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일, 2월 4, 2025

LG전자, 국내 최대 규모 ESS(에너지저장장치) 통합 시험 설비 구축

국내 최대 용량 1.4MW 계통 모의 시험장치와 1.4MWh 배터리 설치
LG전자가 국내 최대 규모의 ESS (에너지저장장치, Energy Storage System) 통합 시험 설비를 구축했다.
LG전자는 7월 23일 LG 인천캠퍼스에서 ‘LG전자 MW(메가와트, MegaWatt)급 ESS통합 시험설비 가동식’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위원회 오태규 위원장과 LG전자 이상봉 에너지사업센터장이 함께했다.
106억원이 투입된 MW급 ESS통합 시험 설비는 국내 최대 규모로 알려졌다. MW급 ESS제품을 출시하기 전 실제 작동 환경에서 성능 규격 시험이 가능하도록 용량이 1.4MW인 계통 모의 시험장치를 설치했다. 또 1.4MWh 배터리와 1MW 모의 부하 장치, 에너지 관리 시스템 등을 갖췄다.
오태규 전기위윈회 위원장은 축사에서 “MW급 시험 설비 구축으로 국내에도 완벽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했다”며 “친환경 에너지산업 분야를 주도할 대용량 제품의 출시가 가능해졌다”고 평가했다. 기존 국내 계통 모의 시험장치의 최대 용량은 350kW였다. 지금까지 대형 빌딩과 발전용인 MW급 ESS제품은 현장 설치 전 부분적인 성능 테스트를 할 수밖에 없어 완벽한 품질 확보에 한계가 있었다.

LG전자 ESS 통합 시험 설비
LG전자 ESS 통합 시험 설비 구축

LG전자는 2014년 8월 ESS BD(Business Division)을 공식 출범하고 에너지저장장치 사업에 본격 진출했다. 같은 해 LG화학 익산공장에 3MW규모의 ESS 제품 설치를 시작으로 올 초에는 스마트그리드 보급사업**으로 대림산업 전주공장에 1MW급 ESS 설비를 공급하기도 했다.
LG전자는 MW급 대용량 시험 설비의 규모를 보다 확대할 예정이다. 빌딩용과 발전용 ESS제품에서 태양광이나 풍력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와 연계한 마이크로그리드*** 구축으로 사업 영역을 넓혀 ESS분야서 경쟁 우위를 구축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상봉 LG전자 에너지사업센터장은 “LG는 그룹 차원에서 친환경 에너지 사업에 지속 투자해 경쟁력을 갖춰 왔다”며 “우수한 품질과 고효율의 제품을 앞세워 친환경 에너지 사업을 선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이씨엔 뉴스팀 news@icnweb.co.kr

아이씨엔매거진
IO-Link Wireless
오윤경 기자
오윤경 기자http://icnweb.co.kr
아이씨엔매거진 온라인 뉴스 에디터입니다. 오토메이션과 클라우드, 모빌리티, 공유경제, 엔지니어 인문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는 아래 이메일로 주세요. => news@icnweb.co.kr
  • ACHEMA 2027
  • aw2025
  • 파스텍 배너 900
  •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aw2025
MWC
파스텍 배너 300
embeddedworld 2025
Hannover messe
semicon 2025

Related articles

LS 일렉트릭, 베트남 전력관리시스템 및 ESS 플랫폼 시장 선점 나선다

LS 일렉트릭이 데이터센터, 신재생에너지 전환 등으로 주목 받고 있는 아세안 전력 인프라 시장 공략에 나선다

넥스페리아, 프리미어급 SiC MOSFET 출시.. 미쯔비시와 파트너십

이 SiC MOSFET은 25°C에서 175°C의 작동 온도 범위에서도 RDSon의 공칭 값이 단지 38%만 증가하는 온도 안정성을 제공한다

[#HM24] LS 일렉트릭, 차세대 ESS로 유럽 친환경 전력 시장 공략

LS일렉트릭은 하노버메세 2024에서 글로벌 ESS(에너지저장장치; Energy Storage System) 시장 공략을 위해 개발한 차세대 ESS 플랫폼을 전면에 배치했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K-BATTERY SHOW 2024
파스텍 배너 300
Hannover messe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