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30일, 토요일

솔라윈즈, 네트워크 관리 소프트웨어 부문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 올라

솔라윈즈(SolarWinds)가 IDC와 가트너(Gartner)를 비롯한 세계적인 시장조사기관의 최신 연구조사에서 네트워크 관리 소프트웨어 부문 시장 점유율 1위(IDC), 네트워크 성능 모니터링 및 진단 툴 부문 2위(가트너) 등을 기록하며 IT관리 솔루션 선두기업으로서의 위상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밝혔다.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가 진행한 연구조사(Worldwide Semiannual Software Tracker)에 따르면, 솔라윈즈가 네트워크 관리 소프트웨어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또한 솔라윈즈는 가트너(Gartner)의 시장 점유율 분석에서 매출 기준 네트워크 성능 모니터링 및 진단 툴(Network Performance Monitoring and Diagnostics, NPMD) 부문 2위, 전체 IT운영관리(IT Operations Management, ITOM) 성능 분석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부문 3위, AIOps/IT 인프라 관리(IT Infrastructure Management, ITIM)/기타 모니터링 부문 5위를 차지했다.

솔라윈즈의 최고제품책임자(CPO) 로히니 카스투리(Rohini Kasturi)는 “이번 성과는 전세계 기업 및 기관들에게 포괄적이고 지능적이며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하여 비즈니스 성과를 달성하도록 지원하는 자사의 미션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부단한 노력의 결과로 생각된다. 네트워크 관리 소프트웨어 시장 점유율 1위, IT 운영관리 전반에 걸쳐 상위 5대 기업으로 선정돼 뜻 깊게 생각한다. 솔라윈즈는 앞으로도 클라우드 네이티브, 멀티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온프레미스 등 고객의 IT환경이 현재 어디에 있든 탁월한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IDC 전세계 반기 소프트웨어 트래커(IDC Worldwide Semiannual Software Tracker)는 라이선스, 유지보수 및 구독 수익을 포함하여 각 공급업체의 소프트웨어 매출을 기준으로 전체 시장 규모 및 공급 업체 점유율을 측정한다. 솔라윈즈는 2016년 상반기 시장 점유율에서 처음으로 네트워크 관리 소프트웨어 부문 1위를 달성하고, 2017년 하반기부터 지금까지 계속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2021년 6월에 발표된 ‘가트너 시장 점유율 분석: ITOM, Performance Analysis Software, Worldwide, 2020 연구조사’에서는 컴퓨팅, 네트워킹 및 애플리케이션 리소스의 프로비저닝, 용량, 성능 및 가용성 관리에 필요한 툴인 ITOM 소프트웨어 전반의 주요 시장조사 결과와 공급업체의 성과를 다루고 있다.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ASI
우청 기자
우청 기자http://icnweb.co.kr
아이씨엔 매거진 테크니컬 에디터입니다. 산업용사물인터넷과 디지털전환을 위한 애널리틱스를 모아서 뉴스와 기술기사로 제공합니다.
ACHEMA 2027
K-BATTERY_SHOW 2025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fastechEcat

Related articles

올해 AI PC 출하량 104% 폭증… 2026년엔 시장의 절반 넘는다

가트너(Gartner)가 2025년 전 세계 AI PC 출하량이 전년 대비 약 104% 증가해 전체 PC 시장의 31%를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을 발표했다

가트너가 본 2025년 정부의 미래: ‘AI 에이전트’가 민원 처리하고 ‘데이터 샌드박스’서 혁신 실험

AI가 일상생활에 깊게 스며들면서, 공공 서비스에서도 더 나은 접근성과 개인화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지정학적 불안이 공존하는 지역으로 정부의 기술 주도 혁신을 통한 실질적인 성과 창출이 더욱 강조된다

조달 분야 생성형 AI, ‘환멸의 계곡’ 진입… 기대감 넘어 현실적 과제 직면

조달 분야 생성형 AI가 초기 기술 통합의 어려움으로 '환멸의 계곡'에 진입했지만, 데이터 인프라 투자와 전략적 접근을 통해 5년 내 핵심 생산성 기술로 자리 잡을 전망했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fastechEcat
K-BATTERY_SHOW 2025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