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소스 물리 엔진 ‘뉴턴’과 파운데이션 모델 ‘GR00T’ 공개
아이작 랩 통해 로보틱스 R&D 가속화

AI 컴퓨팅 기술의 선두주자 엔비디아(NVIDIA)가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엔비디아는 9월 30일 서울에서 개막한 로봇 학습 컨퍼런스 ‘CoRL 2025’에서 로봇의 ‘뇌’ 역할을 하는 파운데이션 모델과 ‘가상 육체’를 시뮬레이션하는 물리 엔진을 포함한 핵심 기술들을 오픈소스로 공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로봇 개발자들이 연구 단계의 로봇을 일상생활로 이끌어내는 과정을 획기적으로 가속화할 전망이다.
엔비디아 옴니버스 및 시뮬레이션 기술 부문 레브 레바레디언(Rev Lebaredian) 부사장은 “휴머노이드는 예측 불가능한 세상에서 추론하고 적응하며 안전하게 행동하는 능력이 필요하다”며,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개발자들은 로봇의 두뇌 역할을 하는 아이작 GR00T, 신체를 시뮬레이션하는 뉴턴, 그리고 훈련장이 되는 엔비디아 옴니버스를 갖게 됐다”고 말했다.
로봇의 ‘가상 육체’, 오픈소스 물리 엔진 ‘뉴턴’ 공개
로봇이 현실 세계에서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시뮬레이션 환경에서의 학습이 필수적이다. 특히 복잡한 관절과 균형 감각이 요구되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현실과 거의 흡사한 물리 엔진이 필요하다.
이에 엔비디아는 구글 딥마인드, 디즈니 리서치와 공동 개발한 GPU 가속 오픈소스 물리 엔진 ‘뉴턴(Newton)’의 베타 버전을 공개했다. ‘엔비디아 아이작 랩’을 통해 제공되는 뉴턴은 개발자들이 눈이나 자갈 위를 걷거나 과일을 다루는 등 매우 복잡하고 미묘한 로봇 동작을 가상 환경에서 시뮬레이션하고, 그 결과를 현실 세계에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인간처럼 추론하는 로봇의 ‘뇌’, 아이작 GR00T와 코스모스
로봇이 인간과 상호작용하며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프로그래밍된 동작을 반복하는 것을 넘어, 모호한 지시를 이해하고 새로운 상황에 대처하는 추론 능력이 필수적이다.
엔비디아는 인간과 유사한 추론 능력을 구현하기 위해 오픈소스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인 ‘아이작 GR00T N1.6’의 최신 버전을 공개했다. 곧 허깅 페이스를 통해 공개될 이 모델에는 로봇의 심층 사고를 담당하는 비전 언어 모델 ‘코스모스 리즌(Cosmos Reason)’이 통합된다. 코스모스 리즌은 기존 지식과 상식을 활용해 복잡한 명령을 단계별 계획으로 전환하고, 처음 겪는 상황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미 LG전자, 보스턴 다이내믹스, 피규어 AI 등 세계 유수의 로봇 기업들이 엔비디아 아이작 및 옴니버스 기술을 도입하고 있으며, 이번 오픈소스 공개를 통해 로보틱스 생태계는 더욱 폭넓게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엔비디아는 이러한 소프트웨어 혁신을 뒷받침하기 위해 클라우드용 GB200 NVL72부터 온디바이스 AI 컴퓨터인 젯슨 토르(Jetson Thor)에 이르는 강력한 AI 인프라도 함께 제공하며 로보틱스 연구개발의 모든 단계를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