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e

    하니웰, 소형 먼지 센서 HPM 시리즈 출시

    하니웰, 먼지 센서 ‘HPM 시리즈
    하니웰, 먼지 센서 ‘HPM 시리즈 (사진. 하니웰)

    건강을 위협하는 공기 중 미세오염물질을 모니터링하는 먼지 센서

    센싱 솔루션 선도기업 하니웰의 Sensing&IoT 사업부가 신제품 먼지 센서 ‘HPM 시리즈’ 출시를 발표했다. 소비자들은 이제 먼지 센서를 통해 미세먼지, 매연 등 공기 중의 유해한 미세오염물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되었다.

    하니웰의 HPM 시리즈 먼지 센서는 가정, 빌딩 및 공공장소의 공기질 측정을 위한 냉난방 공조(HVAC: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시스템 및 소비자 제품용인 공기청정기 장착용으로 설계되었다. 하니웰 먼지 센서는 현재 중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하니웰의 신제품인 휴대용 PM2.5 실내공기측정기에 이미 장착되어 있다.

     

    하니웰의 Sensing&IoT 사업을 이끄는 그레이엄 로빈슨 사장은 “먼지 센서는 우리가 호흡하는 공기질을 측정하고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미세먼지로부터 우리의 몸을 보호하고 건강을 유지시켜 준다. 하니웰은 센싱 기술과 커넥티드 솔루션 분야에서 수십 년간 쌓아 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최첨단 센서 기술로 먼지 센서를 개발했다. 합리적인 가격대의 하니웰 먼지 센서를 통해 실내 공간에서 생활하는 거주자가 오염된 실내공기로 인한 호흡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하니웰 먼지 센서는 공기청정기, 차량용 에어시스템 및 휴대형 공기질측정기와 같은 다양한 소비자용 제품에 적용되며 레이저 센서를 적용해 입자 크기 2.5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초미세먼지를 정확하게 감지한다. 참고로 일반적인 머리카락의 굵기는 이보다 약 30배에 달하는 크기인 70마이크로미터이다.

    미국 환경보호국에 따르면 화석연료의 연소에서 배출되는 미세입자가 폐 깊숙이 흡착되거나 심지어 혈류에 침투하면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건물과 주택의 냉난방 공조 시스템 또는 공기 측정 장치에 장착된 먼지센서의 출력 시그널에 따라 건물 관리자는 공기 정화 시스템을 가동시키거나 외부 공기의 유입 여부, 공기필터의 교체 시기, 실내 환기 시스템 점검 시기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내 공기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레이저 광산란 방식의 먼지 센서는 주어진 환경에서 농도 범위가 0μg/m³~1,000μg/m³인 미세먼지를 정확하게 검출하고 측정한다. 그 후 미세먼지 크기와 농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시스템을 통해 운영자에게 알람 및 복구조치를 보낸다. 산업용 EMC 규격의 하니웰 먼지 센서 HPM 시리즈는 험하고 열악한 작업 환경에서도 정확하게 작동한다. 연속 2만 시간이라는 업계 최고 수준의 제품 수명으로 사용자는 제품의 안정성과 비용 절감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한 냉난방 공조 및 빌딩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하니웰 HBT(Home and Building Technologies)사업부와의 협업을 통해 먼지 센서를 사용할 경우 전 세계 천만 개 이상의 빌딩의 운영 및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오윤경 기자 news@icnweb.co.kr

    ASI
    오승모 기자
    오승모 기자http://icnweb.kr
    기술로 이야기를 만드는 "테크 스토리텔러". 아이씨엔 미래기술센터 수석연구위원이며, 아이씨엔매거진 편집장을 맡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데이터에 기반한 혁신 기술들을 국내 엔지니어들에게 쉽게 전파하는데 노력하는 중입니다.
    K-BATTERY Show
    •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오토모션
    K-BATTERY SHOW 2024

    Related articles

    아비바, 롯데이노베이트와 디지털 트윈 파트너십 강화

    아비바코리아는 롯데 이노베이트와 디지털트윈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원프레딕트, 하이텍앤솔과 AI 기반 산업설비 예지보전 사업 MOU 

    원프레딕트(윤병동 대표, onepredict.ai)가 설비 관리 시스템 전문기업 하이텍앤솔과 AI 기반 산업설비 예지보전 사업 제휴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기고] 미래 전력망을 위한 셀룰러 IoT

    셀룰러 IoT는 미래의 전력망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K-BATTERY SHOW 2024
    K-BATTERY SHOW 2024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