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25일, 금요일

LG전자, 태양광 연계 ESS 공공입찰 수주

LG전자가 태양광 발전소와 연계한 에너지 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 분야에서 처음으로 공공 입찰사업을 수주했다. 서부발전이 세종시에 운영 중인 1.6㎿ 규모 ‘은하수 태양광 발전단지’의 전력품질 향상을 위해 내년 3월말까지 3㎿h 규모의 ESS를 구축하는 사업으로 총 20억원 규모다.

태양광 발전 연계 ESS사업은 날씨에 따라 태양광 발전이 일정치 않더라도 ESS에 저장된 전력으로 균일한 품질(출력)의 전력을 공급해 주는 사업이다. 태양광 발전소가 낮 시간(10~16시) 동안 ESS에 충전하고 나머지 시간 대에 방전하는 전력에 대해 2017년까지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500MW 이상의 발전설비를 보유한 발전 사업자는 총 발전량의 일정 비율 이상을 의무적으로 신재생에너지로 발전해 정부의 인증서를 받아야 한다. 인증서는 자체 설비를 갖추거나 인증서 거래시장에서 조달할 수 있으며, 이를 이행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선 과징금이 부과된다)’ 가중치 5.0을 부여하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육성정책이 지난 2016년 9월 발표되면서 태양광 발전 사업자의 수익성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세종시에 위치한 ‘은하수 태양광 발전단지’ 전경.

LG전자는 프리미엄 태양광 모듈, 전력변환장치(PCS;Power Conversion System), 전력관리시스템(PMS;Power Management System), 배터리 등 자체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태양광 발전 연계 ESS 토털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LG전자는 이번 사업을 계기로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태양광 발전 연계 ESS 시장의 표준모델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이상봉 LG전자 에너지사업센터 사장은 “LG전자는 태양광 발전 및 ESS 분야의 토털 솔루션을 갖추고 고객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이번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해 정부 정책과 의지에 발맞춘 모범사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이씨엔 오승모 기자 oseam@icnweb.co.kr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ASI
오승모 기자
오승모 기자http://icnweb.kr
기술로 이야기를 만드는 "테크 스토리텔러". 아이씨엔 미래기술센터 수석연구위원이며, 아이씨엔매거진 편집장을 맡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데이터에 기반한 혁신 기술들을 국내 엔지니어들에게 쉽게 전파하는데 노력하는 중입니다.
K-BATTERY_SHOW 2025
ACHEMA 2027
fastechEcat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fastechEcat

Related articles

[기고] 스마트 시티의 에너지 과제

이 글은 스마트 에너지 시스템이 번창하는 도시의 증가하는 전력 수요를 충족하는데 얼마나 큰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지 설명하고, 그에 따른 과제를 살펴본다.

노르딕 세미컨덕터, 소형 배터리 기기 위한 고집적 전력관리 IC ‘nPM1304’ 출시

노르딕 세미컨덕터가 소형 배터리 제품을 위한 고집적 전력관리 IC ‘nPM1304’를 출시했다. 소형 배터리를 필요로 하는 공간 제약형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솔루션이다.

인피니언, 스마트 센서·액추에이터용 고전압 PSOC™ HV 마이크로컨트롤러 출시

인피니언이 공간 제약이 심한 센싱이나 액추에이터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PSOC™ 4 HVMS 제품군을 출시했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fastechEcat
오토모션
fastechEcat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