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일, 2월 3, 2025

파이보콤, 최고 수준의 nuSIM IoT 모듈 상용화

사물인터넷(IoT) 무선 솔루션과 무선 통신 모듈을 제공하는 세계 선도적 기업인 파이보콤(Fibocom)이 세계 선도적 종합 통신 기업 도이체 텔레콤(Deutsche Telekom) 및 선구적 연결성 솔루션 제공업체인 레드티 모바일(Redtea Mobile)과 협력해 최고 수준의 nuSIM 모듈을 상용화한다.

파이보콤, nuSIM IoT 모듈 상용화

파이보콤 MA510-GL은 스마트 미터, 스마트 주차,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산 추적 및 스마트 도시 애플리케이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글로벌 LPWA 멀티-RAT 모듈(GPRS/NB/LTE-M)이다.

nuSIM은 IoT 애플리케이션이 물리적 SIM 카드의 사용을 필요 없게 하는 IoT 시장 전용 종합 SIM 솔루션이다. nuSIM의 기능은 모듈 칩에 완전히 통합돼 있다. 이에 따라 이 모듈은 최소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규격으로 확실하게 설계하게 하는 장점이 있어서 PCB(인쇄회로기판)의 공간을 크게 절약해준다. 이러한 장점은 결국 기기의 크기를 더 작게 하고 비용을 줄이며 전력 소비를 낮추게 한다.

nuSIM 모듈은 SIM 기능과 프로파일 부하 인터페이스를 최적화하고 SMS 및 강력한 eSIM 프로토콜에 의존할 필요가 없게 함으로써 전통적인 SIM 솔루션보다 전력을 최대 90% 적게 소비해 배터리의 수명을 더 연장할 필요가 있는 모바일 IoT 디바이스에 적합하다. 또 nuSIM 솔루션은 물리적 SIM 카드 슬롯에 의존할 필요 없이 데이터 보안을 강화시키고 먼지, 습기, 온도, 진동으로부터 더 잘 보호한다.

라스 타이로프(Lars Thyroff) 파이보콤 EMEA(유럽·중동·아프리카) 상무이사는 “파이보콤이 경쟁사보다 일찍 nuSIM 모듈을 상용화해서 기쁘다. nuSIM 기술은 모바일 IoT 기기를 대량 출시하는 데 적합한 솔루션이 될 것이다. MA510 nuSIM 모듈은 매우 단순하고 가격 대 성능비가 뛰어나며 전력 소비가 극히 적어서 다양한 산업 분야 고객사들이 경쟁우위를 차지해 자본과 시간을 최소로 투자하면서 IoT 솔루션을 출시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덧붙여, 스테판 칼리너(Stefan Kaliner) 도이체 텔레콤 UICC(범용 IC 카드) 개발 총괄은 “파이보콤의 IoT 모듈을 바탕으로 우리의 nuSIM 사업이 성장하게 돼 자랑스럽다”며 “당사는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간단하면서도 보안 측면에서 안전한 종합 SIM을 선정했다. 파이보콤의 솔루션을 채택해 단순성이 통하는 IoT 시장의 점유율을 더 넓힐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샤오동 궈(Xiaodong Guo) 레드티 모바일 전략 파트너십 및 프로젝트 담당 부사장은 “도이체 텔레콤과 파이보콤 같은 업계 선구적 기업과 공동으로 전 세계 IoT 분야에서 무선통신의 연결을 단순화하고 최적화하는 SIM 혁신을 위한 상용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공유 생태계에서 우리의 가치를 드러내게 돼 영광”이라며 “새로운 nuSIM 모듈은 고객이 비용을 낮추고 SIM 통신 효율성을 높이며 SIM 생명주기 관리를 능률화하고 전반적인 설계를 단순화해 확실한 혜택을 누릴 수 있게 하는 초저전력소비 제품”이라고 말했다.

아이씨엔매거진

 

ASI
Hordon Kim
Hordon Kimhttps://powerelectronics.co.kr
아이씨엔매거진, PEMK(Power Electronics Magazine Korea) 인터내셔널 에디터입니다. An international editor of ICN magazine and PEMK.
  • ACHEMA 2027
  • aw2025
  • 파스텍 배너 900
  •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aw2025
MWC
오토모션
embeddedworld 2025
Hannover messe
semicon 2025

Related articles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오토모션
파스텍 배너 300
K-BATTERY SHOW 2024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