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일, 4월 19, 2025

CC-Link IE Safety 기술, KS 표준 취득

CC-Link IE Safety로 고속 안전 시스템 구축에 대응

CC-Link협회(CLPA)의 산업용 안전 필드 네트워크 ‘CC-Link IE Safety’가 국가기술표준원(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의 심의를 거쳐 지난 2018년 7월 ‘KSCIEC61784-3-8’로 제정됐다고 ‘CC-Link협회 한국지부’가 밝혔다.

CC-Link IE Safety는 CC-Link IE의 고속통신을 활용한 산업용 안전 필드 네트워크이다. CC-Link IE의 통신속도인 1Gbps로 응답성능이 높은 안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SIL(Safety Integrity Level)3의 안전레벨 조건을 만족하고 있습니다. 또한, 안전제어와 일반제어를 동일 시스템에 혼재할 수 있어 기존 네트워크 시스템에 안전제어 시스템을 쉽게 확장할 수 있다.

협회측은 국내를 비롯한 아시아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을 자랑하는 CC-Link IE의 안전 필드 네트워크인 ‘CC-Link IE Safety’가 한국 국가규격으로 인정 받음으로써 앞으로 한국에서 더 널리 보급될 것으로 기대한다.

KSCIEC61784-3-8은 산업용이더넷에서의 기능안전에 관한 규격이며, 국제표준인 ‘IEC61784-3-8’에 부합하는 규격이다. 한국의 산업표준 책정에 관여하는 국가기술표준원은 CC-Link IE Safety가 국제규격 「IEC61784-3-8」을
취득한 것에 주목하고 전문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내 산업표준인 KS규격으로 제정하게 됏다.

협회측은 “이번에 CC-Link IE Safety가 한국 국가규격을 취득했다는 것은 CC-Link IE의 Ethernet 고속통신을 베이스로 하면서 기능안전적인 면에서도 제조 현장에서 요구하는 기능을 충분히 갖추고 있음을 객관적으로 증명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는 산업 현장에서 안전 통신을 사용하고자 하는 국내 생산 기술자의 니즈에 부응한다고도 말할 수 있으며, 향후CC-Link IE Safety의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CC-Link 협회(CLPA)의 주요 회원사인 간사회 멤버로는 3M, Balluff, Cisco, Cognex, IDEC, 미쓰비시전기, Molex, NEC, Schneider Electric Japan Holdings가 참여하고 있다. [CLPA : http://kr.cc-link.org/ko]

오윤경 기자 news@icnweb.co.kr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ASI
오윤경 기자
오윤경 기자http://icnweb.co.kr
아이씨엔매거진 온라인 뉴스 에디터입니다. 오토메이션과 클라우드, 모빌리티, 공유경제, 엔지니어 인문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는 아래 이메일로 주세요. => news@icnweb.co.kr
ACHEMA 2027
  • 파스텍 배너 900
  •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파스텍 배너 300
Hannover messe

Related articles

[new] 배터리 및 발전기 전압 측정을 위한 EtherCAT 측정 터미널

벡호프가 새롭게 출시하는 2종의 EtherCAT 측정 터미널 모두 ±2.5 및 ±5V의 전압 범위, 24비트 해상도, 채널당 50ksps는 물론 ±200ppm 정확도를 제공한다

ADI의 솔루션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제어용 아두이노 플랫폼

제어 자동화 장비를 위한 새로운 소프트웨어 설정 가능 I/O 기능은 모든 산업용 IO 기능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벡호프, PC 기반 제어 기술로 에너지 공급 혁신

벡호프는 SMA 안테나 커넥터를 통해 GNSS에 직접 연결되는 EL6689 EtherCAT 터미널을 소개한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오토모션
오토모션
오토모션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