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13일, 목요일

삼성전자, ‘생성형 AI와 함께하는 보안’ 전략 논의

삼성전자, ‘제8회 삼성 보안 기술 포럼’ 9월 10일 개최

삼성전자 서울 R&D캠퍼스에서 개최된 ‘제8회 삼성 보안 기술 포럼’에서 삼성전자 DX부문 CTO겸 삼성리서치장 전경훈 사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삼성전자 서울 R&D캠퍼스에서 개최된 ‘제8회 삼성 보안 기술 포럼’에서 삼성전자 DX부문 CTO겸 삼성리서치장 전경훈 사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이미지. 삼성전자)

생성형 AI과 광범위한 성장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생성형 AI에 대한 보안 기술을 더욱 강화해 안전한 활용을 추진하고자 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삼성전자는 9월 10일 삼성전자 서울 R&D캠퍼스에서 학계·업계 관계자들이 모여서 보안 기술 분야의 최신 기술과 동향을 공유하는 ‘제8회 삼성 보안 기술 포럼(Samsung Security Tech Forum, SSTF)’을 개최했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은 이번 ‘삼성 보안 기술 포럼’은 ‘생성형 AI와 함께하는 보안: 생성형 지능과 함께 안전한 미래로 (Security with GenAI: Safeguarding the Future with Generative Intelligence)’라는 주제로 열렸다.

삼성전자 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겸 삼성리서치장 전경훈 사장은 환영사에서 “AI는 단순히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 만드는 것을 넘어, 보안 분야에서도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올해 기술 세션에서는 보안 분야 글로벌 주요 학회에서 발표된 논문의 저자들을 초청해 그들의 연구 성과를 소개했다. 또 삼성리서치에서 추진하고 있는 보안 분야 연구 활동인 인위적인 문자메시지 트래픽 부풀리기 (Artificial Inflation of Traffic, AIT) 탐지, 민감 데이터 보호 기술 등이 소개됐다.

이번 행사에서는 삼성전자 삼성리서치 시큐리티 & 프라이버시팀 김태수 상무가 “생성형 AI 시대에 더 안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한 도전과 기회”에 대한 기조강연을 했다. 이어 미국 뉴욕대학교(NYU) 컴퓨터공학부 브렌든 돌란 가빗(Brendan Dolan-Gavitt) 교수, 카이스트(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윤인수 교수, 포스텍(POSTECH) 컴퓨터공학과 박상돈 교수 등 보안기술 분야 석학들의 초청 강연이 있었다.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IO-Link Wireless
오승모 기자
오승모 기자http://icnweb.kr
기술로 이야기를 만드는 "테크 스토리텔러". 아이씨엔 미래기술센터 수석연구위원이며, 아이씨엔매거진 편집장을 맡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데이터에 기반한 혁신 기술들을 국내 엔지니어들에게 쉽게 전파하는데 노력하는 중입니다.
ACHEMA 2027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오토모션

Related articles

팀뷰어, ‘에이전트리스 액세스’ 공개… 스마트 팩토리 원격 운영의 ‘보안’과 ‘효율’을 잡는다

팀뷰어가 원격 운영 환경을 지원하는 ‘에이전트리스 액세스(Agentless Access)’를 출시한다. 팀뷰어의 엔터프라이즈 플랫폼 텐서(Tensor)에서 새롭게 제공하는 이 기능은 제조업체 및 OEM이 개별 기기마다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설치 없이 원격으로 접속하고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AI 미래 10대 전망, 인간의 선택에 달렸다

글로벌 리서치 기업 가트너가 2026년부터 주목해야 할 10대 AI 전략 전망을 발표했으며, 이는 AI 시대의 인재, AI 주권, 잠재적 AI(Insidious AI)라는 세 가지 핵심 트렌드를 중심으로 기술 변화뿐만 아니라 인간의 행동 변화에 주목해야 함을 강조한다

가짜 신분증? AI 눈은 못 속인다

데이터 플랫폼 기업 쿠콘이 신분증 사본 판별과 안면 인식 등 AI 기술을 결합해 비대면 거래 보안을 강화하는 ‘신분증 본인확인 패키지’를 출시했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fastechEcat
오토모션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