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하이브리드 CO₂ 포집 기술 실증 성공
블루수소 생태계 확장 ‘청신호’

현대건설이 탄소중립 시대의 골칫거리인 이산화탄소(CO₂)를 포집해 자원으로 바꾸는 핵심 기술의 상용화에 성큼 다가섰다. 국내 최초로 개발한 하이브리드형 CO₂ 포집·액화 통합공정 실증에 성공하며, 저탄소 블루수소 생태계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대건설은 지난 10월 14일 경기도 평택 수소 특화단지에서 ‘CO₂ 포집·액화 실증시설’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2022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책과제로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수소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로부터 CO₂를 분리해내는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번 실증시설의 핵심은 국내 최초로 시도된 ‘하이브리드형 통합공정’이다. 기존의 습식 포집 방식과 분리막(멤브레인) 포집 방식을 결합해 각 기술의 장점을 극대화했다. 이를 통해 연간 3만 톤 규모의 CO₂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플랜트를 구축했으며, 실제 운영을 통해 ▲포집 효율 90% 이상 ▲순도 95% 이상의 고순도 CO₂ 확보라는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했다.
단순히 CO₂를 잡아두는 데 그치지 않고 ‘활용’의 길을 열었다는 점이 이번 성과의 핵심이다. 포집된 고순도 CO₂는 액화 공정을 거쳐 액체탄산이나 드라이아이스로 만들어 판매하거나, 합성연료·화학제품의 원료로 전환하는 등 높은 상업적 활용 가치를 지닌다. 말 그대로 버려지던 탄소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셈이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는 현대자동차, 롯데케미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등 국내 유수의 기업과 대학, 연구기관이 함께 참여한 산학연 협력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를 통해 해외에 의존하던 관련 기술의 자립도를 높이고, 국내 CO₂ 포집·활용(CCU) 분야의 산업 생태계를 한 단계 성장시켰다는 평가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이번 실증 성공으로 블루수소 산업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핵심 기술력을 확보했다”며 “축적된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외 대형 수소 플랜트, 소각로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 기술을 확대 적용해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