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모델 기반 설계부터 로봇 기술까지…
1500명 참가로 국내 엔지니어링 트렌드 총망라

[아이씨엔 우청 기자] 매스웍스는 4월 8일 코엑스에서 ‘매트랩 엑스포 2025 코리아’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삼성전자·현대자동차 등 국내 주요 기업과 학계 관계자 1500여 명이 참석해 소프트웨어 정의 시스템과 AI·로봇 기술의 융합 가능성을 논의했다.
아비 네헤미아(Avi Nehemiah) 매스웍스 설계 자동화 소프트웨어 부문 총괄디렉터는 기조연설에서 “모델 기반 설계를 통해 하드웨어 변경 없이도 새로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며 소프트웨어 정의 시스템(Software-defined systems)의 산업 적용 가능성을 강조했다. 그는 모델 기반 설계(Model-Based Design)를 통해 요구사항부터 아키텍처, 기능, 구현, 테스트까지 이어지는 디지털 스레드를 구축하고, AI와 데이터 기반 기능, 클라우드 활용을 통해 하드웨어 변경 없이도 새로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자동차, 산업 기계, 의료 시스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제품의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핵심 요소로 자리잡았다.
정병찬 한화로보틱스 대표의 기조연설도 주목받았다. 그는 로봇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했다. “로봇 기술이 제조업을 넘어 서비스, 의료, 농업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고 밝히고, “이러한 확장은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의 발전과 결합되어 산업 생태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잠재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매트랩 엑스포 2025 코리아의 기술 세션은 알고리즘 개발 및 AI, 전동화, 모델 기반 설계, AI 응용 엔지니어링, 모빌리티, 무선 및 위성 등 6개 트랙으로 구성됐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텔레콤, 한국전력연구원 등 국내 첨단 기술 기업들이 참가해 매트랩과 시뮬링크의 활용 사례를 공유했다.
행사장에서는 현대자동차의 모델 기반 설계 데브옵스 통합 솔루션과 인하대학교의 실시간 제어 시스템 등 6개 기술 트랙별 실증 사례가 전시됐다. 특히 AI 기반 위성 시나리오 시각화 핸즈온 데모와 폴리스페이스 검증 플랫폼 시연이 참가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이종민 매스웍스코리아 대표는 “이번 행사를 통해 국내 엔지니어링 생태계의 혁신 방향을 확인했다”며 “AI·전동화 등 미래 기술 지원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