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일, 4월 19, 2025

요꼬가와전기, AI 활용 이미지 분석 전문기업 덴마크 그라츠퍼 인수

산업용 LTE 게이트웨이 ‘에지 게이트웨이(Edge Gateway)’에 그라츠퍼의 FPGA IP 코어 적용

요꼬가와전기(Yokogawa Electric Corporation)가 지난 3월 인공지능(AI) 활용 이미지 분석 전문기업인 덴마크 그라츠퍼 테크놀로지스 ApS(Grazper Technologies ApS, 이하 ‘그라츠퍼’)를 인수했다.

요꼬가와전기는 덴마크 코펜하겐에 본사를 둔 그라츠퍼 테크놀로지스의 지분 전량을 상호 합의 하에 모두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grazper그라츠퍼는 2015년 덴마크 코펜하겐에 설립된 벤처기업으로 덴마크 벤처 캐피털 업체인 프로멘텀 에퀴티 파트너스(Promentum Equity Partners)의 투자를 받았다. 그라츠퍼는 이미지 분석용 첨단 AI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종의 집적회로인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상에서 AI 소프트웨어가 효율적으로 구동하도록 지원하는 솔루션을 개발했다.

그라츠퍼의 AI 소프트웨어는 여러 알고리즘과 3D 모델링 기법으로 이론화한 이미지 인식 방법론을 적용했으며, 컴퓨팅 자원이 한정적이어도 충분히 운용이 가능하다.

요꼬가와전기는 그라츠퍼가 개발해 온 이미지 분석용 첨단 인공지능(AI) 기술을 다양한 기존 사업에 적용하는 한편 새로운 산업용 AI 솔루션 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다.

최근 딥러닝(deep learning)과 관련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산업계가 AI를 실제로 적용할 수 있게 됐다. 이미지 식별 및 데이터 예측 정확도가 꾸준히 개선되고 있어 AI 사용 범위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움직이는 이미지에 대한 인식 정확도가 향상되어 전반적인 환경과 전체 이미지의 맥락을 들여다볼 수 있게 됐다. 보안 분야와 더불어 생산라인의 이미지 분석 및 로봇 운영 분야에 응용할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준 대목이다.

요꼬가와전기는 공장 및 공공 인프라 프로젝트용 AI 솔루션을 개발·공급하고 있다. 요꼬가와전기는 그라츠퍼의 기술을 인수함으로써 로봇 이미지 포착, 공장 내 이상 감지,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 모니터링 등 AI를 통한 이미지 분석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게 됐다.

우선 요꼬가와전기의 자회사인 암니모(amnimo Inc.)가 현재 개발 중인 산업용 LTE 게이트웨이 ‘에지 게이트웨이(Edge Gateway)’에 그라츠퍼의 FPGA IP 코어를 적용할 방침이다. 공항과 철도를 겨냥한 보안 애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용 솔루션을 제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요꼬가와전기는 중기 사업 계획인 ‘트랜스포메이션 2020(Transformation 2020)’의 일환으로 고객사들과 협력해 AI나 사물인터넷(IoT) 등의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이니셔티브를 추진하고 있다. 요꼬가와전기는 그라츠퍼와 신기술 인수를 통해 고객사들과 동반 혁신을 꾀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나갈 것이다.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IO-Link Wireless
오승모 기자
오승모 기자http://icnweb.kr
기술로 이야기를 만드는 "테크 스토리텔러". 아이씨엔 미래기술센터 수석연구위원이며, 아이씨엔매거진 편집장을 맡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데이터에 기반한 혁신 기술들을 국내 엔지니어들에게 쉽게 전파하는데 노력하는 중입니다.
ACHEMA 2027
  • 파스텍 배너 900
  •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파스텍 배너 300
Hannover messe

Related articles

매트랩 엑스포 2025 코리아, 소프트웨어 정의 시스템 기술 혁신 주목

매스웍스가 개최한 '매트랩 엑스포 2025 코리아'에서 1500여 명의 기술 전문가들이 참여해 소프트웨어 정의 시스템을 강조했다

“AI가 제조업 생산성 혁신 주도한다”.. 팀뷰어 AI 기회 보고서

제조업의 78% 의사결정자가 주 1회 이상 AI를 활용하며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으나, 기술 숙련도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며, 반복 업무 자동화 등을 통해 월 10시간의 효율화 효과를 얻고 있다.

AI 데이터센터의 도전과 혁신, “키사이트 ‘KAI 아키텍처’가 해법”

키사이트가 AI 클러스터 구성 요소를 실제 워크로드로 에뮬레이션하여 검증함으로써 고객이 데이터 센터 내 AI 처리 역량을 확장할 수 있는 엔드투엔드 솔루션 포트폴리오인 KAI(Keysight AI) 아키텍처를 출시했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오토모션
오토모션
오토모션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