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6일, 일요일

보쉬, ‘Digital Fuel Twin’으로 재생가능 합성 연료 사용 투명성 제공

클라우드 기반 연료 추적·인증 시스템
내연기관차 탄소중립 실현과 규제 대응

Bosch Digital Fuel Twin
Digital Fuel Twin enables digital documentation and provides evidence of climate-friendly fleet operation (image. Bosch)

보쉬(Bosch)가 개발한 ‘디지털 퓨얼 트윈(Digital Fuel Twin)’이 재생가능 합성 연료 사용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대폭 강화하며, 내연기관 차량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핵심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소프트웨어는 차량에 통합되어 재생가능 합성 연료(예: HVO100, E85 등)의 사용 이력을 디지털로 기록하고, 연료의 생산부터 주유, 실제 운행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클라우드에서 추적·인증한다.

이를 통해 차량 운용 기업은 각 차량별로 사용 연료의 종류, 탄소 함량, 실제 감축 효과를 정량적으로 증명할 수 있으며, 이는 감사 가능한 데이터로 환경보고서 및 규제 대응에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퓨얼 트윈은 생산된 연료와 실제 유통·사용된 연료의 양을 일치시키는 검증 체계를 갖추고 있어, 조작이나 허위 보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주유소, 차량, 클라우드 간의 ‘디지털 핸드셰이크’ 기술로 주유 시점의 연료 정보가 실시간으로 기록되며, 이 데이터는 가상 트윈 형태로 보호된 데이터룸에 저장된다.

“보쉬의 디지털 퓨얼 트윈(Digital Fuel Twin)을 통해 기업들은 재생 가능 합성 연료를 사용하고 있음을 쉽게 증명할 수 있습니다. 차량당 사용된 연료량과 탄소 발자국에 대한 감사 가능한 증거를 제공하며, 이를 보고서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Thomas Pauer, Bosch의 Power Solutions 부문 사장

보쉬는 이 기술이 유럽 주요 운송업체의 실증 프로젝트(예: Tour d’Europe)에서 이미 적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앞으로 디지털 퓨얼 트윈이 차량 전자제어장치에 소프트웨어 모듈로 직접 탑재될 예정이며, 2026년 양산차 적용이 목표다.

EU가 재생가능 합성 연료만 사용하는 내연기관 차량을 ‘탄소 제로 배출’ 차량으로 재분류할 가능성이 논의되는 가운데, 보쉬 디지털 퓨얼 트윈은 관련 인증과 규제 준수의 핵심 도구로 부상할 전망이다.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IO-Link Wireless
Source보쉬
우청 기자
우청 기자http://icnweb.co.kr
아이씨엔 매거진 테크니컬 에디터입니다. 산업용사물인터넷과 디지털전환을 위한 애널리틱스를 모아서 뉴스와 기술기사로 제공합니다.
ACHEMA 2027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fastechEcat

Related articles

오라클, ‘만능키’로 클라우드 장벽 허문다

오라클이 AWS, 애저, 구글 클라우드 등 여러 클라우드에서 자사 서비스를 하나의 계약으로 구매하고 사용할 수 있는 ‘멀티클라우드 유니버설 크레딧’을 발표했다

AI 전력 경쟁, 인피니언 800V로 판 바꾼다

인피니언이 엔비디아와 협력해,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효율과 유지보수 편의성을 높이는 800V 전력 아키텍처를 개발했다.

오라클, 차세대 네트워킹 ‘액셀러론’과 AI 슈퍼컴퓨터 ‘제타스케일10’ 공개

오라클이 클라우드 인프라의 성능과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차세대 네트워킹 기술 ‘오라클 액셀러론’과 이를 기반으로 한 AI 슈퍼컴퓨터 ‘OCI 제타스케일10’을 공개했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K-BATTERY_SHOW 2025
오토모션
fastechEcat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