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e

    O-RAN 얼라이언스, 제3차 백서·오픈 소프트웨어 4차 릴리스 발표

    O-RAN spec

    O-RAN 얼라이언스(The O-RAN ALLIANCE)가 원앤원(1&1)을 신규 사업자 회원으로 맞이하면서 개방형·지능형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배포에 힘쓰는 30개 모바일 네트워크 사업자로 구성된 범세계 커뮤니티를 확장했다.

    2021년 6월 29일 발행된 백서는 상업용 네트워크에 O-RAN 아키텍처의 풍부한 기능을 도입하고 가속하기 위한 주요 영역을 기술하고 있다. 또한 여러 업체와 상호 운용할 수 있는 보안 네트워크 배포를 위해 선정된 사용 사례를 위한 엔드 투 엔드(end-to-end) 사양의 최소 기능 모음도 개괄하고 있다. 웹사이트에서 보고서 전문을 확인할 수 있다.

    O-RAN 얼라이언스, ETSI·TSDSI와 협력

    O-RAN 사양 작업은 호환성을 보장하고 작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산업 기관과의 공통 표준 추진과 가치 일치화를 기반으로 한다.

    O-RAN 얼라이언스는 2021년 5월 27일 유럽통신표준연구소(ESTI)와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O-RAN 얼라이언스와 ETSI는 3GPP 기반 기술에 대한 지역 및 국제 표준화를 실현하고 촉진하기 위한 공통의 목표를 공유하고 있다.

    O-RAN 얼라이언스는 인도 통신표준개발협회(Telecommunications Standards Development Society, 약칭 TSDSI)와도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측은 인도 아대륙 지역의 개방형 인터페이스와 개방형 RAN 생태계를 성장시키기 위해 상호 협력한다는 데 협의했다.

    오픈 테스트 통합 센터(Open Test and Integration Centers, 약칭 OTIC) 신규 승인
    O-RAN 얼라이언스는 2021년 6월 28일 3개의 신규 OTIC를 승인했다.

    · Telefonica 주관 마드리드 소재 유럽 OTIC
    · Orange 주관 파리 소재 유럽 OTIC
    · Auray Technology 주관 Auray OTIC and Security Lab (대만)

    새로 승인된 OTIC는 O-RAN 제품과 솔루션 테스트의 일관성과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개방적이고 공정한 협업 환경을 확대하고 있다. 웹사이트에서 전체 OTIC 승인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오픈 소스 개발 간소화 위한 새로운 표준 협력 저작권 라이언스 제공

    O-RAN 얼라이언스는 새로운 표준 협력 저작권 라이선스(Standards Collaboration Copyright License, 약칭 SCCL)를 선보였다. SCCL은 오픈소스 커뮤니티가 솔루션 구현 시 O-RAN 사양의 유사 코드 섹션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라이선스를 규정함으로써 표준 기반 오픈소스 SW 생산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해 개발됐다.

    최진성(Alex Jinsung Choi) O-RAN 얼라이언스 최고운영책임자(도이치텔레콤(Deutsche Telekom) 전략/기술 혁신 부사장)는 “사업자가 각 사 네트워크에 단독형 오픈소스 코드를 배포하지 않더라도 오픈 소스가 개방형 구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오픈 소스는 공급업체가 상업적 구현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더 중요한 것은 레퍼런스 구현을 제공해 개방형 RAN 구성요소 간 상호 운용성과 공급업체 간 통합을 더 쉽게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2021년 6월 ‘O-RAN 얼라이언스 산업 서밋’ 다시 보기 제공

    6월 29일 열린 ‘O-RAN 얼라이언스 서밋(O-RAN ALLIANCE Industry Summit)’은 특히 상용화, 보안, 성능을 중심으로 최신 O-RAN 개발에 관한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했다. 90분간 진행된 이 행사는 웹사이트에서 주문형 다시 보기를 제공하고 있다.

    O-RAN 소프트웨어 커뮤니티가 개발한 RAN용 오픈 소프트웨어 4차 릴리스

    O-RAN 소프트웨어 커뮤니티(O-RAN Software Community, 약칭 OSC 또는 O-RAN SC)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오픈 RAN 솔루션의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2019년 4월 리눅스재단(Linux Foundation)과 협력해 설립됐다.

    ‘D’ 릴리스는 폐쇄 루프 처리 사용 사례를 지원하는 비실시간 RAN 지능형 제어(Non-RT RIC) 플랫폼, 근실시간 무선 지능형 컨트롤러(Near-RT RIC)를 위해 향상된 최신 x앱(xApp)과 새로운 성능 모니터링, 경고 지원 등 크게 개선된 기능을 제공한다.

    O-RAN 소프트웨어 커뮤니티 웹사이트(O-RAN Software Community website)에서 D 릴리스의 심층 정보를 살펴보거나 오픈 소프트웨어를 구할 수 있다.

    치린 아이(Chih-Lin I) O-RAN 기술운영위원회 공동 의장은 “이동통신사, 기존 공급업체 및 O-RAN과 함께하는 더 많은 기술 파트너가 합심해 내놓은 제4차 릴리스는 전체 O-RAN 소프트웨어 스택이 작동하도록 지원한 첫 번째 시도로 스마트 RAN이라 명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D 릴리스로 상당한 진전을 이루게 돼 기쁘다”며 “O-RAN 연구실은 소프트웨어 커뮤니티가 새로운 기능 구현과 통합 테스트 검증을 계속할 수 있는 안정적 환경을 제공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페르 베밍(Per Beming) 에릭슨(Ericsson) 표준/산업 이니셔티브 총괄은 “에릭슨은 O-RAN 얼라이언스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O-RAN 아키텍처 진화와 사양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에릭슨은 OSC D 릴리스에서 Non-RT RIC 자동화 애플리케이션과 R1 인터페이스의 토대를 마련한 것 외에도 A1 인터페이스 지원을 한층 발전시키며 Non-RT RIC 프로젝트에 핵심적인 기여를 했다”며 “rApp 개발을 지원하는 프레임워크 제공은 A1 인터페이스를 통한 인텐트 기반(intent-based) 관리의 핵심 측면으로 더욱 세분화된 지능형 제어와 최적화 결정을 가능케 한다”고 설명했다.

    미로슬라프 미클루스(Miroslav Miklus) 판테온테크(PANTHEON.tech) 최고제품책임자는 “리눅스재단의 또 다른 프로젝트에 기여하게 돼 기쁘다”며 “판테온테크가 OAM 구성요소에 새로 기여한 것은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진화와 채택을 통해 고객사를 돕기 위한 노력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최성현 삼성전자 기업 수석부사장 겸 삼성리서치 첨단통신연구센터 총괄(박사)은 “RAN을 지능화하고 맥락 인식 기능을 구현하는 것은 네트워크 최적화와 자동화에 대단히 중요하다”며 “삼성은 O-RAN SC 지원에서 A1 강화 정보(A1-EI) 및 x앱 프레임워크 강화에 초점을 맞춰 왔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삼성은 O-RAN 인공지능/머신러닝 프레임워크를 강화하는 것이 사업자가 선제적으로 RAN 운영의 폐쇄 루프를 최적화하고 자동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하리라 믿고 있다”고 말했다.

    기리쉬 게이톤드(Girish Gaitonde) 엑소리언트(Xoriant) CEO는 “엑소리언트는 SMO의 O1/VES 인터페이스에 코드를 기여함으로써 O-RAN 소프트웨어 커뮤니티에 참여해 왔다”고 밝혔다. 그는 “엑소리언트는 SMO와 O-DU, O-RU, O-CU, Near RT-RIC 등 다른 네트워크 기능 간 폐쇄 루프 자동화 사용 사례를 가능케 하는 아이디어로 OSC용 O-RAN O1/VES 인터페이스의 초기 구현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ASI
    Hordon Kim
    Hordon Kimhttps://powerelectronics.co.kr
    아이씨엔매거진, PEMK(Power Electronics Magazine Korea) 인터내셔널 에디터입니다. An international editor of ICN magazine and PEMK.
    K-BATTERY Show
    •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오토모션
    K-BATTERY SHOW 2024

    Related articles

    키사이트, 엔비디아 6G 리서치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AI 연구 협업

    키사이트가 엔비디아 6G 리서치 클라우드 플랫폼 솔루션 파트너로 선정됐다

    코보, 5G 매시브 MIMO 프리 드라이버 출시

    코보(Qorvo)는 3.5GHz에서 39dB의 이득을 제공하고 +29dBm의 피크 전력을 달성하는 프리 드라이버를 출시한다

    클라이언트용 Arm CSS, LLM 속도 향상과 시스템 전력 효율성 제공

    Arm은 모바일에서의 선도적인 AI 기반 경험을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클라이언트용 Arm 컴퓨팅 서브시스템(CSS)을 발표했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FASTECH
    오토모션
    FASTECH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