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e

    MHL 컨소시엄, 최대 8k 해상도 지원 ‘superMHL’ 발표

    MHL컨소시엄(MHL Consortium)은 18일 서울 그랜드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CE 및 모바일 기기용 차세대 MHL® 기술인 superMHL™ 규격을 발표했다.

    롭 토비어스(Rob Tobias) MHL 의장이 나서 직접 발표한 MHL의 4번째 버전인 superMHL. MHL의 시장 리더십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superMHL’은 더 높은 해상도와 프레임 레이트, 40W의 전력 충전과 같은 획기적인 모바일 개선 사항을 제공하는 동시에 최대 8K 동영상 해상도와 확장된 오디오 포맷을 지원함으로써 홈시어터 연결에서 MHL의 서비스 범위를 확대해 준다.

    Dolby Atmos®, DTS-UHD™, 3D 오디오 등 객체 오디오와 오디오 전용 모드를 지원해 입체적인 서라운드 음향을 구현하며, 첨단 연결 설정으로 복수의 MHL 기기(TV, AVR, 블루레이 플레이어 등)를 함께 연계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리모컨으로 모든 기기 제어가 가능하다.

    소비자들은 이제 ‘superMHL’을 바탕으로 모바일 기기, 셋톱박스,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플레이어, 스트리밍 미디어 스틱 및 기타 자료 기기를 TV 및 디스플레이에 손쉽게 연결할 수 있다. 무방향성 superMHL 커넥터 신제품 출시는 확장된 동영상 포맷을 지원, 홈시어터 제품과 디스플레이 간에 박진감 넘치는 압도적 콘텐츠를 전송해준다.

    SuperMHL은 의무적인 기능 요구사항을 최소화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각자의 4K 및 8K 기기에서 동영상을 온전히 즐길 수 있다. 이 같은 첨단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MHL은 새로운 무방향성 superMHL 커넥터를 선보였다. 32핀으로 이뤄진 이 커넥터는 사용자 친화적인 얇은 폼팩터 하나로 동영상, 데이터, 전력 충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방향성 디자인이 적용돼 사용자가 플러그 방향이나 케이블 방향에 신경을 쓸 필요가 없어 불편을 없애주는 한편 보다 고도화된 유연성을 제공한다.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유준영 상무는 “업계 선도기업인 삼성은 최초의 8K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무방향성 superMHL 커넥터를 출시한 MHL 프로모터로서 혁신의 고삐를 늦추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superMHL은 최상의 TV 해상도를 제공하기 위해 보다 우수한 성능을 구현하도록 설계됐으며 이로써 소비자들은 탁월한 색상과 놀랄 만한 대비, 생생한 영상을 즐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중에 7억 5000만 대 이상의 MHL 기기가 출시된 가운데 superMHL은 이전의 MHL 1, 2, 3 규격 버전과 호환되며 프리미엄 콘텐츠의 안전한 전송을 위해 최신 HDCP 2.2 콘텐츠 보호 기능을 지원한다.

    롭 토비어스(Rob Tobias) MHL 의장은 “MHL은 소비자들이 사진, 동영상, 음악, 아이디어 등 각자 즐기는 콘텐츠를 주변과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밝히고, “우리의 목표는 콘텐츠에 더 많은 의미를 부여하고 접근성을 높이는 데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superMHL 출시와 더불어 소비자들은 해상도를 뛰어넘어 콘텐츠를 즐길 수 있으며 픽셀 대신 영상에 집중하고 TV가 진정한 미래의 창으로 기능하는 세계를 누릴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MHL컨소시엄은 삼성전자의 superMHL 탑재 110인치 고선명 8K TV를 깜짝 공개하기도 했다.

    아이씨엔 오승모 기자 oseam@icnweb.co.kr

     

    TIPs

    superMHL이란?

    superMHL™ 규격은 가전 및 모바일 기기용 차세대 MHL® 기술을 뜻한다. superMHL은 보다 높은 해상도, 더욱 빨라진 프레임레이트, 40W의 충전 성능, USB Type-C 커넥터 지원 등 획기적으로 발전한 모바일 기술들을 담고 있다. 또한 8K 비디오 해상도, 색 심도, 보다 넓어진 색 영역, 하이 다이나믹레인지(HDR), 빨라진 프레임레이트, 홈시어터 컨트롤, 다양한 오디오 포맷, 새로운 superMHL 커넥터를 지원함으로써 MHL의 홈시어터 연결성 관련 지원 범위도 넓어졌다.

     

    ASI
    오승모 기자
    오승모 기자http://icnweb.kr
    기술로 이야기를 만드는 "테크 스토리텔러". 아이씨엔 미래기술센터 수석연구위원이며, 아이씨엔매거진 편집장을 맡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데이터에 기반한 혁신 기술들을 국내 엔지니어들에게 쉽게 전파하는데 노력하는 중입니다.
    K-BATTERY Show
    •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오토모션
    FASTECH
    K-BATTERY SHOW 2024

    Related articles

    누보톤 코리아, MCU 기반 IIoT 배터리관리 스마트홈 솔루션 세미나 개최

    NuMicro® MA35D1 시리즈는 하이엔드 에지 IIoT 게이트웨이를 대상으로 하는 멀티코어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최대 1GHz 속도의 듀얼 64비트 Arm® Cortex®-A35 코어와 180MHz Arm® Cortex®-M4 코어 1개를 기반으로 한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오토모션
    오토모션
    K-BATTERY SHOW 2024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