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14일, 월요일

리니어, 60V 듀얼 DC/DC 컨트롤러 LTC3886 출시

I2C/PMBus 디지털 제어 및 프로그래머블 루프 보정 기능 제공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지사장 홍사곽)는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루프 보정 및 I2C 기반의 PMBus 인터페이스를 탑재한 60V 입력 듀얼 출력 싱크로너스 스텝다운 DC/DC 컨트롤러, LTC3886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 컨트롤러는 정주파수, 전류모드 아키텍처를 채택해 출력 전압을 최대 13.8V까지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LTC3886은 자동화, 산업, 의료, 통신 및 항공 분야와 같이 일반적으로 높은 입력 전압 범위가 요구되는 까다로운 환경에서 유용하다.
LTC3886은 듀얼 또는 싱글 출력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최대 6 위상(phase)까지 적층이 가능해 120A의 높은 부하 전류를 지원할 수 있다. 2, 3, 4 또는 6 위상의 인터리빙 클럭 위상은 입출력 리플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입출력 커패시턴스 또한 줄어든다. 이 제품은 GUI를 탑재한 LTpowerPlay™ 소프트웨어 개발 툴이 지원된다. 시스템 설계자들과 원거리 운영자들은 직렬 I2C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의 전력 상태 및 소비 상황에 대해 지시를 내리고 관리를 할 수 있다.

Linear, 60V Dual DC/DC Controller LTC3886
Dual Synchronous Step-Down Controller with Digital Interface

또한 디지털 방식으로 전원 공급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기능을 통해 제품의 시장 출시 시기를 앞당기고 다운 타임을 감소시킴으로써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하드웨어, 회로 또는 시스템 BoM 수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 이점이다. LTC3886은 프로토타이핑, 개발 및 필드 운영 동안의 시스템 특성화, 최적화 및 데이터 마이닝을 간소화한다.
POL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 외에도 LTC3886은 공개 표준 I²C 기반의 디지털 직렬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인 PMBus 상에서의 전력 및 전력 관리 파라미터의 구성을 변경하거나 원격측정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LTC3886은 2와이어 직렬 인터페이스를 탑재하고 있어 순차적 지연 시간을 두고 프로그램할 수 있는 슬루레이트로 출력 마지닝, 조정 및 증감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입출력 전류 및 온도와 함께 입출력 전압 데이터는 읽기가 가능하다. 이 디바이스는 빠른 듀얼 아날로그 제어 루프, 정밀 혼성 신호 회로 및 EEPROM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7mm x 8mm QFN-52 패키지 형태로 제공된다.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ASI
오윤경 기자
오윤경 기자http://icnweb.co.kr
아이씨엔매거진 온라인 뉴스 에디터입니다. 오토메이션과 클라우드, 모빌리티, 공유경제, 엔지니어 인문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는 아래 이메일로 주세요. => news@icnweb.co.kr
ACHEMA 2027
  • 파스텍 배너 900
  •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파스텍 배너 300

Related articles

노르딕 세미컨덕터, 소형 배터리 기기 위한 고집적 전력관리 IC ‘nPM1304’ 출시

노르딕 세미컨덕터가 소형 배터리 제품을 위한 고집적 전력관리 IC ‘nPM1304’를 출시했다. 소형 배터리를 필요로 하는 공간 제약형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솔루션이다.

[칼럼]Arm의 새로운 진화와 새로운 정체성 체계: IP에서 AI 시대의 플랫폼으로

르네 하스 Arm CEO는 "Arm은 인프라, 클라이언트, 오토모티브, 그리고 IoT를 위한 엣지 AI 플랫폼 등 모든 핵심 시장에 걸쳐 Arm 컴퓨팅 서브시스템(CSS)을 도입했다."고 밝히고, 이것이 SoC를 설계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했다.

온세미, 2025년 1분기.. 자사주 매입으로 잉여현금흐름의 66% 주주 환원

온세미가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에 따르면, 잉여현금 6억 2,000만 달러와 잉여현금흐름 4억 5,500만 달러로(전년 대비 72% 증가) 매출의 31%를 차지했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오토모션
오토모션
파스텍 배너 300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