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일, 5월 1, 2025

공작기계 시장, 시장 부진 이어져

2019년 10월 공작기계 시장이 지속적인 시장 부진으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는 2019년 10월 공작기계 국내 통계 리포트에서 생산 수출이 전월 대비 소폭 증가했지만, 미중 무역분쟁 등 대외 불활실성 지속과 반도체 업황 부진, 글로벌 경기 둔화 등으로 부진한 흐름이 지속됐다고 분석했다.

(수주)
10월 공작기계 수주는 전년동월대비 29.3% 감소한 1,731억원을 보였다. 내수에서 14.2% 상승했으며, 수출수주에서 부진했다.
– 내수수주 : 849억원(전년동월대비 +14.2%) 
– 수출수주 : 882억원(전년동월대비 △48.3%)

2019년 10월 품목별 수주 중 NC절삭기계(1,666억원, +11.2%), 범용절삭기계(42억원, +18.3%)는 전월대비 증가했으나, 성형기계(23억원, △3.4%)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업종별 수주에서는 자동차 업종의 10월 수주가 432억원으로 3개월 연속 증가했다. 전월대비로는 2.9% 증가했으며, 전년동월대비 75.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
10월 공작기계 생산은 전년동월대비 26.4% 감소한 1,661억원을 보였다. 
전월대비로는 5.7% 증가한 수치지만, 1~10월 생산은 전년동기대비 15.6% 감소했다.

2019년 10월 품목별 생산에서 NC절삭기계(1,455억원, +4.5%), 성형기계(155억원, +4.5%), 범용절삭기계(50억원, +64.6%) 모두 전월대비 증가했다.

(수출)
10월 공작기계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22.7% 감소한 183백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출 실적은 전월대비 5.1% 증가하였으나, 1~10월 수출 집계로는 전년동기대비 10.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10월 품목별 수출은 NC절삭기계(126백만 달러, +12.9%), 범용절삭기계(14백만 달러, +65.8%)는 전월대비 증가했으나, 성형기계(43백만 달러, △20.5%)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지역별 수출은 아시아(83백만 달러, △5.5), 북미(30백만 달러, △2.0%)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반면, 유럽(52백만 달러, +10.9%), 중남미(5백만 달러, +57.7%)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수입)
10월 공작기계 수입은 전년동월대비 40.8% 감소한 65백만 달러를 보였다.
전월대비 5.4% 감소한 수치이며, 1~10월 수입에서도 전년동기대비 19.4% 감소했다.

품목별 수입 중 NC절삭기계(41백만 달러, +0.9%), 범용절삭기계(10백만 달러, +0.8%)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반면, 성형기계(14백만 달러, △22.4%)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지역별 수입은 아시아(39백만 달러, △5.2%), 유럽(20백만 달러, △11.0%) 지역은 전월대비 감소했다. 반면, 북미(6백만 달러, +36.2%) 지역은 전월대비 증가했다. 특히 아시아 지역 중 일본(21백만 달러, +7.3%)은 전월대비 증가했다. 반면에 미중 무역분쟁의 영향으로 중국(10백만 달러, △15.0%), 대만(5백만 달러, △2.8%)은 전월대비 감소했다.

공작기계 주요 국가별 수출현황

국내 공작기계 수주 현황

공작기계 수요업종별 수주 현황

공작기계 월별 수출 현황

공작기계 수입 현황\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공작기계 지역별 수입

 

IO-Link Wireless
오승모 기자
오승모 기자http://icnweb.kr
기술로 이야기를 만드는 "테크 스토리텔러". 아이씨엔 미래기술센터 수석연구위원이며, 아이씨엔매거진 편집장을 맡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데이터에 기반한 혁신 기술들을 국내 엔지니어들에게 쉽게 전파하는데 노력하는 중입니다.
ACHEMA 2027
  • 파스텍 배너 900
  •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오토모션
파스텍 배너 300

Related articles

EMO Hanover 2025: 금속 가공 및 생산 기술 혁신의 글로벌 허브

EMO 하노버 2025가 오는 9월 22일부터 26일까지 닷새동안 독일 하노버에서 열릴 예정이다

대만 기업들, 한국과 스마트 제조 혁신 기술 협력 강화 모색

스마트 제조를 선도하는 대만의 다양한 혁신 기술들을 국내에 소개하고 국내 기업들과의 협력을 적극 추진하기 위한 쇼케이스 행사가 열렸다

SIMTOS 2024, 인공지능 품은 디지털 제조 기술 선보인다

인공지능을 품은 스마트 제조 기술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이 4월 1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막했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파스텍 배너 300
파스텍 배너 300
파스텍 배너 300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