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콘, 유니온페이·위챗페이 연동
국내 관광객 결제 장벽 허물고 소상공인 지원
서울 시내 52만 소상공인 가맹점에서 사용되던 ‘서울페이’가 이제 전 세계 관광객을 맞는 글로벌 결제 허브로 진화한다. 비즈니스 데이터 플랫폼 기업 쿠콘은 10월 13일, 서울시의 QR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서울페이에 중국의 대표 결제 서비스인 유니온페이(UnionPay)와 위챗페이(WeChatPay)를 연동한 글로벌 페이 서비스를 공식 오픈했다고 밝혔다.
이번 서비스 오픈으로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은 환전이나 새로운 카드 발급의 번거로움 없이, 자국에서 쓰던 모바일 결제 앱으로 서울페이 가맹점의 QR코드를 스캔해 손쉽게 결제할 수 있게 됐다. 이는 방한 관광객의 결제 장벽을 허무는 동시에, 국내 소상공인에게는 새로운 매출 증대의 기회를 열어주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쿠콘의 인프라, 소상공인과 세계를 잇는 ‘브릿지’가 되다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은 쿠콘이 보유한 강력한 결제 인프라와 기술력에 있다. 서울시로부터 글로벌 결제·정산 운영 사업자로 선정된 쿠콘은 서울페이와 글로벌 페이사를 연결하는 ‘브릿지’ 역할을 수행한다.
국내 가맹점주들은 별도의 해외 결제 단말기나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 없이 기존 서울페이 QR코드 하나만으로 늘어나는 외국인 관광객을 고객으로 맞이할 수 있다. 특히 이번에 연동된 유니온페이는 전 세계 90억 장 이상의 카드를 발급했고 위챗페이는 중국 내 10억 명 이상이 사용하는 국민 결제 서비스인 만큼, 그 파급 효과는 상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쿠콘은 이미 국내 200만 오프라인 가맹점과 4만여 대의 ATM을 연결하는 방대한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어, 향후 더 많은 글로벌 페이사와의 파트너십 확대를 위한 탄탄한 기반을 마련해두고 있다.
단순 결제 편의 넘어, 골목상권 활성화 ‘기대’
이번 협업은 단순히 결제 편의성을 높이는 것을 넘어, 지역 경제 활성화의 새로운 동력으로 평가받고 있다. 외국인 관광객들이 언어 장벽이나 결제 수단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그동안 혜택이 집중됐던 주요 관광지를 넘어 숨겨진 골목상권까지 외국인 고객의 발길이 이어지는 ‘낙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종현 쿠콘 대표는 “이번 유니온페이와 위챗페이 오픈은 글로벌 페이 사업의 의미 있는 첫 시작”이라며 “쿠콘은 글로벌 페이사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앞으로도 한국과 세계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