 에디터입니다. 산업용사물인터넷과 디지털전환을 위한 애널리틱스를 모아서 뉴스와 기술기사로 제공합니다.
    K-BATTERY Show
    •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FASTECH
    K-BATTERY SHOW 2024

    Related articles

    엔비디아, 차세대 산업혁명 이끌 데이터센터인 AI 팩토리 위한 블랙웰 플랫폼 발표 

    엔비디아(NVIDIA)는 세계 최고의 컴퓨터 제조업체들과 협력해 차세대 생성형 AI 혁신을 주도할 혁신적인 데이터센터인 AI팩토리(AI Factory) 구축에 나선다고 밝혔다

    클라이언트용 Arm CSS, LLM 속도 향상과 시스템 전력 효율성 제공

    Arm은 모바일에서의 선도적인 AI 기반 경험을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클라이언트용 Arm 컴퓨팅 서브시스템(CSS)을 발표했다

    SW를 재사용하는 범용 자동화로 IIoT 실현.. 유니버셜 오토메이션 협회

    유니버셜 오토메이션 협회((Universal Automation. Org)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마켓플레이스 생태계 구축을 위해 IEC 61499 표준에 기반한 UAO 런타임 엔진(Runtime Engine)을 내놓았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K-BATTERY SHOW 2024
    FASTECH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