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17일, 목요일

[카드뉴스] 자율주행차 국가표준(KS), 2012년 200종으로 확대

자율주행차 국가표준(KS), 2012년 200종으로 확대1

자율주행차 국가표준(KS), 2012년 200종으로 확대2

자율주행차 국가표준(KS), 2012년 200종으로 확대3

자율주행차 국가표준(KS), 2012년 200종으로 확대4

자율주행차 국가표준(KS), 2012년 200종으로 확대5

자율주행차 국가표준(KS), 2012년 200종으로 확대6

자율주행차 국가표준(KS), 2012년 200종으로 확대7

자율주행차 국가표준(KS), 2012년 200종으로 확대8

 

자율주행차 국가표준(KS), 2012년 200종으로 확대

자율주행차 표준화 계획에 따라 자율주행차 국가표준(KS)을 2017년 말 93종에서 2021년 까지 200종으로 확대됩니다.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 분야에 해당하는 운전자의 손과 발 접촉없이 자동으로 차선을 변경하는 자율차선변경시스템, 엔진제어·조향장치 등 차량 내부의 전자제어장치간의 1Gbps급 고속 광통신용 인터페이스, 차량무선통신(WAVE)을 활용해 고속 이동 중 끊김없는 차량간 통신환경을 제공하는 차량‧사물통신(V2X) 표준 등을 한국산업규격KS로 제정해 나갈 계획입니다.

자율주행차의 디지털 부품, 센서 등 반도체 사용 증가에 따라 자동차 반도체 가이드라인 국제표준(ISO 26262-11)이 금년 6월경에는 제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차선유지보조시스템 성능평가 방법 등 우리나라가 제안한 11종의 자율주행차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발간되도록 국제회의 전문가 참가 지원 등 국제표준화 활동도 강화합니다.

2018년에는 차량간 통신(V2V)을 이용한 협력형 차선내 부분 자율주행 시스템의 기능요건, 작동방식, 시험방법 등 3종의 국제표준도 신규 제안됩니다.

아울러 국제표준을 개발하는 도로교통(ISO TC 22)의 5개 전문위원회, 지능형교통체계(ISO TC 204)의 5개 작업그룹에 국내 전문 대응기관을 지정해 국제표준개발에도 체계적으로 대응해 나갈 예정입니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자율주행차 상용화 선도국 도약을 위해서는 범부처 및 민·관 표준화 협력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표준화 수요를 발굴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스트리얼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매거진
기획. 김홍덕 기자, 박은주 기자
제작. 박은주 기자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ASI
아이씨엔
아이씨엔http://icnweb.co.kr
아이씨엔매거진 웹 관리자입니다.
ACHEMA 2027
  • 파스텍 배너 900
  •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파스텍 배너 300
오토모션

Related articles

차량 내 연결성 혁신의 신호탄, OpenGMSL 협회 공식 출범

오늘날 자동차 업계에서는 ADAS에서 인포테인먼트 및 자율 주행에 이르기까지 첨단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IAR, 클라우드 기반 임베디드 개발 플랫폼 출시…”CI/CD·보안 통합 원스톱 솔루션”

IAR이 클라우드 지원 · 확장형 CI/CD · 지속 가능한 자동화 구현을 위한 새로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을 출시했다

[테크]싱글 칩 60GHz 밀리미터파 레이더 센서를 통해 실내 감지 복잡성 및비용 절감

TI AWRL6844 60GHz mmWave 레이더 센서는 단일 장치로 여러 설계 문제를 해결하면서 시스템 비용을 20달러까지 절감할 수 있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오토모션
파스텍 배너 300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