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25일, 금요일

한국바스프, ESG경영으로 지속가능성 이어간다

한국바스프, 2020년 기업보고서 발간

글로벌 화학기업 바스프(basf)는 ESG 경영을 통해 사회와 공생하는 지속가능경영을 이어가고 있는 중이다.

한국바스프는 최근 지난 2020년 한 해 동안 경제, 환경 및 사회공헌 분야를 아우르는 지속가능경영 전반의 활동 및 성과를 통합적으로 소개한 기업 보고서를 발간했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기업들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도입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바스프는 선도적으로 지난 2002년부터 국내 최초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하기 시작했다.

바스프 그룹은 지난해 유례없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도 불구하고 고부가가치 제품군 및 최적화된 포트폴리오 확보를 통해 괄목할 만한 비즈니스 성장을 이뤘다. 2020년 4분기에는 한국을 포함한 모든 지역에서 전년동기대비 매출이 증가했으며, 모든 사업분야에서 고르게 매출이 향상됐다. 특히 한국에서는 매출 약 14억 유로(약 1조 8800억 원)를 기록했다.

바스프는 ‘고객 중심’ 회사로 거듭나고자 혁신적 제품과 첨단 소재 솔루션 제공을 위해 적극 노력해 왔다. 지난 해, 한국의 경우 벨기에 화학기업 솔베이(Solvay)의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사업 인수를 통해 바스프 그룹의 일원이 된 한국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이노베이션 센터(EPIC Korea) 및 온산공장을 기반으로 국내 및 아태지역 고객에게 첨단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임윤순 한국바스프 대표이사는 “지난해 글로벌 경기둔화의 위기 속에서도 한국바스프는 견고한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임직원 모두가 최선을 다했다”며, “세계 화학을 선도하는 기업의 일원으로서 국내 고객 및 협력사, 그리고 직원들과 유기적인 성장을 추구하며 화학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바스프는 한국에서 지속적인 성장의 기반이 되는 지역사회에 기여하고자 다양한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운영해 오고 있다. 지난해 지속되는 코로나19 상황에 대응해 초등학생들에게 비대면 과학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과학 실험 키트와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울산 및 여수, 대전시에 기증한 바 있다.

기업보고서 발간과 함께 지난 3월 발표한 바스프 그룹의 2050 기후중립 목표를 반영해 한국바스프 공식 홈페이지 내 지속가능성 섹션의 업데이트가 이뤄졌다. 주요 업데이트 사항으로는 바스프만의 켐사이클링과 재활용 플라스틱 분류 솔루션 등 순환 경제를 실천하기 위한 다양한 영역에서의 성과를 소개한다. 더불어, 2050 기후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다양한 저공해 및 탄소제로 기술들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바스프 2020년 기업보고서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IO-Link Wireless
우청 기자
우청 기자http://icnweb.co.kr
아이씨엔 매거진 테크니컬 에디터입니다. 산업용사물인터넷과 디지털전환을 위한 애널리틱스를 모아서 뉴스와 기술기사로 제공합니다.
K-BATTERY_SHOW 2025
ACHEMA 2027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오토모션

Related articles

바스프, 기능성소재 디자인 연구소 ‘크리에이션 센터’ 개소

글로벌 화학기업 바스프는 경기도 안산에 그룹 내 다섯 번째 ‘크리에이션 센터(Creation Center)’를 개소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국내 기업 ESG 목표 달성 지원 나서..

지속가능한 경영이 기업의 필수 전략으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국내 기업들의 ESG 목표 달성을 돕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바스프, 안산에 전자소재 R&D 허브 구축…”차세대 반도체 소재 개발 가속화”

바스프가 경기도 안산에 전자소재 연구개발(R&D) 센터를 확장 이전하며, 국내 반도체 고객 및 파트너사와의 협업을 더욱 강화한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오토모션
오토모션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