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RT 장치 시운전 시간 75%까지 단축 가능
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 분야의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www.se.com/kr, 한국지사 대표 김경록)이 플랜트 분야 장치 성능 향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인 ‘에코스트럭처 필드 디바이스 엑스퍼트(EcoStruxure™ Field Device Expert)’를 출시했다.
‘에코스트럭처 필드 디바이스 엑스퍼트’는 플랜트 수명주기 동안 엔지니어가 현장 장치를 시운전, 구성 및 유지하는 방식을 향상시킨다. 특히 이는 지능형 시운전 마법사를 통해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분산제어시스템(DCS)인 ‘에코스트럭처 폭스보로(EcoStruxure Foxboro DCS)’에 완전히 통합된다. 따라서 HART 현장 계측장비를 감지, 구성, 시운전 및 테스트까지 완전히 자동화할 수 있으며, HART 장치를 자동으로 바인딩하고 구성할 경우 시운전 일정을 75% 이상 단축할 수 있다.

하니 포우다(Hany Fouda) 슈나이더 일렉트릭 공정자동화 관리 및 글로벌 판매 부문 부사장은 “EY의 보고서에 따르면 수십억 달러 규모의 큰 프로젝트 중 약 3분의 2가 지속적으로 기존 예산을 초과하고 있으며, 73%가 프로젝트 일정 기한을 맞추지 못하고 있다. ‘필드 디바이스 엑스퍼트’는 시운전 과정을 자동화하면 생산시간을 크게 향상시켜 프로젝트 수익률에 즉각적 영향을 줄 수 있다. 내부 검증 사례를 보면 투자수익률 계산 결과 96일이 절약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400만 달러에 달하는 추가 생산을 한 것과 동등한 것이다.”고 밝혔다.
회사측은 “전통적 수동 방식의 장치 시운전 방법은 인력 집약적이고 오류가 발생하기 쉬우며,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전문가에 대한 의존성이 높다. 필드 디바이스 엑스퍼트는 구성 및 시운전 과정의 자동화를 통해 하드웨어 의존성과 맞춤형 엔지니어링을 최소화 해준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자동화 프로젝트 실행 방식을 크게 바꾸고, 설계, 시기 및 활동 순서를 더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계산에 따르면, 기존 시운전 방법을 사용하면 각 자산을 구성하는 데 최대 50분까지 소요되지만, 필드 디바이스 엑스퍼트의 지능형 시운전 마법사를 사용하면 여기서 70% 감축해 15분으로 줄일 수 있다. 필드 디바이스 엑스퍼트는 플랜트 수명 주기 동안 지속적으로 현장 장치 구성과 상태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한다. 이는 곧 유지보수 기간이나 가동 중지 후장비를 다시 시작하는 일이 더 빠르고 쉬워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승모 기자 oseam@icnwe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