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세계적인 슈퍼컴퓨팅 연구소인 미국 일리노이주 소재 국가슈퍼컴퓨팅응용센터(NCSA)와 함께 슈퍼컴퓨팅 기술 협력에 나선다.
NCSA(National Center for Supercomputing Application)는 세계 최초 그래픽기반 웹브라우저인 모자익(Mosaic)을 개발한 곳으로 미국 슈퍼컴퓨팅 연구분야 대표기관이다.
KISTI와 NCSA는 지난 7월 31일 미국 NCSA에서 슈퍼컴퓨팅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을 주제로 공동연구실 확대를 위한 MoA(Memorandum of Agreement, 합의각서)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측은 구체적으로 ▲슈퍼컴퓨터 하드웨어 개발 기술 교류 ▲슈퍼컴퓨팅 사용자 환경 기술 개발 ▲지진 재난 슈퍼컴퓨팅 기술 연구 ▲EDISON 계산과학 플랫폼 환경 구축(나노물리, 전산유체역학, 화학, 계산구조역학 등) 등에 대한 장기 공동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또한 ▲슈퍼컴퓨터 어플리케이션 개발 ▲슈퍼컴퓨팅 기반 연구 및 교육 환경 구축 연구 ▲빅데이터 처리를 포함하는 슈퍼컴퓨팅 미들웨어 연구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과학적 가시화 등도 추진한다.
이번 협약에서 주목할 것은 슈퍼컴퓨터 기술 공동연구다.
KISTI는 공동연구실을 통해 NCSA의 슈퍼컴퓨터인 ‘BlueWaters’ 구축 및 운영에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슈퍼컴퓨팅 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를 수행한다. KISTI와 NCSA는 그 동안의 협력을 통해 웹 기반 시뮬레이션 환경인 KISTI-NCSA Science Gateway(KNSG) 환경 개발과 지진 재난 분석 플랫폼인 Ergo 시스템의 HPC 기술 개발 등을 수행해 왔다.
KISTI는 지난해 국방과학연구소(ADD)의 슈퍼컴퓨터인 ‘바람’에 들어가는 대용량데이터 가시화 처리 도구를 개발하면서 국산 슈퍼컴퓨터 개발의 가능성을 보인 바 있다.
아이씨엔 매거진 news@icnweb.co.kr
한-미 슈퍼컴퓨팅 공동연구 추진된다
아이씨엔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