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6일, 일요일

원하는 곳에 원하는 모양으로 얇게 입힐 수 있는 리튬 전지 개발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국내 연구진이 어떠한 전자기기에나 원하는 모양으로 얇게 입힐 수 있는 리튬이온전지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리튬이온전지는 충전 및 재사용이 가능한 이차 전지의 일종이며, 휴대폰 배터리로 널리 사용된다.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이상영 교수, 김세희, 최근호 연구원(박사과정) 등은 별도의 전지 공간이 필요 없는 신개념 리튬이차전지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미래창조과학부가 지원하고 있는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자지원)과 교육부의 BK21플러스사업을 통해 수행하였으며, 이번 연구 결과물은 나노과학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지 8월 12일 자에 게재됐다.
기존에도 얇고 휘어지는 리튬 전지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었으나, 어느 기기에나 접목되어 원하는 디자인을 갖도록 프린팅 공정 및 고분자전해질을 도입하여 전지를 제조한 사례는 없었다.
이번 연구개발을 통해 프린팅 공정으로 유리컵, 안경 등 원하는 사물 어디에나 글자, 하트 모양 등 다양한 형태의 전지를 기기별 특성에 맞게 빠르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기기맞춤형 얇고 휘어지는 리튬 전지’ 원천기술을 확보하게 됐다.
또한, 현재의 노트북, 휴대폰에서 요구되는 별도의 전지 공간이 필요 없게 되어 착용형 기기 등에 쉽게 접목될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 시대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이상영 교수는 “착용형 기기 및 사물인터넷 시대를 여는 데 있어 가장 큰 걸림돌 중의 하나였던 전원 공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차세대 전자 기기들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현하는 데에도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게 되었다”라고 말했다.
파워일렉트로닉스 매거진 power@icnweb.co.kr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IO-Link Wireless
오윤경 기자
오윤경 기자http://icnweb.co.kr
아이씨엔매거진 온라인 뉴스 에디터입니다. 오토메이션과 클라우드, 모빌리티, 공유경제, 엔지니어 인문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는 아래 이메일로 주세요. => news@icnweb.co.kr
ACHEMA 2027
fastechEcat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오토모션

Related articles

엘앤에프, 협력사와 ‘ESG 원팀’ 꾸렸다

엘앤에프가 한국산업단지공단 및 협력사와 함께 산업단지 내 ESG 공급망 리스크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하니웰, 에너지 관리 ‘올인원’으로 끝낸다

하니웰이 상업 및 산업용 시장을 겨냥해 배터리 저장, 첨단 제어 시스템, 사이버 보안을 하나로 통합한 콤팩트 모듈형 배터리에너지저장장치(BESS) ‘하니웰 아이오닉(Honeywell Ionic™)’을 글로벌 출시했다

IoT 심장, ‘차세대 괴물 칩’ 나왔다

실리콘랩스가 향상된 연산, 연결성 및 세계 최초 PSA 레벨 4 보안을 제공하고 매터 플랫폼 인증을 획득한 차세대 SoC 플랫폼 '시리즈 3'의 첫 제품군을 공식 출시했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fastechEcat
오토모션
오토모션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