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진중인 스마트공장 확산정책에서 ‘스마트공장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다시 진행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정부는 ‘스마트 제조혁신 비전 2025’ 정책을 통해 오는 2025년까지 3만개의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겠다고 발표했으며, 2017년까지 약 5천개의 스마트공장을 보급했다고 그 성과를 밝혔다.
그러나, 실제 제조 현장에서는 현재 추진중인 스마트공장 지원책과 그 지원을 통해 구축된 스마트공장이 제조 현장이나 제조업 관리자가 구상하고 있는 스마트공장과의 현실감에 큰 격차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추가적인 스마트공장 고도화 추진에서도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스마트공장 추진에 나섰던 기업 대표를 비롯해 스마트공장 추진정책을 담당했던 스마트제조혁신센터도 지난 3월말 김철민 의원(민주당) 주최로 국회에서 열린 ‘스마트공장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에서 “스마트공장에 대한 명확한 정의규정이 없어 성장에 장애가 되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송병훈 스마트제조혁신센터장은 실제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평균 생산성 30% 향상, 불량률 45% 감소, 원가 16% 절감, 납기시한 35% 감소하는 등 스마트공장 지원정책이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러나 “스마트공장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다보니, 제조 현장 및 스마트공장 추진 담당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도 전했다.
실제로 스마트공장 구축에 나섰던 한 업체 대표는 “스마트공장이 축되어 있는 회사들의 대부분이 기초단계에 머물러 있다. 고도화로 가기 위한 노력에는 오히려 지원이 부족하다고 토로했다. “현재 정부 정책이 스마트공장을 많이 만들었다는 수치상의 결과치에 초점을 두고 있기때문이다. 스마트공장을 고도화된 제조시스템으로 재정의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스마트공장은 단순히 기존의 제조 설비를 자동화하는 것과는 다른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 그렇다고 MES 솔루션 하나 구축하는 것으로 스마트공장이라고 정의하는 것도 재검토가 필요하다.
송 센터장은 “스마트공장은 현재 자동화시스템 보다는 장비와 사람을 연결하는 새로운 요구를 반영해 복잡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며 “기술적으로 자동화를 넘어 ‘연결’이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스마트 공장은 이제 기존의 장비가 가진 통신 방법을 통일해서 연결가능한 환경을 만들고 공장 안뿐 아니라 밖까지 연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마트공장 추진은 이제, 무엇보다도 먼저 스마트공장에 대한 개념정의로부터 다시 시작돼야 할 때이다.
오승모 기자 oseam@icnwe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