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냉각·제어·고밀도 랙 등
AI 데이터센터 핵심 기술 연구
‘AI 팩토리’ 구축 목표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엔비디아와 협력해 전력, 냉각, 제어 시스템 등 AI 팩토리 인프라를 공동 개발하며, 유럽을 중심으로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구축과 지속 가능한 AI 인프라 혁신을 가속화한다.
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 분야의 글로벌 리더 슈나이더 일렉트릭(한국지사 대표 권지웅)이 엔비디아(NVIDIA)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대규모 AI 팩토리 인프라 개발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은 유럽연합(EU)의 ‘AI 대륙 액션 플랜’과 ‘Invest AI 이니셔티브’에 부응하는 것으로, 양사는 전력, 냉각, 제어 시스템, 고밀도 랙 인프라 등 AI 데이터센터의 핵심 요소에 대한 공동 연구개발(R&D)을 추진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과 엔비디아는 유럽 전역에 최소 13개 AI 팩토리와 최대 5개 AI 기가팩토리 설립을 목표로, 지속 가능한 AI 인프라 설계 및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CEO 올리비에 블룸은 “양사가 함께 개발한 차세대 데이터센터 솔루션은 AI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지속 가능한 인프라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 역시 “AI가 실현될 수 있는 기반이 되는 AI 팩토리를 함께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이번 협력과 함께 ‘EcoStruxure™ Pod 및 랙 인프라’ 등 AI 인프라 전용 솔루션을 공개했으며, 엔비디아의 GB200 NVL72 플랫폼을 지원하는 OCP(Open Compute Project) 기반 랙 시스템도 선보였다. 양사는 세계 최초로 NVIDIA Omniverse Blueprint를 활용한 AI 팩토리 전력 시스템의 디지털 트윈을 구현하고, 액체 냉각 기반 참조 설계도 공동 개발하는 등 AI 데이터센터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AI Q] 슈나이더 일렉트릭과 엔비디아 협력으로 기대되는 AI 데이터센터 혁신은?
슈나이더 일렉트릭과 엔비디아의 협력으로 기대되는 AI 데이터센터 혁신은 다음과 같이 5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 지속 가능한 AI 인프라 구축
양사는 전력, 냉각, 제어, 고밀도 랙 등 데이터센터 핵심 요소의 공동 연구개발을 통해 에너지 효율과 친환경성을 극대화한 차세대 AI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구현하고 있다. 이는 유럽연합의 ‘AI 대륙 액션 플랜’ 등 글로벌 정책과도 연계되어, 대규모 AI 팩토리의 신속한 구축과 운영을 지원한다. - 고성능·고집적 AI 워크로드 최적화
엔비디아의 가속 컴퓨팅 플랫폼과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에너지 관리·자동화 기술이 결합된 새로운 데이터센터 참조 설계(reference design)는, AI 워크로드에 맞춘 고성능·고밀도 인프라를 제공하며, 전력 분배와 액체 냉각 등 첨단 기술로 대규모 AI 연산에 최적화된 환경을 만든다. - 확장성과 신속한 구축
모듈형 EcoStruxure™ Pod 및 랙 인프라 등 프리패브리케이션(사전 제작) 구조를 도입해, 데이터센터의 확장성과 구축 속도를 크게 높이고, 다양한 AI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 디지털 트윈과 시뮬레이션 혁신
슈나이더 일렉트릭과 엔비디아는 Omniverse 및 AVEVA 플랫폼을 활용해 데이터센터의 디지털 트윈을 구현, 설계·운영·유지보수 전 과정을 가상 환경에서 시뮬레이션하고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는 복잡한 AI 인프라의 신속한 배치와 운영 비용 절감에 기여한다. - 산업 전반의 AI 도입 가속화
이번 협력은 AI 팩토리라는 새로운 개념을 통해, AI가 모든 산업과 사회에 확산될 수 있는 기반 인프라를 제공하고, 기업과 기관의 AI 도입 장벽을 낮추는 혁신을 이끌어 간다.
슈나이더 일렉트릭과 엔비디아의 협력은 에너지 효율, 고성능, 확장성, 디지털 트윈 등에서 혁신적인 AI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실현하며, AI 도입의 대중화와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