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일, 4월 24, 2025

스마트머신, 4차 산업혁명의 방향 제시

한국기계산업진흥회(회장 정지택)가 9월 8일 광화문 포시즌스 호텔에서 글로벌 IT기업 소프트뱅크의 한국 자회사인 SBCK Technology와 공동으로 ‘2017 머신소프트 포럼(2017 MachineSoft Forum)’을 개최했다.

‘기계산업의 스마트화 추진전략’이라는 주제로 개최된 이번 포럼은 기계업계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제조혁신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됐다.

포럼의 명칭인 ‘MachineSoft’는 제품으로서의 ‘기계’ 및 제조업 근간으로서의 ‘설비’를 상징하는 ‘Machine’과 ICT, 엔지니어링, 지식·정보 등을 상징하는 ‘Software’의 합성어로 제조업의 스마트화, 디지털화, 지능화, 제조혁신 등을 의미한다.

2017 머신소프트 포럼
2017 머신소프트 포럼 (사진.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통한 생산성 및 경쟁력 향상은 제조업의 근간인 기계산업 혁신을 위해 가장 중요하고도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번 포럼은 기계산업의 ICT 융합 및 스마트팩토리 구축과 관련된 현장 중심의 궁금증 해소는 물론 글로벌 최신 기술동향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경희사이버대학교 정지훈 교수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미래기술 트렌드’라는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LS산전 유성열 연구원, SBCK Technology 김지훈 부장, 민관합동 스마트공장 추진단 김명섭 전문위원 등 각 분야 전문가의 주제발표가 이어졌다. 특히 다쏘시스템코리아 이장희 전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조용주 박사, 안랩 백민경 부장 등이 패널로 참여하는 ‘기계산업의 스마트화를 위한 제조엔지니어링의 역할’ 토론에서는 기계업계의 성공적인 스마트팩토리 구축 방안에 대한 현장 중심의 실질적인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

SBCK Technology 김지훈 부장은 기계 제조산업의 트렌드라는 주제발표에서 “소프트뱅크는 모바일, 빅데이터, 스마트 로봇이 가져올 인터넷 혁명, IoT(사물인터넷) 혁명, 인공지능 등 정보혁명을 이끄는데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독일, 미국, 중국 등 선진국들도 앞다퉈 제조 경쟁력 강화 전략을 기치로 내걸고 시장선점을 위해 제조 분야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고 밝히고, “우리도 가상의 제조환경을 구축하고 제조 현장의 품질개선 및 제조 현황에 대한 의사결정을 통해 제조 프레임의 변화를 주도해야 할 때다.”고 말했다.

4차 산업혁명은 ‘제조 패러다임의 혁신’을 의미하며 제조혁신의 궁극적인 지향점은 전 생산공정을 제조엔지니어링 및 ICT 융합기술을 통해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제어하는 ‘스마트팩토리’ 구현에 있다.

한국기계산업진흥회는 향후 제조혁신의 핵심기술인 제조엔지니어링 전반의 컨설팅, 인재개발, 정보지원 등을 통해 중소 제조업계의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지원해 나갈 방침이다.

오윤경 기자 news@icnweb.co.kr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ASI
오승모 기자
오승모 기자http://icnweb.kr
기술로 이야기를 만드는 "테크 스토리텔러". 아이씨엔 미래기술센터 수석연구위원이며, 아이씨엔매거진 편집장을 맡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데이터에 기반한 혁신 기술들을 국내 엔지니어들에게 쉽게 전파하는데 노력하는 중입니다.
ACHEMA 2027
  • 파스텍 배너 900
  •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파스텍 배너 300
오토모션
Hannover messe

Related articles

[AW2025] 마우저, 센서부터 AI, IIoT, 클라우드, 로보틱스까지 솔루션 소개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이번 AW2025 전시회에서 공장 자동화를 위한 글로벌 최신 기술 솔루션과 더불어 마우저의 서비스 및 자동화 도구를 소개한다

인피니언, 마이크로컨트롤러 3.5% 성장.. 글로벌 1위 달성

인피니언은 글로벌 마이크로컨트롤러 시장에서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HM25]슈나이더 일렉트릭, 차세대 자동화 솔루션으로 산업 혁신 주도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하노버메세 2025를 통해 산업 현장의 디지털 전환과 지속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선보인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파스텍 배너 300
파스텍 배너 300
오토모션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