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완전 자동화 항만 구축 기여
국산 AGV 경쟁력 강화로
산업 생태계 활성화 기대

[아이씨엔 오윤경 기자] 현대로템이 부산 신항 7부두에 항만 무인이송장비(AGV) 57대를 추가 공급하며 국내 스마트 항만 자동화 구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번 공급은 동원글로벌터미널부산(DGT)이 발주한 사업으로, 현대로템은 본계약 절차를 거쳐 AGV 57대와 함께 관제시스템, 충전기 등 부대 설비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미 현대로템은 2023년에 DGT로부터 부산 신항 7부두 항만 AGV 43대를 수주하여 개장에 맞춰 성공적으로 공급한 바 있다. 이번 추가 수주는 물론, 지난해 광양항 자동화 부두에 AGV 44대를 공급하는 등 3년 연속 스마트 물류 부문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북극항로 거점 부산 신항의 물류 효율 극대화
이번 사업은 국가 핵심 전략인 북극항로 개척의 중심 거점으로 지목된 부산 신항에서의 수주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다. 동북아시아권의 대표적인 글로벌 스마트 물류 허브로 주목받는 부산 신항은 최근 선박 대형화와 세계적인 물동량 증가 추세에 맞춰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물류에 접목하는 대규모 공공 부문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현대로템은 이번에 납품되는 AGV가 동북아-유럽 교역의 전초기지 역할을 수행하는 부산 신항의 물류 고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로템은 AGV 제품 경쟁력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운영 효율 제고 방안을 수립하는 고객맞춤형 서비스에 집중해 왔다. 실제 현대로템은 AGV 성능 개선 및 관제시스템 고도화 등 사후 지원을 통해 DGT의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 최적화 작업에 기여하고 있다.
향후 현대로템은 글로벌 항만 물류 자동화 시장 공략을 위해 시간당 컨테이너 처리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AGV 연구개발(R&D)에도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며, 유지보수 분야도 더욱 체계화하여 사업 경쟁력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국산화 통한 산업 생태계 활성화 기여
현대로템은 항만 AGV의 국내 제작 이점을 활용하여 산업 생태계 조성에도 기여할 예정이다. 차체와 주요 기능품의 국산화 비율을 높여 아직 초기 단계인 국내 항만 부품 공급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스마트 물류 산업의 역량 강화에도 힘을 보탠다는 방침이다. 스마트 물류 부문에서는 유지보수 기간과 가동률이 가장 중요하므로, 국산화 비율이 높을수록 외산 대비 더욱 신속한 사후 지원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차별성을 지닌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스마트 항만 기술 경쟁력 강화와 관련 국내 산업 생태계 발전을 위해 연구개발에 힘써 국산 항만 AGV의 핵심 기술 역량을 제고하고 있다”며,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고품질의 항만 AGV를 적시적기에 공급하고 최적화된 사후 지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