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일, 4월 19, 2025

노키아, 단순한 말이나 문구로 네트워크 운영이 가능해진다

노키아 벨 연구소(Nokia Bell Labs), 자연어 네트워크 연구 프로젝트 결과물 발표

미국에서 열린 브루클린 6G 서밋(Brooklyn 6G Summit)에서 개념 증명(PoC) 시연

사람의 말을 통해 최적의 네트워크 자율운영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노키아(nokia)는 진정한 네트워크 자율운영에서 큰 도약을 이뤘다고 밝혔다. 노키아에 따르면, 노키아 벨 연구소(Nokia Bell Labs)는 업계 최초로 자연어 네트워크(Natural-Language Networks)라는 혁신적인 연구 프로젝트 결과물을 발표했다.

NOKIA Bell Labs
six focus areas for UNEXT

이 프로젝트를 통해 노키아는 “단순한 말이나 문구로 이루어진 명령어로 네트워크를 운영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으로 이 네트워크는 사용자의 의도를 이해하고 자율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지능을 갖게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자연어 네트워크는 기존의 복잡한 네트워크 관리의 불편함을 사라지게 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요구에 훨씬 더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는 요청을 받는 즉시 모든 고객에게 최적의 네트워크 구성을 제공하고 관리할 수 있게된다.

노키아는 “자연어 네트워크는 스스로의 행동을 통해 지속적으로 학습하며 성공적으로 요청을 수행할 때마다 네트워크를 스스로 더욱 최적화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학습량이 많아질수록 자연어 네트워크가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요구 사항을 스스로 예측하고 사람의 개입 없이 스스로 적응할 수 있게될 전망이다.

차바 벌칸(Csaba Vulkan)노키아 벨 연구소 네트워크 시스템 자동화 연구 책임자는 “로봇 자동화를 위해 공장의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거나 콘서트장에서 소셜 미디어 업로드가 폭주하는 경우에도 단순 명령만으로도 망 최적화를 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노키아 벨 연구소는 10월 31일 – 11월 2일 뉴욕 브루클린에서 열린 브루클린 6G 서밋(Brooklyn 6G Summit)에서 자연어 네트워크의 PoC(Proof-of-Concept, 개념 증명)를 처음으로 시연했다.

자연어 네트워크는 노키아 벨 연구소의 혁신적인 연구 프로젝트인 ‘유넥스트(UNEXT)’의 일부다. 벨 연구소는 이 프로젝트의 이름을 그들이 개발한 대표적인 운영 체제(OS) ‘유닉스(UNIX)’에서 따와 유넥스트로 짓고, 과거 유닉스가 컴퓨팅을 재정의한 것처럼 이 프로젝트가 네트워크 소프트웨어와 시스템을 재편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유넥스트는 네트워크 자체를 하나의 OS로 진화시켜 간단한 방법으로 어떤 것이든 네트워크에 안전하게 통합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IO-Link Wireless
오윤경 기자
오윤경 기자http://icnweb.co.kr
아이씨엔매거진 온라인 뉴스 에디터입니다. 오토메이션과 클라우드, 모빌리티, 공유경제, 엔지니어 인문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는 아래 이메일로 주세요. => news@icnweb.co.kr
ACHEMA 2027
  • 파스텍 배너 900
  •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파스텍 배너 300
오토모션
Hannover messe

Related articles

급성장하는 미국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2029년까지 연평균 45.7% 성장한다

미국의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투자가 AI 기술 융합과 함께 급격한 증가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테슬라, 보스턴다이나믹스, 피규어, 어질리티 등의 휴머노이드 로봇 업체들의 행보가 주목된다.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지는 제조 혁신 – 보쉬의 디지털 제조 전략

독일 울름에 위치한 보쉬 렉스로스의 모델 팩토리는 개방형 표준으로 모범적인 제조 프로세스를 구축했다.

“AI가 제조업 생산성 혁신 주도한다”.. 팀뷰어 AI 기회 보고서

제조업의 78% 의사결정자가 주 1회 이상 AI를 활용하며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으나, 기술 숙련도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며, 반복 업무 자동화 등을 통해 월 10시간의 효율화 효과를 얻고 있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파스텍 배너 300
파스텍 배너 300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