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13일, 목요일

센스톤, 60억 투자 유치로 OT/PLC 산업보안 분야 글로벌 시장 달린다

국내서 금융 보안, 해외서 OT/PLC 산업보안 분야 괄목할 성과 과시

기존 PLC 보안 접근 방식과 센스톤의 OTAC 방식 비교
생산 자동화를 위한 OT 영역에서 통합 운영 및 제어를 위한 핵심 장비인 PLC는 각 기업마다 내부 인프라 및 운영 정책에 따라 인증 과정이 다르게 운영돼 왔지만, 센스톤의 PLC-OTAC는 각 기업이 원하는 환경에 맞춰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손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인증 보안 전문기업 센스톤(대표 유창훈)이 최근 KDB산업은행, ES인베스터, 대덕자산운영을 비롯한 투자사로부터 총 6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센스톤의 독보적인 OTAC (One-Time Authentication Code; 다이나믹 보안 접속 코드) 기술력과 급성장하는 운영기술(OT, Operational Technology) 보안 시장에서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한 결과라는 평가다.

특히 센스톤이 OT 분야의 인증 고도화 시장을 선도하며 글로벌 OT 기업 및 자동공정에서의 프로그래밍 제어장치(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제조사들과 활발한 협력을 이어가고 있는 성과에 대한 시장의 높은 기대를 반영한다.

센스톤이 자체 개발한 세계 최초의 단방향 다이내믹 인증 기술인 OTAC는 이미 국내외 다양한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이루어내고 있다.

토스뱅크, 카카오뱅크, 하나카드 등과 성공적인 인증 보안 적용을 마친데 이어, 연간 5,000억원 이상의 비대면 금융 사기 공격 중 70%를 사전 차단할 수 있는 인증 수단을 국내 금융기관 및 금융사들과 기술 공급 기회를 확보함으로써 시장 잠재력을 넘어 안정적인 매출처를 확보했다.

해외 시장에서의 행보도 더욱 가속도가 붙는 양상이다. 이미 인도네시아 조폐공사의 전자수입인지 서비스에 OTAC 기술을 성공적으로 적용하였으며, 글로벌 PLC 제조사들과의 협업을 통해 OT/PLC 시스템 보안 고도화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국내 대표 PLC 제조기업인 LS 일렉트릭을 포함하여, 글로벌 상위 5개 PLC 제조사 중 2개사와 개념검증(PoC, Proof of Concept) 및 최소기능제품(MVP, Minimum Viable Product) 개발을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1개사와는 현재 생산 과정부터 OTAC 기술이 내장된 PLC 기기 상용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는 약 3,640억원 규모로 추정되는 PLC 인증 시장에서 센스톤의 압도적인 기술력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특히, 센스톤의 산업용사물인터넷(IIoT)를 위한 주요 제어 장치에 대한 PLC 인증 기술은 이미 독일 산업 컨트롤러 제조사인 피닉스 컨택트의 마켓 플레이스에 등록되어 검증을 마쳤다.

회사측은 최근들어 원격단말장치(RTU), 분산제어시스템(DCS), 감시 제어 및 데이터 수집(SCADA), 공정과 운영자간 인터페이스(HMI) 등 PLC와 유사한 문제를 갖고 있는 영역까지 사업을 확장함으로써 OT 보안 시장의 주도권을 쥐겠다고 밝혔다.

유창훈 센스톤 대표이사는 “이번 투자는 글로벌 OT 보안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연구 및 사업 개발을 통해 OTAC 기술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대체 불가한 입지를 확보함으로써 글로벌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ASI
오승모 기자
오승모 기자http://icnweb.kr
기술로 이야기를 만드는 "테크 스토리텔러". 아이씨엔 미래기술센터 수석연구위원이며, 아이씨엔매거진 편집장을 맡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데이터에 기반한 혁신 기술들을 국내 엔지니어들에게 쉽게 전파하는데 노력하는 중입니다.
ACHEMA 2027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fastechEcat
오토모션

Related articles

국제자동화협회(ISA), “산업용 AI, 표준 없이는 안전도 없다”

국제자동화협회(ISA)는 '산업용 AI와 자동화에 미치는 영향' 입장문을 통해, 산업 현장의 AI 도입이 ISA/IEC 62443과 같은 검증된 표준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벨덴-액센츄어-NVIDIA, ‘피지컬 AI’로 공장 안전 혁신… TSN이 ‘초정밀 제어’ 이끈다

벨덴(Belden)이 액센츄어, NVIDIA와 협력하여 자사의 시분할 네트워킹(TSN) 인프라를 기반으로 작업자 안전을 위한 '가상 안전 펜스'와 실시간 품질 검사 등 정밀한 제어가 필수적인 물리적 AI 시스템을 개발하고 상용화에 나선다.

팀뷰어, ‘에이전트리스 액세스’ 공개… 스마트 팩토리 원격 운영의 ‘보안’과 ‘효율’을 잡는다

팀뷰어가 원격 운영 환경을 지원하는 ‘에이전트리스 액세스(Agentless Access)’를 출시한다. 팀뷰어의 엔터프라이즈 플랫폼 텐서(Tensor)에서 새롭게 제공하는 이 기능은 제조업체 및 OEM이 개별 기기마다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설치 없이 원격으로 접속하고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K-BATTERY_SHOW 2025
오토모션
오토모션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