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일, 4월 29, 2025

인피니언 전력 모듈, 빠르고 유연한 전기차 개발 돕는다

인피니언이 다양한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개발을 위한 xEV 메인 인버터 용 전력 모듈 신제품을 출시했다.

인피니언의 HybridPACK DSC S2 전력모듈
인피니언의 HybridPACK DSC S2 전력모듈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코리아 대표이사 이승수)는 자동차 회사들이 가격 경쟁력이 우수한 다양한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를 개발할 수 있도록 xEV 메인 인버터용 전력 모듈 신제품인 HybridPACK DSC S2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인피니언의 HybridPACK DSC S2은 100kW부터 200kW까지 다양한 성능대의 인버터에 사용하도록 4개의 새로운 HybridPACK™ Drive 모듈로 구성되었으며, 기존의 HybridPACK DSC (double sided cooling)를 업그레이드한 제품이다. 이 모듈은 하이브리드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 용으로 80kW 대의 메인 인버터에 적합하며 높은 전력 밀도에 대한 요구를 충족한다.

인피니언은 또한 HybridPACK DSC 모듈에 EDT2 기술을 적용했다. 이 기술이 적용된 모델은 HybridPACK DSC S2와 FF450R08A03P2이다. 이는 750V 블로킹 전압의 칩셋을 사용해 한 차원 향상된 전류 밀도, 단락 회로 견고성, 뛰어난 경부하 전력 손실을 달성했다. 

업그레이드된 칩 기술과 더 높은 칩 온도 동작 성능으로 기존 HybridPACK™ DSC S1 대비 동일한 풋프린트로 40퍼센트 향상된 성능을 달성했다. 또한 매우 높은 전력 밀도를 가능하게 하므로 시스템 개발자가 하이브리드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공간 제약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HybridPACK Drive – 동일한 풋프린트로 다양한 성능대 지원

낮은 성능대 제품인 HybridPACK Drive Flat (FS660R08A6P2Fx)과 HybridPACK Drive Wave (FS770R08A6P2x)는 100kW~150kW 인버터를 위한 비용 최적화된 제품이다. 이들 모듈은 베이스플레이트 (인버터 냉각기와 접촉)의 구조가 달라서 열방출 성능이 다르다. 냉각 성능이 우수한 PinFin 베이스플레이트 대신, Flat 제품은 플랫 베이스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낮은 비용으로 낮은 전력 출력을 제공한다. Wave 제품은 리본 본드 (ribbon bond)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를 사용해서 Flat과 PinFin 제품의 중간 성능을 제공한다.

높은 성능대 제품인 HybridPACK Drive Performance (FS950R08A6P2B)는 200kW 인버터에 적합하다. 기존 모듈과 동일한 PinFin 베이스플레이트를 사용하고 있다. 다만 잘 알려진 알루미늄 산화막이 아니라 특수 세라믹 소재를 사용하여 냉각 능력을 20퍼센트 이상 향상시켰으며, 따라서 더 높은 전류 성능이 가능하다. Flat 및 Wave 제품과 마찬가지로 EDT2 (Electric Drive Train) IGBT 세대를 채택하였다. 이 칩셋을 채택한 모든 제품은 전기적 동작이 비슷하다.

FS380R12A6T4x는 Performance 제품의 변형으로서 150kW 인버터에 적합하다. PinFin 베이스플레이트와 특수 세라믹 소재는 같지만 IGBT4 다이에 기반한 다른 칩셋을 사용하여 이들 제품 중에서 최초로 1200V 블로킹 전압을 제공한다. 초고속 충전을 위해서 700V 이상의 배터리 전압을 사용하는 전기차에는 이러한 블로킹 전압이 필요하다. IGBT4는 8kHz 대의 스위칭 주파수로 SiC 모듈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좀더 경제적인 대안이다.

인피니언의 새로운 HybridPACK Drive 제품은 2019년 6월, HybridPACK DSC S2 제품은 2019년 7월부터 공급될 예정이다. 제품에 관한 추가 정보는 www.infineon.com/hybridpack에서 볼 수 있다.



.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ASI
오승모 기자
오승모 기자http://icnweb.kr
기술로 이야기를 만드는 "테크 스토리텔러". 아이씨엔 미래기술센터 수석연구위원이며, 아이씨엔매거진 편집장을 맡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데이터에 기반한 혁신 기술들을 국내 엔지니어들에게 쉽게 전파하는데 노력하는 중입니다.
ACHEMA 2027
  • 파스텍 배너 900
  • hilscher
ASI

Join our Newsletter

Get the latest newsletters on industry innovations.

파스텍 배너 300

Related articles

차량용 반도체 글로벌 선두업체는? 선두 2개 업체가 24% 점유

차량용 반도체 주요 공급 업체로는 인피이언과 NXP가 각각 13.5%와 10.4%를 보이며, 전년에 벌어졌던 격차를 다시 3% 포인트 수준으로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피니언, 25억 달러 규모 Marvell 자동차 이더넷 사업 인수

인피니언이 Marvell의 오토모티브 이더넷 사업부를 인수하여 차량용 마이크로컨트롤러 분야 글로벌 1위 지위를 강화하고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을 위한 시스템 역량을 확대한다

인피니언, 마이크로컨트롤러 3.5% 성장.. 글로벌 1위 달성

인피니언은 글로벌 마이크로컨트롤러 시장에서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기자의 추가 기사

IIoT

파스텍 배너 300
오토모션
오토모션

추천 기사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