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 4월 25, 2025

지능형 서비스로봇의 응용분야가 다변화된다

지능형 서비스 로봇 시장이 빠르고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로봇산업의 중심축도 이제는 제조용, 산업용 로봇에서 ICT 융합을 통해 다양한 고부가가치 상품·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 로봇분야로 이동하고 있다.

특히 전문 서비스로봇 분야는 가정, 교육, 의료, 국방, 건설, 농축산업, 해양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시장을 창출해 나가고 있다.

여전히 세계 로봇 시장은 제조(산업)용 로봇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있으나, 2015년 무렵에는 국방, 해양, 건설, 농업 등 전문서비스용 로봇이 주류 시장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고, 고령자용 서비스로봇 및 의료/헬스케어 로봇도 2020년경에는 시장 활성화가 가능해 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12년 기준 세계 로봇 시장 규모는 총 133.2억 달러로 전년대비 5.8% 증가하였으며, 그 중 전문서비스용 로봇 시장 규모는 34.2억 달러, 개인서비스용 로봇은 12.2억 달러 규모로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개인서비스용 로봇 시장은 전년 대비 90.6%의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 되고 있다.

이러한 성장세에 힘입어 최근에는 로봇산업에 본격적으로 참여하는 글로벌 업체들이 늘어나고 있다. 무려 로봇회사만 8개를 인수한 구글은 사물인식, 전신제어, 손, 발 등 세부 로봇기술에 있어 한발 앞서 나아가고 있으며, MS도 자사 게임기 ‘X-Box’의 ‘키넥트’ 센서를 로봇에 접목시키는 등 로봇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국내 서비스 로봇산업도 2012년 3,314억원의 생산액을 기록해 전년대비 7.7% 성장했으나, 수술로봇을 비롯한 의료분야, 청소·레저 가정용 로봇, 무인항공기·지뢰탐지 국방 분야 등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는 세계 시장에 비하여 청소로봇과 교육용 로봇에 편향되어 있는 실정이다.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1,900억원)은 삼성과 LG가 주도하고 있고, 교육용 로봇(587억원)은 KT, SKT 등 통신사가 주축이 되어 있다.

이미 국내 정부는 ‘지능형 로봇개발 및 보급 촉진법 제정(2008) 및 개정(2011), 정부 부서 내 정식 로봇조직 운영(지식경제부 로봇산업과), 지역 로봇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구축, 로봇산업진흥원 설립(2010.6) 등을 통한 범국가 차원의 로봇산업 발전체계 확보 및 육성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으며, IT융합을 통한 미래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성장시켜 나갈 것 임을 천명한 바 있다.

아이씨엔 오승모 기자 oseam@icnweb.co.kr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ASI
오승모 기자
오승모 기자http://icnweb.kr
기술로 이야기를 만드는 "테크 스토리텔러". 아이씨엔 미래기술센터 수석연구위원이며, 아이씨엔매거진 편집장을 맡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데이터에 기반한 혁신 기술들을 국내 엔지니어들에게 쉽게 전파하는데 노력하는 중입니다.
ACHEMA 2027
  • 파스텍 배너 900
  •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오토모션

Related articles

‘ABB 로보틱스’ 분할 독립한다.. 2026년 2분기 분할 상장

ABB 로봇사업부가 분할 독립한다. 2026년 2분기에 ABB 로보틱스로 공식 출범할 예정이다.

[HM25] ROBINT, 차세대 로봇으로 글로벌 확장 나선다

이 로봇들은 효율성과 유연성, 사용자 경험 향상을 목표로 하며, 산업 청소와 스마트 모빌리티의 주요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한다.

매트랩 엑스포 2025 코리아, 소프트웨어 정의 시스템 기술 혁신 주목

매스웍스가 개최한 '매트랩 엑스포 2025 코리아'에서 1500여 명의 기술 전문가들이 참여해 소프트웨어 정의 시스템을 강조했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파스텍 배너 300
오토모션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