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e
    Home Blog Page 621

    이더넷 통신을 위한 OPC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밍

    이더넷이 제조 및 프로세스 제어의 통합에 적극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광범위한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이 서로 통신할 수 없다면 이더넷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을 것이다.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의 공통점을 달성하려는 새로운 접근방법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그러했다. 그 새로운 접근 방법은 자주 충돌하는 인터페이스, 커뮤니케이션 프로토콜, 데이터 교환방식을 표준화된 방식으로 다루는 것이다. 그 방법이 바로 OPC(OLE for Process Control)이며 이것이 산업분야에서의 기술지형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 편집자 주>

    자동화 기술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만들어낸다. 이는 전형적으로 기온, 조류, 기압 같은 물리적 변수나 또는 유닛의 수, 에러정보 같은 다른 생산 데이터를 말한다. 이 데이터도 컨트롤러, 계측 디바이스, 계량기, 스캐너와 같은 다양한 소스로부터 나오는데, 이 데이터들은 대량 계산되어 지거나 다양한 종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다. 이중 일부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표 계산에 직접 사용되기도 한다.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위한 비주얼 소프트웨어에 직접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결국 엄청나게 많은 다른 자료들과 기기들, 제조사와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모두 한 공간 안에서 작동 해야만 하는 것이다.

    OPC가 개발되기 전인 10년 전까지만 해도 I/O기기들이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는 각각에 맞는 전용의 드라이버가 필요했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A와 컨트롤러 X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가 있어야 했고 다른 애플리케이션 B를 위해서는 다른 드라이버가, 애플리케이션 C를 위해서는 또 다른 드라이버가 필요했다. 각각의 데이터 소스는 애플리케이션 A, B, C의 요청에 따라 여러 번 데이터를 공급해 주어야 했다. 그리고 당연히 다른 컨트롤러 Y에서도 같은 과정이 반복적으로 필요했다.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각각의 드라이버 또한 요구되었다. 게다가 각기 다른 커뮤니케이션 프로토콜과 버스 시스템 때문에 드라이버의 수도 지속적으로 늘어날 수 밖에 없었다.

    OPC이전: 중복되는 데이터 생산과 전송으로 프로그래밍이 비효율적일 수 밖에 없었다.
    OPC이후: 데이터는 한 번만 생산되며 요청이 있을때마다 활용된다.

    OPC의 출현으로 이런 수고는 더 이상 필요 없게 되었다. OPC DA(OPC Data Access) 인터페이스는 다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이 다양한 다른 데이터 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단일화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하드웨어 제조사들은 이제 하나의 드라이버(즉, OPC서버)만 개발하면 그것으로 해결된다. 소프트웨어 제조사들 또한 아주 적합한 소프트 소켓인 OPC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만 공급하면 되게 되었다.

    클라이언트 서버 아키텍처의 원리대로 클라이언트는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한다. OPC 서버는 하드웨어 프로세스 데이터에 접근하여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다른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만든다. OPC 클라이언트는 제공된 데이터를 사용하거나 OPC 서버에 명령 할 수 있는데, 그러면 서버는 컨트롤 데이터를 하드웨어로 전달한다. 보편적인 OPC 소프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한 기기당 하나의 드라이버(OPC서버)만이 필요하다. 다른 많은 애플리케이션들은 이 서버에 접근하는 OPC 클라이언트들이다. OPC의 유용성으로 이제는 OPC 없는 자동화는 생각할 수 없게 되었다. 인터페이스는 거의 대부분 SCADA, HMI(비주얼), 프로세스 제어 시스템이 제공한다.

    OPC Data Access

    OPC는 원래 1996년에 인더스트리얼 오토메이션 인더스트리 테스크포스에 의해서 개발되었으며, 당시에는 개방형 표준 사용(Open Standards Specification)이라 불리었다. 이 표준사용은 컨트롤 디바이스와 서로 다른 제조사 드라이버간의 실시간 플랜트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것이다. 최초의 릴리스 이후 OPC Foundation 조직이 구성되어 OPC 표준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OPC Foundation에 따르면, OPC는 ‘개방형 표준을 통한 개방형 연결성’(open connectivity via open standards)이라 정의한다. 또한 OPC는 마이크로 소프트의 윈도우를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세계적인 주요 산업 자동화 벤더들의 공동연구에 의해 탄생한 첫번째 표준으로 ‘표준 사양의 한 시리즈’(a series of standards specifications)라고도 정의된다.

    OPC는 마이크로소프트(MS)가 개발한 컴포넌트 오브젝트 프로그래밍 모델인 OLE COM(공용 객체 모형)과 DCOM(분산된 컴포넌트 객체 모델)에 기반하고 있다. MS가 개발한 이 소프트웨어는 작고 독립적인 개체(구성요소)로 나뉘는데, 한 구성요소는 특정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방식을 지원한다. 가능한 방식들은 외부에서는 볼 수 있지만 개체의 내부는 숨겨져 있다. 이런 이유로 개체들은 싸여있고 한 개 이상의 인터페이스들은 외부를 위해 정의되어 있다. 그 인터페이스에는 어떤 기능이 있고,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가 쓰여진 레서피가 있다. 기능들은 다른 기능들을 가리키는 일명 ‘가상 펑션 테이블(virtual function table)’의 도움을 받아 전달된다. OPC는 고정화된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지 않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므로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연결을 간소화 하는 것인데, 이로 인해서 사용자들은 각기 다른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제조사에 얽매이지 않고 특정 사양 조건과 공급 여건에 따라 자신에게 적합한 제품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OPC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모두 공용 객체 모형(COM)의 개체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누가 개발했는지, 언제 개발되었는지, 어떤 프로그램 언어를 사용했는지, 어떤 OS에서 개발되었는지가 전혀 문제 되지 않는다. 공용 객체 모형의 개체로서 다른 모든 것들과 통신이 가능하다.

    DCOM(Distributed COM)과 함께 COM에 네트워크 성능이 추가되었다. 이는 같은 컴퓨터에서의 OPC 서버상의 서비스뿐 아니라 네트워크로 접근할 수 있는 모든 서버의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클라이언트는 로컬 서버나 원격 서버의 상태를 알 필요없이 필요에 따라 접속하여 활용하면 되는 것이다.

    OPC를 통한 데이터 통신

    처리과정을 비주얼화 하는 것은 현재 OPC의 주요 애플리케이션 분야가 되었다. 이것이 더 이상 놀랄만한 일이 아닌 것은 OPC가 본래 서로 다른 컨트롤러들간의 표준화된 접근을 필요로 했던 HMI 제조사들을 위해 탄생되었기 때문이다.

    포인터나 COM의 객체 지향적 접근은 사용자로 하여금 이미 관계가 끝난 OPC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기본 연결성을 훨씬 능가할 수 있도록 해준다. COM 개체는 다양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될 수 있다.

    만약 프로그램 언어가 C나 C++, Delphi, Net, VB6 같은 객체 지향, 또는 포인터 지향 프로그램이라면 현재 OPC 서버의 방법을 사용하는 각각의 클라이언트를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하다.

    OPC 클라이언트는 커스텀 또는 오토메이션 인터페이스와 같은 한두 가지 타입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OPC 서버에 접근하게 된다. 기능 지향형 언어인 C++이 주문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면 비주얼 베이직 같은 스크립트언어를 사용해서 자동화 인터페이스와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다. 각각의 클라이언트를 프로그래밍 하는 것의 장점은 당연히 애플리케이션이 각각의 요구조건에 맞춰질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버튼 하나로 PLC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레시피 편집기가 개발되었다면 사용자에게 힘을 실어주는 OPC 프로그래밍의 좋은 예가 된다.

    OPC 프로그래밍과 MS 엑셀

    OPC를 프로그래밍하는 것은 생각보다 쉽다. 각 솔루션 제공업체에서 다양하게 제공하는 OPC 프로그래밍 강의만으로도 충분하다. 이는 비싼 OPC 클라이언트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정말로 필요한가 라는 의문을 제기한다. 그렇다면 MS 엑셀을 OPC 클라이언트로 사용해보면 어떨까? MS오피스 애플리케이션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인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가 이를 가능하게 한다. 엑셀은 여러가지 좋은 방법으로 데이터를 표현한다. 막대형, 선형, 원형, 여러 그림이나 도표들이 상호관계나 추세, 경향 등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또한 수많은 제어요소들이 있다. 그것만으로 충분하지 않다면 더 많은 그래픽을 불러올 수도 있다.

    이 광범위한 계산능력 때문에 엑셀은 특히 오픈 루프나 폐루프 컨트롤에 적합하다. 공식 형태라면 거의 어떤 형태라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 순환 데이터 통합, 보고서, 데이터 분석, 경향 등 많은 가능성이 있다.

    결정적인 장점은 역시 거의 모든 사람들이 엑셀에 친숙하다는 것이다. 서비스 업종부터 영업사원이나 관리직까지 모든 사람들이 엑셀 사용법을 알기 때문에 새로운 사용법을 익히지 않아도 된다.

    레시피는 예를 들면 기온이나 압력 같은 매개변수 처리 과정을 모아놓은 것이다. 레시피는 보통 앞으로 생산될 특정 제품이나 제품타입을 대표하는데, 준비된 레시피들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다. 처리될 하드웨어 PLC는 풀다운 메뉴로 선택하고 데이터 전송은 버튼 하나로 시작된다.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은 언제라도 불러서 지정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레시피 편집기는 각기 다른 제조사의 컨트롤러로 작동해야 하는데 OPC 서버에 완벽하게 맞아 떨어지는 태스크라고 할 수 있다. 선택된 소프트웨어 디바이스에는 이미 입력리스트에 이더넷을 기반으로 한 산업 프로토콜이 들어있다. 지멘스의 프로토콜인 S7, S5는 물론이고, TCP/IP, HI와도 Modbus TCP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 이더넷 프로토콜은 Beckhoff, phoenix Contact, Schneider Electric, Wago 등의 여러 산업용 통신 인터페이스들과 아무런 문제없이 잘 맞는다. 뿐만 아니라 특별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기기를 위해 시리얼 통신을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데이터베이스의 컨트롤러에서만 레시피를 읽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필요하면 그 반대도 – 예를들어 제품이 바뀌었을 경우- 가능하다. 데이터 전송은 버튼하나로 시작되고 레시피는 컨트롤러에 불러올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전에는 테스트 비트가 스캔된다. 이 비트가 지정되는지 여부에 따라 데이터 전송이 허용되거나 제지된다.

    아이씨엔 매거진 2007년 03월호

    리니어, 알테라 Arria 10 FPGA 에 전력 솔루션 공급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대표 홍사곽)는 알테라(Altera) Arria® 10 FPGA 개발 킷을 위한 전력 관리 솔루션을 발표했다.
    리니어 테크놀로지의 솔루션은 Arria 10 FPGA 개발 킷과 지원 시스템 블록에 대한 핵심적인 전력 요건을 충족시킨다. 예를 들어, LTC3877 VID 컨트롤러와 LTC3874 위상 익스텐더DC/DC 레귤레이터는 12V 입력에서 코어 전원인 0.95V, 105A를 제공한다.
    Arria 10 FPGA에 대한 전력 감소의 장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이 솔루션은 FPGA의 정적 및 동적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6비트 병렬식 VID는 Arria 10의 SmartVID와 직접 인터페이스 한다. 또한 초저 값과 온도 보정된 DCR 부하 전류 센싱은 효율과 부하 전류 정밀도를 최적화 시킨다.
    리니어 테크놀로지의 제품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알테라 Arria 10 FPGA 개발 킷
    리니어 테크놀로지의 20A µModule® 레귤레이터(LTM4637)는 고속 트랜시버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 제품은 소형 15mm x 15mm LGA 또는 BGA 패키지에 차폐형(shielded) 인덕터, MOSFET, DC/DC 레귤레이터를 통합함으로써 가장 간단하고 빠른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 보드에 대한 기술적인 세부사항은 linear.com/altera에서 살펴볼 수 있다.
    파워일렉트로닉스 매거진 power@icnweb.co.kr

    실리콘랩스, 초저전력 정전용량 센싱 기능의 소형 칩스케일 패키지 제공

    IoT(Internet of Things)에 적합한 에너지 친화적인 마이크로컨트롤러(MCU) 선도기업인 실리콘랩스(Silicon Labs, 지사장 백운달)는 정전용량형 터치 센싱 기능이 필요한 초저전력, 소형 풋프린트의 IoT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8비트EFM8 MCU의 최신 제품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신제품 EFM8SB1 Sleepy Bee MCU는 1.78 mm x 1.66 mm WLCSP(wafer-level chip-scale package)로 제공되며, 기존 QFN 패키지로 제공되는 8비트 MCU 크기의 1/4에 해당되는 업계 최소 크기의 MCU이다. 이처럼 작은 MCU는 배터리로 동작하면서 터치 기반 휴먼 인터페이스를 가진, 공간 제약적이면서 장시간의 배터리 수명과 에너지 효율적인 휴먼 인터페이스를 필요로 하는 IoT와 산업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이다. 타깃 애플리케이션은 웨어러블, 리모콘, 블루투스 액세서리, e리더기(eReader) 뿐 만 아니라 산업 자동화, 홈 오토메이션 및 사무기기를 포함한다.
    EFM8SB1 Sleepy Bee MCU는 업계 선도적인 슬립모드 전력(전체 메모리 보존과 브라운아웃 탐지 기능 동작 상태에서 50nA)과 2 µs의 초고속 웨이크업 시간을 제공하는 실리콘랩스의 가장 에너지 효율적인 8비트 제품이다. 코어 속도는 25 MHz까지 설정되며, 플래시메모리 크기는 2 kB ~ 8 kB까지 다양하다. MCU는 1 µA미만의 초저전력 웨이크온터치 기능과 12개의 채널을 제공하는 업계 최고수준의 정전용량 센싱 컨트롤러를 내장하고 있어, 웨어러블과 같은 공간에 민감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온/오프 스위치의 필요성을 없애 준다.
    EFM8SB1 Sleepy Bee MCU
     
    실리콘랩스의 톰 패널(Tom Pannell) 마이크로컨트롤러 제품 마케팅 이사는 “EFM8SB1 Sleepy Bee는 뛰어난 에너지 효율성, 정전용량 터치 기능, 다양한 페리페럴 셋트, 업계 최소의 MCU 풋프린트, 업계 최고 수준의 개발 환경을 결합하여, 실리콘랩스의 ‘절충없는 MCU’ 설계 철학을 실현한다”면서 “8kB미만의 플래시메모리를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위하여 매우 작고 매우 낮은 전력을 소모하면서 정전 용량 터치를 지원하는 MCU가 필요하다면, EFM8SB1 MCU는 당신의 IoT 설계를 위한 완벽한 선택이다”라고 말했다.

    EFM8SB1 Sleepy Bee MCU 핵심사항

    • 최대 25 MHz single-cycle 8051 프로세서 코어
    • 1.78 mm x 1.66 mm WLCSP(wafer-level chip-scale package)로 이용 가능
    • 온칩의12채널 정전용량 터치 센스 컨트롤러
    • 전체 메모리 보존과 브라운아웃 탐지(BOD) 기능 동작 상태에서 50nA 슬립 모드
    • 저주파 내장 오실레이터(LFO) 동작상태에서 300 nA 슬립 모드
    • 150 µA/MHz 액티브 소모 전류
    • 1 µA미만의 웨이크온터치
    • 고속의 2 µs 웨이크업 타임
    • 시스템 및 전력 소모 요건에 최적화에 필요한 유연한 클록킹 아키텍처
    • 아날로그 및 디지털 페리페럴을 위한 특허 기술 크로스바(crossbar)
    • 심플리시티 스튜디오를 통한 정전용량 센스 프로파일러 및 라이브러리 등 개발 툴의 지원

     
    최첨단 온칩 정전용량 센싱 기술 제공과 더불어, 실리콘랩스는 심플리시티 스튜디오™ 개발 플랫폼을 통하여 제공되는 최고 수준의 정전용량 센스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터치 센스 인터페이스 설계를 지원하며, 정전용량 센싱 인터페이스를 IoT 제품에 추가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기능과 알고리즘을 제공한다. 심플리시티 스튜디오는 버튼 스캔으로부터 잡음 필터링에 이르기까지 양산제품에 이용할 수 있는 수준의 준비가 된 펌웨어를 펌웨어 개발자에게 제공한다. 정전 용량 터치 버튼의 실시간 데이터 및 잡음 수준을 시각화할 수 있는 심플리시티 스튜디오의 정전용량 센스 프로파일러를 사용함으로써, 개발자는 터치 및 노터치 임계값과 잡음 필터링의 설정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IoT 애플리케이션에 정전용량 터치를 추가하는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EFM8SB1 MCU는 고해상도의 CDC(capacitance-to-digital converter), 12비트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고성능 타이머, 향상된 SPI, I2C 및 UART 시리얼 포트를 포함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페리페럴의 다양한 조합을 제공한다. 이 같은 아날로그/혼성신호 페리페럴은 실리콘랩스의 특허기술 크로스바(crossbar)를 통해 개발자가 쉽게 구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
    파워일렉트로닉스 매거진 power@icnweb.co.kr

    ADI, 전력 변환 효율 강화로 사물인터넷용 배터리 수명 향상

    ADP5301 벅 레귤레이터, 180nA 대기 전류의 초저 부하에서 90%의 전력 변환 효율 달성해 스마트 밴드(fitness band)나 스마트 워치 같은 웨어러블 기기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 등의 사물 인터넷(IoT) 어플리케이션에 적합
    신호 처리 어플리케이션용 고성능 반도체 분야 글로벌 선도 기업인 아나로그디바이스 (www.analog.com)에서 초저부하(ultra-light-load)의 조건에서 업계 최고 전력 변환 효율을 달성함으로써, 휴대 장치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는 초저전력 벅 레귤레이터를 발표했다.
    초저부하조건에서90%의 효율을 달성하고, 소비하는 대기 전류(quiescent current)는 단지180nA에 불과해 ADP5301 벅 레귤레이터를 이용하면 이전 제품보다 오랜 시간 동안 최대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최근 사물 인터넷(IoT) 어플리케이션으로 각광받고 있는 스마트 밴드(fitness band)나 스마트 워치 같은 웨어러블 기기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 등에 적합하다. 이번에 출시된 신제품은 면적이 3.1mm² 미만인 소형 WLCSP 패키지로 출시되어 소형 폼 팩터(form factors)에 적합하다.
    ADP 5301 초저전력 벅 레귤레이터
    ADP5301 초저전력 벅 레귤레이터의 주요 기능
    180nA 대기 전류의 초저 부하에서 90%의 전력 변환 효율을 달성해 배터리 수명 연장
    6.5V~2.05V 입력 전압 범위로 다양한 배터리 전원이나 아키텍처 구동 가능
    낮은 출력 전압 리플(output voltage ripple)을 갖춘 선택 가능한 저잡음 강제 PWM 모드로 잡음에 민감한 아날로그 부하를 구동하며 이때의 IC의 최대 전류 출력은500mA까지 가능.
    통합 전압 관리감독 기능(Integrated voltage supervisory function)으로 전체 시스템 신뢰도 향상
     
    파워일렉트로닉스 매거진 power@icnweb.co.kr

    플랜트 현장의 이더넷 도입을 위해 필수적인 7가지 고려사항

    플랜트 현장은 매우 예민한 분야이기 때문에 오피스 네트워크가 아닌 산업용 이더넷을 구현해야만 한다. 플랜트 현장에서 이더넷을 도입함에 있어 무엇보다도 먼저 고려해야 할 7기지 사항을 알아본다.< 편집자 주>
    1. 네트워크 레이아웃에 대한 주요 고려사항은 플랜트 현장에 오피스 토폴로지(Office Topology)를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산업용 이더넷(Ethernet)을 갖춘 플랜트/머신 토폴로지를 구현해야 한다.
    오피스 이더넷(Office Ethernet) 인프라 구조는 전형적으로 온도제어 환경에 설치되는 상용 제품과 아울러 대규모 스타(Star) 토폴로지를 중심으로 고안된 스위치에 기반한다. 한편으로 산업용 이더넷(Industrial Ethernet) 아키텍처는 고속 이중화와 같이 산업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필요한 특징 요건 및 조건의 차이점들을 고려한다. 산업용 네트워크는 고온 및 고진동 규격의 디바이스, 금속 커넥터, 차폐(Shielding) 처리된 케이블 및 플랜트 환경(스타, 링, 트리, 라인)에 따라 달라지는 상이한 토폴로지를 구현한다. 뿐만 아니라 이들 스위치들은 자동화 시스템이 지원하는 동일한 개별장치들에 의해 구성되고 유지보수 되도록 고안된다.
    2. 이더넷(Ethernet)에 대한 주요 고려사항은 이미 알려진 배선 만이 아니다. 사용자에게는 자동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해 산업용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IEEE 802.3 표준 이더넷(Ethernet)은 배선, 매체 액세스 규칙 및 이더넷(Ethernet) 프레임의 구조를 정의한다. 해당 표준 기반의 통신을 활용하는 서로 다른 디바이스들이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 공존할 수 있다 하더라도, 이들 디바이스는 서로 통신하기 위해 동일한 프로토콜 또는 “통신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PROFINET은 분산 I/O, 기기간 연결, 기기 안전성 및 모션 컨트롤을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산업용 애플리케이션들을 사용하도록 설계된 통신 프로토콜이다.
    3. 최근 작업처리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고려사항은 네트워크가 얼마나 빠른가의 문제가 아니라, 데이터가 얼마나 정확한 예측을 토대로 신속하게 적재적소에 도달하는가에 있다.
    작업처리량은 실제로 네트워크의 속도를 결정할 때, 아주 중대한 요인이다. 작업처리량은 주어진 시간 내에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통신 패킷에서 반환시간을 단축시켜야만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PROFINET은 결정성적이고 신뢰할만한 통신이 깔린 플랜트 현장용으로 고안된 네트워크에서 최대의 작업처리량을 달성했다. PROFINET 패킷에서의 반환 시간은 표준 이더넷 TCP/UDP 이행시간보다 10배 정도 빠르다. PROFINET은 스피드와 결정성이 요구되는 시간을 다투는(time critical)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Ethernet Real time 채널을 이용하고, 구성(Config), 진단(Diagnostic), 네트워크 라우팅 및 벌크 데이터 전송 통신을 위해 표준 TCP/IP 채널을 사용하여 빠른 성능을 가진다.
    4. 네트워크 구성 시 주요 고려사항은 얼마나 셋업이 용이한가 뿐만 아니라, 작동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얼마나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 관계를 확립하고자 할 때, PROFINET은 프로그래밍 접근 대신에 구성을 통한 접근 방식을 활용한다. 통신을 프로그래밍하고 디버깅하는 대신에 디바이스들 간의 상호작용을 구성하는 오브젝트 지향적인 접근으로 인해, 시스템 통합관리자 및 최종 사용자들은 엔지니어링 및 시운전에서 25%를 확실히 절감시켰다. 이와 같은 진보를 위한 하나의 주요 요소는 자동적으로 네트워크 이용을 계산하여 시스템 전반에 대한 스캔 속도를 정의하는 PROFINET 구성 툴의 성능이다.
    5. 산업용 이더넷(Industrial Ethernet)에 대한 주요 고려사항은 현재 사용자에게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가가 아니라 동일한 이더넷(Ethernet)이 차후 사용될 사용자의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오늘날 제조업체들은 독점적인 전용 네트워크 및 인터페이스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높은 가치를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진보는 종종 단계적 접근방식으로 발생한다. PROFINET은 사용자가 peer-to-peer 통신, 분산 I/O, 기계 안전성, 모션 컨트롤 및 데이터 취득과 같은 상이한 제어 원리를 지원하는 단일의 이더넷(Ethernet) 네트워크 상에 자신의 페이스에 통합 자동화 솔루션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PROFINET은 연결 시 필요하게 될 차후 요건들을 처리하도록 제작되었다. 일례로 생산 수율, 매트릭스 등 여타의 생산과정의 측정치가 이더넷(Ethernet) 연결을 통해 해당 사업장에 용이하게 수집되도록 비즈니스 시스템(ERP)에 생산 데이터를 긴밀히 통합시키는 경향이다..
    6. 산업용 이더넷(Industrial Ethernet)에 대한 주요 고려사항은 이것이 이더넷(Ethernet)과 소통하는가 뿐만 아니라 이것이 다른 벤더들이 제작한 기기 및 이미 구현된 네트워크와 어떻게 통합되는가 하는 문제이다.
    PROFINET이 표준 이더넷(Ethernet) 스위치와 작업하고 TCP/IP 프로토콜(TCP/IP Protocol Suite)을 활용하기 때문에, PROFINET 기반 시스템은 전체 자동화 네트워크에 IGMP 스누핑(snooping) 및 VLAN과 같은 특별한 특징 또는 하이엔드 스위치의 요건 없이도 연결될 수 있다. PROFINET은 단지 네트워크 연결을 허용할 뿐만 아니라, 이들 표준을 사용함으로써 다중 벤더 솔루션들 간의 통신이 허용된다. PROFINET의 컴포넌트-기반 자동화 컨셉은 개방형 테크놀로지 XML을 활용하여 제어 시스템 내부와 무관하게 컴포넌트로서 기기 전체를 나타냄으로써 인터페이싱을 간편하게 한다. 이후 도식적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엔지니어링 툴은 컴포넌트들을 연결하고 기기들 간의 통신을 구성한다.
    7. 산업용 이더넷(Industrial Ethernet) 네트워크의 비용에 대한 주요 고려사항은 컴포넌트의 비용이 아니라 엔지니어링,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다.
     
    PROFINET 및 산업용 이더넷(Industrial Ethernet) 컴포넌트는 OPC 및 SNMP와 같은 IT 테크놀로지를 이용하며, 네트워크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게다가 PROFINET에 내장된 진단 기능은 네트워크 상태가 PLC 및 SCADA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으로 직접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모든 것이 중앙 제어실 한 곳으로부터 실행될 수 있게 함으로써 구성 및 문제 해결이 간단하게 되었다.
     
    < 제공: 지멘스㈜ 자동화사업부>
    아이씨엔 매거진 2007년 02월호

    산업 통신 프로토콜 구현에서의 XML 적용기술(IV-1)

    XML은 언어 자체의 특성상 플랫폼에 독립적이며, 정보의 표현 및 확장이 용이하여 분산된 필드상의 디바이스 정보들을 쉽게 통합할 수 있다. 데이터 구조와 스타일 정보가 분리되어 있어 통신 네트워크상의 기기들에 대한 DD 정보제공은 물론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에서도 동시에 활용 가능한 최적의 DD 언어로서 평가된다. < 편집자 주>
    글: 문용선, 순천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이영필, 레드원 테크놀러지㈜ 로봇연구소
    지난 기고에서는 EtherCAT 시스템 상에서의 XML 적용 기술 중의 하나로서 디바이스 동기화 기술인 Distributed clock(“DC”)에 대한 전반적인 처리 구조와 DC를 사용 및 가동하기 위한 XML 설정 등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이번 기고에서는 EtherCAT 시스템 상에서의 데이터 처리 구조에 대한 내용과 이에 대한 XML 인터페이스 기술에 대한 내용 중의 일부를 기술하고자 한다.
    표준 EtherCAT 통신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EtherCAT master와 slave 간에 송수신되는 Process data들의 처리구조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한다. 표준 EtherCAT 통신에서는 Sync manager로 기술되는 데이터처리 관리자를 통하여 모든 EtherCAT 통신상에서 송수신되는 모든 Process data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게 되는데 이러한 Sync manager에 대한 이해가 EtherCAT 통신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가장 핵심이라 할 수 있다. 특히 EtherCAT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의 측면에서는 이러한 Sync manager의 구조 및 처리 방식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인 항목이라 할 수 있다.
    본 기고에서는 이와 같이 EtheCAT 통신 시스템 상에서 송수신되는 Process data 들에 대한 처리를 담당하는 Sync manager의 구조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표준 EtherCAT 시스템 상에서 XML 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한 Sync manager를 생성 및 가동설정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기술하고자 한다.
    EtherCAT Sync manager
    EtherCAT 통신상에서 Sync manager는 EtherCAT master와 slave 간에 입출력 Process data 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처리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세부적으로 말하면 Process data(=Actual data)들이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모리의 특정 영역인 Sync manager channel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여 EtherCAT 통신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입출력 데이터를 제어한다.
    그림 1은 ESC 내의 Sync manager에 대한 구조에 대한 내용을 나타낸다.
    Sync manager는 ESC 내에 메모리상에 존재하게 되며, 입출력 채널의 생성 및 제어를 담당하는 Sync manager register와 입출력 Process data들이 저장되는 Sync manager channel들로 구분되어 사용된다.
    2.1. Sync manager channel
    Sync manager channel은 EtherCAT 입출력 Process data 들이 저장되는 특정 메모리 공간으로서 Sync manager register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서 생성 및 접근 제어된다. 표준 EtherCAT 프로토콜에서는 32개의 Sync manager channel을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사용되는 Sync manager chanel은 4개만을 사용하고 있다. 정의되어 사용되는 4개의 채널은 EtherCAT 통신상에서 Mailbox 통신 채널(2개 채널), Process data 통신 채널(2개 채널)로서 정의되어 사용이 된다.
    Mailbox 통신은 물리적 어드레스를 기반으로 하는 비주기적인 데이터 교환 방식으로서 표준 EtherCAT 프로토콜에서는 Sync manager channel 0~1(SyncM0~ SyncM1)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Process data 통신은 논리 어드레스를 기반으로 하는 주기적인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서 실시간 파라미터들에 대한 제어 및 모니터링 시에 사용되는 방식이다. Process data 통신의 경우에는 Sync manager channel 2 ~3(SyncM2~SyncM3)번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다음의 표 1은 표준 EtherCAT 상에서 제시하는 Sync manager channel 사용 규정을 나타낸다.
    2.2. Sync manager register
    Sync manager register는 EtherCAT Master와 slave 간의 송수신 Process data의 입출력 교환 방식(Process data 모드 또는 Mailbox 모드), 인터럽트 구성, 와치독 설정 등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관장한다. 8byte로 구성된 하나의 Sync manager register는 6개의 세부 레지스터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Sync manager register는 하나의 Sync manager channel을 제어하므로 모두 4개의 Sync manager register가 존재한다. 각각의 Sync manager register들은 ESC 메모리상의 “0x0800 ~ 0x0807 (SyncM0)” 에서부터 “0x0818 ~ 0x081F (SyncM3)” 어드레스 번지에 존재하고 있다. Sync manager register를 구성하는 세부 레지스터들에 대한 기본적인 포맷은 그림 2와 같다.
    Sync manager register를 구성하는 6개의 세부 레지스터들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은 표 2와 같다.
    표 2와 같은 Sync manager register들 중 Status SYNCM과 PDI CTRL SYNCM 레지스터를 제외한 모든 레지스터들은 EtherCAT slave device XML configuration 파일 내에서 사전에 설정해 주어야 한다.
    EtherCAT XML configuration 파일에서의 Sync manager 설정
    EtheCAT slave device XML configuration은 표준 EtherCAT Schema configuration 파일의 구조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Sync manager의 경우 EtherCAT Schema configuration 내에 “Sm” 엘리먼트로 정의되어 있으므로 Slave device XML configuration 파일 내에서의 설정 역시 Sm 엘리먼트를 기준으로 일련의 설정 과정이 이루어진다.
    3.1. Sync manager 생성
    EtherCAT slave device XML configuration 파일 내의 Sm 엘리먼트를 통하여 가장먼저 이루어지는 설정 과정은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사용할 Sync manager의 생성하는 것이다. Sm 엘리먼트의 수는 Sync manager의 생성 수를 의미하므로 “Sm” 엘리먼트의 생성을 통하여 표준 EtherCAT 통신 프로토콜에서 규정하는 4개의 Sync manger의 생성이 가능하다.
    생성된 4개의 Sync manger는 생성 순서에 따라 정해진 채널 구동모드를 가진다. Sync manager에 대한 순서별 채널 구동 모드는 표 3과 같다.
    3.2. Sync manager 크기 설정
    = Register Length SYNCM y 설정
    Sync manager의 크기는 곧 Sync manager channel들의 크기를 의미한다. Sync manager channel들에 대한 크기 설정은 표준 EtherCAT Schema configuration 파일 상에서 3가지의 속성으로서 정의하고 있다.(표 4)
    Mailbox 통신모드(=SyncM0~1)의 경우 위와 같은 채널크기 지정은 필수사항이다. 그러나 Process data 통신모드(=SyncM2~3)의 경우 입출력 Process data의 크기가 바로 Sync manager channel의 크기로 지정되므로 설정이 필요로 하지 않는다. 실제 작성된 EtherCAT slave device XML configuration 파일내의 설정은 그림 4와 같으며 설정된 구성은 ESC 내의 “Length SyncM(0~3) register”에 세팅되어 인지된다.
    3.3. Sync manager 어드레스 설정
    = Register physical start address SYNCM y 설정
    Sync manger의 시작 어드레스란 Process data를 저장하는 Sync manager channel들의 메모리 어드레스로서 물리적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Mailbox 통신모드의 경우에는 설정된 어드레스가 직접 접근되며, 논리적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Process data 통신모드의 경우 FMMU를 통한 물리적 어드레스 매핑 과정 후 접근된다. ESC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어드레스는 0x1000~ 0x1FFF 번지 이내로 제한되며, 해당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이 가능하다. Sync manager의 시작 어드레스 설정은 ESC 내의 “Physical start address SYNCM(0~3) register” 세팅되어 인지된다.
    아이씨엔 매거진 2007년 02월호

    귀사의 자동화 시스템 네트워크는 안전합니까?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개방화가 적극 추진되면서 보안에 대한 과제가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자동화 라인의 주요 생산 정보를 들여다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편집자 주>
    귀사의 자동화 네트워크 내에 혹시 누군가가 들어와서 마음대로 휘젓고 다니고 있다고 생각해 본적이 있는가? 정보 보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지적 재산, 생산 시간 및 다른 자산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Rockwell Software RSAssetSecurity는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소프트웨어는 중요한 시스템에 접속하려 하는 각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인증 제어 및 접속 제어를 중앙 방식으로 관리한다. 더 나아가, 이 소프트웨어는 각 사용자가 특정 작업을 하려 할 때를 이를 승인하거나 또는 이를 거부 또는 제한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전체 시스템에서의 보안 규정 관리
    RSAssetSecurity는 다른 로크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은 FactoryTalk 서비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여러 데이터 소스에서의 태그, 데이터 서버, 보안 설정 및 다른 프로젝트 관련 정보의 기준 설정을 통해 시스템 전체에 걸친 보안 규정을 중앙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 중앙 관리를 통해 자동화 시스템 내에 들어 있는 모든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이러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Rockwell Software 미국 보안 사업 담당 Mike Bush는 “RSAsset Security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시스템 전체에 걸친 규정 관리는 이러한 기능 중 하나이다. 이 기능을 통해 각종 공정 및 절차를 준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RSAssetSecurity를 통해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부분을 설정 할 수 있다.
    – 보안 관련 규정
    계정을 사용할 수 없게 될 때까지 사용자가 로그인을 할 수 있는 횟수 등과 같이 시스템 내에 들어 있는 모든 FactoryTalk을 사용할 수 있는 제품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규칙
    – 감사 관련 규정
    시스템을 사용 중에 있는 동안 어떤 보안 관련 정보에 대한 감사를 할지에 관한 규칙
    – 사용자 권한에 관한 규정
    어느 사용자가 백업 작업 및 복구 작업 등과 같은 시스템의 특정 기능에 접속할 수 있는지에 대한 규칙
    – 제품 관련 규정
    어느 사용자가 FactoryTalk 시스템 내에 있는 각 제품의 특정 기능에 접속할 수 있는지에 관한 규칙
    공통의 기반구조, FactoryTalk
    로크웰 소프트웨어의 공통 기반구조로 설계된 FactoryTalk는 제조 전 과정을 통해 로크웰소프트웨어 제조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통합되도록 하며, 공급업자와 고객에게 정보 투명성 및 연결성을 제공한다. 또한, FactoryTalk는 엔터프라이즈 시스템(ERP, SCM, CRM), ‘ControlLogix’, Allen-Bradley PLC 등과 같은 생산현장 제어기기 및 OPC 서버를 통한 광범위한 현장제어기기와의 정보통합을 보다 간편하고 쉽게 구축할 수 있게 한다.
    ‘FactoryTalk Directory’는 로크웰 소프트웨어 제품들에 구축되는 FactoryTalk 플랫폼의 첫 번째 구성요소다. 공장 생산 자원의 이러한 공통 주소록은 자동화 시스템의 변경 사항들이 모든 FactoryTalk 사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동으로 갱신되도록 해준다. 기본적으로 FactoryTalk Directory는 자동화 장치, 참고 데이터 서버, 알람, HMI 디스플레이 및 기타 생산현장의 작업자들이 수시로 참고하는 ‘전화번호부’ 역할을 한다.
    FactoryTalk Directory와 다른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접근법간의 큰 차이는 FactoryTalk Directory가 분산된 네임 스페이스를 고려한다는 것이다. 즉, FactoryTalk Directory는 단일 데이터베이스가 되려 하지 않는다. 오히려, 데이터를 여러 장소에 머무르게 하면서 사용자들에게 검색 가능한 단일 데이터베이스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HMI 및 제어시스템이 보다 분산됨에 따라 플랜트 내에서 ‘데이터 창고’였던 영역들간의 통신이 보다 중요해졌다. FactoryTalk Directory는 사용자들이 이러한 모든 ‘창고’의 행로를 유지하도록 도와 통신이 용이해진다.
    FactoryTalk의 두 번째 구성요소는 ‘FactoryTalk Live Data’다. 이것은 실시간 제조정보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전사적 액세스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이 정보는 OPC 서버로부터 생성되지만, FactoryTalk Live Data는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받을 수 있다. 또한, 기업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생산설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를 즉각적으로 반응성을 보이는 능력을 부여하며, 주요 시스템과의 통신에 장애가 있을 경우 백업 시스템으로 자동 전환함으로써 시스템의 신뢰성을 최대화 시킨다. 이중화 시스템으로 표현되는 이런 기능은 기존 제품들과의 많은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기존 시스템은 이중화 시스템 구축시 많은 프로그래밍 작업이 요구되며, 통신 연결 상태 체크를 위한 별도의 루틴이 필요했었다. 그러나 FactoryTalk Live Data는 별도의 프로그래밍 없이 간단히 이중화 구현이 가능하다.
    생산현장 단계의 세 번째 구성요소인 ‘FactoryTalk Audit’는 해당 시스템의 제조 자동화 계층에서 행해진 모든 변화들의 포괄적인 리스트를 관리한다. 이것은 특히 정부규제 준수가 중요한 제약 또는 식음료 산업에 종사하는 기업들에게 중요하다. 시스템에 나타난 변화는 언제, 누가, 어떤 변화를 일으켰는지에 대한 세부 사항들을 포함하는 ‘조사 데이터베이스’로 보내진다.
    개방형 네트워크에 필수적인 보안
    RSAssetSecurity에 들어 있는 다른 주요 기능으로 사용자 계정을 만들고 이 계정들을 사용자 그룹으로 합치는 기능과 컴퓨터 계정을 만들고 이 계정들을 컴퓨터 그룹으로 합치는 기능 등을 들 수 있다. 이 소프트웨어를 통해 이러한 작업들을 쉽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RSAssetSecurity를 통해 사용자는 자동화 시스템의 각종 리소스로의 접속에 보안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관리자는 어느 사용자가 어느 컴퓨터에서 어떠한 작업을 할 수 있는지를 설정할 수 있다. 중요한 작업이나 위험이 따르는 작업의 경우, 이 기능을 통해 제어 중에 있는 기기에서 보이는 곳에 있는 특정 컴퓨터를 통해서만 작업을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RSAssetSecurity를 통해 제어 네트워크 및 하드웨어 기기로의 접속에 대해 보안을 설정할 수 있다.
    이 소프트웨어는 Windows_ 보안과 통합되어 있다. 사용자는 윈도우를 통해 관리하고 인증 작업이 이루어지는 윈도우로 링크된 계정을 만들 수 있으나, 자동화 시스템으로의 접속에 대해 별도의 접속 허용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자동화 시스템의 보안에 대해 윈도우 도메인 컨트롤러에 의존하지는 않는다.
    기업 자동화 시스템 및 생산 시스템에 대한 보안 설정의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다. 특히 제조 환경 내에서 개방형 네트워크 사용하게 되고, 다양한 연결 방식을 채용하고 컴퓨터 시스템을 중앙 방식에서 분산화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보안 설정의 필요성은 더 중요시되고 있다. 큰 규모의 제조 업체는 보안 관련 문제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고 이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나 작은 규모 또는 중간 규모의 제조 업체들은 보안에 관련 각종 문제에 대해 많은 부분 공감하고 있지만 그것이 아직은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Bush는 많은 제조 업체가 물리적인 보안에 대해 관심을 보이는 만큼 디지털 보안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디지털은 점점 제조 환경은 우리 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보안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을 경우, 디지털이 무의미해지거나 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직원 및 공정, 절차가 제대로 구도를 갖춰야 한다”고 밝혔다.
    아이씨엔 매거진 2007년 02월호

    PoE(Power of Ethernet)에 대한 전기 과도상태의 내성

    PoE(Power of Ethernet)은 Power over LAN으로 불리기도 하며, 현재 표준 LAN 인프라 상에서 데이터와 전원을 함께 제공하는 혁신적인 기술로 사무실 및 산업용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편집자 주>
    글: Jean Picard, Texas Instruments Systems Power
    전기 과부하(Electrical overstress)는 전자장치나 전자 시스템의 오류, 반영구적인 기능저하 또는 일시적인 작동 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용 회로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은 전기적 과도상태와 같은 민감도를 증가시킨다. 과도상태를 억제하는 것은 과전압의 원인 및 심각한 정도(severity)가 알려지지 않은 이유로 설계자가 해결해야 하는 과제로 남아있다.
    전기회로를 설계할 때나 통합 시스템을 정의할 때, 시스템이 동작하게 될 환경을 위해 과부하의 원인을 확인하고 메커니즘을 정확하게 이해해야 한다. 이로써 시스템의 민감한 전기 부품을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는 간단한 설계 규칙을 정의할 수 있다.
    이에 이더넷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특히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이더넷 리모트 장비나 PD(powered device)에 전원을 공급하는 PoE(Power-over-Ethernet) 기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그림 1 참조)
    PoE 애플리케이션은 사무실에서 산업용 네트워크까지 환경 범위가 넓다. 이더넷 케이블 및 기기는 대부분 실내에 설치되지만, 일부 애플리케이션은 환경이 열악한 외부에 설치되기도 한다.
    통신 및 산업용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과도응답의 과전압 환경을 실험하거나 나타내기 위해 수많은 표준들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IEC 과도응답의 내성 표준의 경우에 과도응답은 3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 IEC 61000-4-2: ESD (Electrostatic Discharge)
    * IEC 61000-4-4: EFT (Electrical Fast Transient/Burst)
    * IEC 61000-4-5: 서지
    이러한 IEC 표준은 각 과도상태 카테고리에 적용할 수 있는 내성 테스트 기법을 규정하기도 한다. 이 표준은 과도상태 억제 부품 제조업체에게 각 부품의 표준화된 파형과 특성화 및 규격화될 수 있는 과전압 단계를 제공한다.
    정전기 방전(ESD)
    정전기 방전(ESD: electrostatic discharge)은 2개의 부도체 간에 접촉과 분리를 통해 전하 (electrical charge)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생성된다. 이 때 발전체(charged body)가 다른 사물의 낮은 전위와 가까워질 때, 에너지가 방출된다. 예를 들면, 카펫을 가로질러 걷고 있는 사람은 15kV 이상까지 대전될 수 있다. ESD는 모든 일반 모드의 전기적 사례(electrical event)이며, 일반적으로 하나의 장치에서 섀시 접지에 이르는 방전을 말한다. 한 가지 중요한 설계 가이드라인은 전류 경로를 분명하게 확인하는 것이며, 고감도 회로에 해롭지 않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더 좋은 방법은 방전 전류가 이 고감도 회로를 바이패스하는 대안적인 교류식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IEC 61000-4-2 표준은 금속성 기구를 쥐고 있는 사람의 ESD 사례를 가상 실험한 것으로 휴먼/메탈 모델(Human/Metal Model)로 불린다. 장비의 방전은 직접적인 접촉(접촉식 방전)이나 근접(공기 중 방전)을 통해 발생될 수 있다.
    이 모델의 테스트 단계는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ESD 파형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은 그림 2에 나타나 있다. 접촉 모드에서 ESD 생성기의 파형 파라미터는 표 2에 있다. 상승 시간은 1ns 미만이 될 것이며, 이는 매우 빠른 속도다. 전류 펄스의 총 시간은 약 150 ns이다.
    CDE(Cable Discharge Event)는 위협이 될 수 있다. 그 예로, 이더넷 케이블이 전하를 띠게 되면(대전현상) CDE가 발생하고, 케이블이 회로에 연결될 때 회로에서 방전된다. 이 케이블은 마찰대전(Tribocharging)이나 유도로 인해 주로 대전된다.
    테스트 기법을 이용해 CDE를 정의한 표준은 아직 제정되지 않았으나, 대부분의 제조업체는 자사의 설계를 평가하기 위해 내부 CDE 테스트 설정을 사용한다. 일부에서는 이 같은 방전을 보호할 수 있는 IEC Level-4 규격을 테스트한다.
    Note: IEC 61000-4-2 Level-4 방전을 통과할 경우, 장비가 CDE를 견딜 수 있다는 의견은 항상 맞는 것은 아니다. 테스트 2곳에서 대전된 커패시턴스가 다르기 때문이다. 이 테스트는 IEC ESD용 150pF vs CDE와 접지 GND에 대한 케이블 길이에 따른 커패시턴스 크기 대결이다. 집중 용량형(lumped capacitance)과 반대되는 분산 용량형을 이용한 전송라인 효과도 있다. CDE 방전은 테스트 장비에서 IEC Level-4 방전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버린다.
    EFT(Electrical Fast Transient)
    EFT(Electrical Fast Transient)는 모터와 다른 유도성 부하와 함께 스위치와 릴레이에서 아크 접촉 (Arcing Contact)으로 발생한다. 이는 산업 환경에서 일반적이다. 이 유형의 과도상태는 보통 커먼 모드 유형으로, 용량성 커플링에 의해 텔레콤 케이블로 도입된다.
    IEC 61000-4-4는 과도상태를 5kHz 또는 100kHz의 반복 속도에서 빠르게 발생시키는 고전압 스파이크로 정의한다. 표 3은 EFT 파형, EFT 버스트 반복 속도, 버스트 기간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단락 회로 전류 값은 개방형 회로 전압을 50Ω 임피던스까지 나누어 추정한다.
    PoE 케이블에 전송되는 전력 신호라고 하더라도, 이 전송이 통신 데이터 케이블에 있다는 것은 의미가 없다. 설치되어 사용될 때 고려되는 것이며, I/O 신호, 데이터, 제어 포트 카테고리에 속한다. 다음 등식은 EFT 전압 파형의 근삿값을 제공한다.
    IEC61000-4-4에서, 통신 케이블의 용량성 커플링 클램프는 통신 포트에서 테스트 전압을 커플링하기 위해 선호되는 기법으로, 여기에는 이더넷 케이블이 포함된다. 이것은 커플링이 포트에 직류 전기의 접속 없이도 수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100pF 디스크리트 커패시터를 직접 통할 수도 있다. 반복적인 속성 때문에 의미가 없는 EFT 사례는 통신 시스템의 작동 이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
    전기적 서지(Electrical Surge)
    과도상태는 상승 속도에의 까다로운 n 조건을 갖는다고 해도, 피크 전류와 시간의 관점에서 봤을 때 가장 까다롭다. 이 과도상태는 스트라이크에 불이 붙거나(직접적인 스트라이크나 간접적인 스트라이크 때문에 유도된 전압 및 전류) 전력 시스템을 스위치(부하 변경 및 단락 회로도 포함)함으로써 유발된다. 과도상태의 심각한 정도는 케이블이 빌딩 내부 또는 외부의 설치 여부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과도상태는 커먼 모드 유형이거나 차동형 모드 유형이다. 이 과도응답은 용량성 또는 자기장 커플링에 의해 텔레콤 케이블에서 유도된다. PoE 애플리케이션에서 DC 전력이 각 전송 쌍과 수신 쌍 2가지 모두를 사용해서 전송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예를 들어, DC 전압의 파지티브 P 측면은 TX 쌍에 있을 수 있는 반면, 리턴 N 측면은 RX 쌍 위에 위치할 것이다.
    꼬임 쌍 케이블에서, 각 쌍의 와이어 2개는 서로 꼬여 있으나, 쌍 사이에는 전혀 꼬임이 없다.(실제, 각 쌍은 인접해 있으며 서로 잘 분리되어 있다) P와 N 간의 서로 다른 모드의 과도상태는 각 케이블과 같은 유형이며, 직렬의 쌍은 테스트 전압이 관련되어 있는 한 언밸런스 라인으로 간주될 수 있다.
    IEC 61000-4-5는 과도 응답을 2개의 서지 파형으로 정의한다. 즉 1.2 × 50㎲ 개방형 회로 전압 파형과 8 × 20㎲ 단락 회로 전류 파형이다. 그림 6, 그림 7, 표 4는 이를 설명하고 있다. 다음 등식은 서지 단락 회로 전류 파형의 근삿값을 제공한다.
    IEC 61000-4-5의 3~5등급은 실외 애플리케이션과 더 높은 위협적인 레벨 조건에 적용될 수 있다. 대부분의 PoE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실내 케이블 설치만이 (사무실) 고려된다. 또한 IEEE 802.3은 접지에서 1500V 유전체 테스트를 견딜 수 있는 네트워크를 요구한다. 그 결과, 2등급(반 보호형 환경)만이 적용된다.
    또한, PoE 용으로 사용되는 이더넷 케이블의 적용할 수 있는 카테고리는 언밸런스형 및 밸런스형 회로/라인이다. 밸런스형 라인은 뚜렷한 라인 대 라인 테스트가 없을 수도 있지만, 커패시터 대신 방지장치(arrestor)를 통해 커플링을 사용한 라인 대 GND 테스트 설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설정은 테스트될 회로의 규정된 기능 조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 다른 표준은 ITU-T 권고형 K.20, K.21, K.44, K.45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 GR-1089-CORE (빌딩 내부 조명 서지 규격)도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텔레콤 표준은 10/700㎲ 전압 파형이다. 이 표준은 이더넷 네트워크에 적용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이 표준은 실내 및 실외 설치 모두를 이용해 장거리 텔레콤 신호 라인 상황에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다음호에 계속>
    아이씨엔 매거진 2007년 02월호

    안전 네트워크의 필요성과 과제, 그리고 CC-Link Safety

    CC-Link Safety는 국제표준의 개방형 산업용 네트워크인 CC-Link 프로토콜의 상위층에 각종의 전송 잘못을 검출하는 안전 기능층을 실현하도록 한다. 이로써 기계와 작업자의 안전을 동시에 실현하는 높은 전송 신뢰성을 갖춘 안전 네트워크이다.
    글: CC-Link 협회
    CC-Link Safety는 세계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오픈 필드 네트워크인 CC-Link 프로토콜의 상위 층에 각종의 전송 잘못을 검출하는 안전 기능 층을 실현하는 것으로 기계 안전 용도에 사용할 수 있는 높은 전송 신뢰성을 갖춘 안전 네트워크이다.
    안전 기능 층에 의해 검출할 수 없는 통신 에러율을 극히 낮게 억제하여 IEC61508 SIL3 및 ISO13849-1 Category4에 적합한 안전 시스템을 구축할 수가 있다. 또 안전기능 층이 CC-Link 프로토콜의 상위 층에 실현되었으므로 CC-Link Safety는 CC-Link와의 호환성을 유지해 케이블 등의 현재 자산의 활용, CC-Link 대응 제품의 접속, 종래의 엔지니어링에 유용 가능할 뿐만이 아니라 안전 통신에 대해서도 CC-Link와 같은 고속 통신이나 고속 응답성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안전 시스템의 부정 변경이나 설정 미스를 검출하는 구성 관리 기능, 트러블 원인을 신속히 분석할 수 있는 RAS 기능을 갖추어 안전 네트워크로서의 편리성이 뛰어나다.
    안전 네트워크의 필요성
    인간이 기계 장치나 로봇과 공동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어느 거리 이내에 가까워지면 기계 장치에 의해 인간이 다치는 위험성이 잠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센서 등에 의해 인간의 존재 검지를 실시해 인간이 위험 구역에 침입하면 기계 장치를 비상 정지하는 안전 시스템이 필요하다. 안전 시스템은 고장이나 노이즈에 의해 비상 정지가 부동작이 되지 않게 처리의 이중화나 진단 기능을 갖춘 설계가 특징이지만 이 때문에 통상의 제어 시스템에 비해 배선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최근 이러한 안전 시스템을 성배선화하기 위해서 안전 네트워크가 퍼지고 있다. 안전 네트워크는 비상 정지의 부동작의 원인이 되는 통신 장해를 검출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 통신 장해 검출 시는 한층 더 신속하게 기계 장치를 안전 상태로 이행하는 fail-safe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라이트 커튼이나 안전 스위치 등의 안전 기기의 안전 네트워크 대응에 의해 배선 수 및 배선길이가 감소해 코스트 삭감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안전 네트워크는 종류와 대응 기기 수가 다양화되고 있다.
     
    안전네트워크의 과제
    안전 네트워크를 도입해 안전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다. 안전 네트워크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능, 성능이 필요하다.
    도입 코스트의 저감
    현재의 공장에는 벌써 제어용의 네트워크가 부설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공장에 신규의 안전 네트워크를 도입하는 경우, 안전 네트워크 시스템이 기존의 네트워크나 기기와의 접속 호환성을 가지고 있으면 신규 설비투자비용을 절감 할 수 있다.
    또 네트워크 관리나 운용도 종래의 연장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습득에 필요한 시간낭비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안전 네트워크는 시장 점유율이 높은 FA네트워크와의 호환성을 가져 도입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속•고신뢰 통신의 실현
    안전 네트워크는 오류검출부호 등의 통신 에러 검출 기능을 갖추기 때문에 통상의 네트워크에 비해 통신 메시지에 저장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량이 적고, 한편 검출 처리를 위해 통신 응답성도 악화된다.
    또한 통신 속도가 고속화하면 시간당의 통신 에러 발생율도 비례해 높아지므로 고속 네트워크의 안전 대응은 기술적으로 어렵다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안전 시스템의 대규모•고속화를 향해 안전 네트워크에 새롭게 고속, 고신뢰화가 요구되고 있다.
     
    구성 관리 기능의 충실
    안전 시스템이 확실히 동작하기 위해서는 안전 네트워크의 구성 관리가 필요하다. 즉 안전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있는 기기의 정보를 관리하고 안전 네트워크의 안전성에 저촉되는 개조나 의도하지 않는 변경을 방지해 개수 공사에 있어서의 설정 실수를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RAS 기능의 충실
    안전 네트워크 시스템은 고장이나 비정상에 민감하게 반응해 fail-safe 동작 즉 기계 장치를 정지한다. 이 상태로부터 신속히 생산 설비를 재기동시키기 위해서는 fail-safe 동작의 원인이 수리를 필요로 하는 고장인가 또는 일시적인 비정상인가를 판단하기 위한 충실한 RAS 기능이 필요하다.
    또 네트워크 접속 기기 상태나 설정을 집중관리 할 수 있는 엔지니어링 툴도 생산 설비의 신속한 복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CC-Link Safety 시스템의 구성
    CC-Link Safety는 이러한 새로운 과제의 해결을 향해 설계, 개발되었다.
    우선 FA용 네트워크로서 일본 내에서는 물론 세계에서도 시장점유율이 높은 CC-Link를 기반으로 하여 프로토콜 호환성을 가지면서 안전 대응을 실시했다. CC-Link와는 데이터 링크 층 호환을 위해 기존 CC-Link 케이블의 이용 뿐만 아니라 CC-Link 대응 제품과의 혼재도 가능하다.
    따라서 CC-Link 도입이 끝난 공장에 있어 안전 시스템 도입의 설비투자액을 억제할 수 있다. CC-Link Safety에 접속할 수 있는 기기로서 CC-Link Safety 대응 마스터 국(이하, 안전 마스터 국) 및 CC-Link Safety 대응 슬레이브 국(이하, 안전 슬레이브 국)이 있다. 안전 슬레이브 국은 안전 마스터 국 이외의 CC-Link Safety 대응 제품을 가리키며 안전 리모트 입출력 국, 안전 리모트 디바이스 국으로 구성된다.
    CC-Link Safety 및 CC-Link의 주된 사양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양자는 물리 층과 데이터 링크 층이 공통되므로 통신 속도와 전송 거리에 차이는 없지만 CC-Link Safety의 안전 국의 대수와 안전 리모트 레지스터 점수가 CC-Link에 비해 제약을 받고 있다. 그러나 안전 리모트 레지스터는 아날로그값 등 기계 안전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인 제약은 되지 않는다.
    이 통신 성능과 점수가 있으면 단위기계의 기계 장치는 물론이고 자동차 조립 라인 등 다수의 공정으로 구성되는 대규모 안전 시스템도 충분히 구축할 수 있다.
    안전 기능 층
    안전 기능 층의 실현을 위해서 CC-Link Safety의 안전 데이터에는 런닝 번호와 CRC32를 포함한다. 브로드캐스트 폴링 방식의 경우, 폴링과 응답 메시지의 메시지길이가 커지면 통신 시간이 길어지고 폴링의 주기도 길어진다.
    CC-Link Safety는 안전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하지 않는 안전 워드 데이터의 영역에 CRC32등을 격납하기 때문에 안전 슬레이브 국 통신 데이터도 일반 슬레이브 국 통신 데이터와 같은 메시지 길이가 된다. 따라서 안전 통신에 의해 폴링 주기가 길어지지 않고 CC-Link와 같은 고속 통신, 응답성을 달성하고 있다.
    구성 관리 기능과 안전화
    CC-Link Safety에서는 각 안전 국에 고유의 제품 정보를 이용해 안전 네트워크의 구성 관리를 실시한다. 제품 정보는 CC-Link 협회가 관리하는 기종마다의 제품번호나 제조 시리얼 번호 등으로 정의된 제품 개별의 다른 정보이다. 최초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했을 때에 네트워크 접속 기기의 제품 정보를 안전 마스터 국에 등록해 두어 그 이후의 안전 마스터 및 안전 슬레이브 국의 기동 시에 자신의 제품 정보와 안전 마스터 국에 등록되어 있는 제품 정보를 조합하는 것으로 안전 네트워크 시스템의 변경이나 수리 후의 공사 잘못을 검출을 할 수 있다.
    게다가 제품 정보 뿐만이 아니라 각 안전 슬레이브 국의 파라미터도 안전 마스터로부터 전송되어 각 안전 슬레이브 국이 조합 체크한다. 제품 정보 및 파라미터의 불일치 혹은 미비가 검출되었을 경우 안전 슬레이브 국은 데이터 링크 층에서의 통신을 정지한다. 즉 fail-safe 상태가 된다.
    이러한 것들에 의해, 예를 들면 국번의 설정 미스나 국번 스위치의 고장 혹은 네트워크의 설계자가 의도하고 있지 않는 안전 시스템이었을 경우의 오작동을 막을 수가 있어 부정한 개조•변경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 기능에 의해 안전 시스템을 정확히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C-Link는 슬레이브 국의 파라미터 설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CC-Link 모니터 툴과 파라미터의 표준 기술 형식인 CSP(CC-Link System Profile)를 제공하고 있다. 슬레이브 국의 기기 고유 정보나 파라미터를 CSP 파일에 기술하면 CC-Link 모니터 툴로부터 파라미터 설정이나 열람이 가능해진다. CC-Link Safety에서는 CC-Link 모니터 툴 호환의 모니터 툴과 안전 슬레이브 국 전용으로 기능확장 한 CSP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툴에 의해 설정 항목이 많은 안전 슬레이브 국의 파라미터 설정이나 열람이 용이해진다.
     
    안전 기기의 메인트넌스와 RAS 기능
    안전 네트워크는 기기의 고장이나 통신 장해를 적극적으로 진단, 검출해 fail-safe 정지하기 때문에 통상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비해 예기치 못한 정지가 발생하기 쉽다. 정지가 수리를 수반하는 고장에 의한 것일까, 노이즈나 우발적인 장해로 재기동 할까를 신속히 판단해 안전 네트워크의 복구를 실시하기 위해서 CC-Link Safety는 RAS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CC-Link의 RAS 기능은 리모트 국의 동작 상태, 진단 결과, 에러 코드 등을 메시지로서 안전 마스터에 송신해 안전 마스터 국에서 이력 관리하는 기능이다. 안전 슬레이브 국이 통신 장해 등으로 RAS 정보를 안전 마스터에 송신할 수 없는 경우 안전 슬레이브 국의 재기동시에 송신하게 된다.
    향후 CC-Link Safety의 방향
    는 CC-Link와의 호환성, 고속•고신뢰 전송, 안전 기능의 확실한 실현, 용이한 메인트넌스를 가능하게 한 안전 네트워크이다. 기존의 CC-Link 자산을 활용해 IEC61508 SIL3 및 ISO13849-1 Category4의 안전 시스템을 구축할 수가 있다. 현재 CC-Link Safety는 안전 인증 기관 TUV에 의해 안전심사 중이다.
    CC-Link Safety 기능 확충으로서 에러 정보 외, 안전 슬레이브 국의 각종 정보(파라미터, 스위치 상태 등)를 수집해 모니터 툴을 이용해 시스템 이용자가 간단하게 체크 할 수 있는 기능을 계획하고 있다.
    향후 CC-Link 협회는 안전 기기 메이커에 대해서 CC-Link Safety 대응 제품의 개발 및 확충을 부탁함과 함께 일반 사용자에 대해서는 CC-Link Safety의 이점의 계몽과 사례 소개를 추진해 CC-Link Safety가 사용자 또는 파트너메이커에 있어 보다 매력적인 존재가 되도록 노력하겠다.
    아이씨엔 매거진 2007년 02월호

    고속 시리얼 버스 기술의 동향과 새로운 계측 기술

    시리얼 버스 구현 방식이 획기적으로 변화하면서 설계자들은 단지 하나의 전송 경로가 아니라 동시에 다수의 레인에서 버스 활동을 획득하고 신호의 로직 및 물리적 특성을 모두 분석할 수 있는 분석 및 디버깅 솔루션을 추구하게 되었다.< 편집자 주>
    성능이 검증된 1세대 시리얼 버스 기술은 현재 널리 배치되어 있다. 다양한 신규 소비재 제품에 PCI 익스프레스, SATA 및 기타 시리얼 구현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시리얼 버스는 패러렐 버스에 비해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동시에 회로 레이아웃을 간소화한다. 최근에는 주요 디자인에 이와 같은 첨단 시리얼 기술이 도입되기 시작했다.
    더 빠른 시리얼 버스 기술 즉, 2세대 및 3세대 시리얼 버스 아키텍처인 HDMI 1.3, SATA III, PCI-Express 2.0 등이 출시되거나 개발되고 있다. 대부분의 최신 시리얼 데이터 버스 아키텍처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더 높이기 위해 멀티 레인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멀티 레인 구성에서는 시리얼 데이터 패킷이 먼저 분해된 다음 4, 8 또는 그 이상의 ‘레인’을 통해 동시에 전송된다.
    분명 4개의 레인은 1개의 시리얼 레인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최근 널리 보급된 SERDES(serializer/ deserializer) 장치 기술 덕분에 송신 및 수신측에서 데이터를 분류하는 작업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SERDES를 통해 물리 계층 아키텍처는 더 이상 이전 패러렐 버스 디자인의 엄격한 타이밍 및 데이터 동기화 요구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었고 그 결과, 서로 관련되어 있지만 시간상으로 느슨하게 배열된 패킷 세그먼트가 트랜스미터와 리시버 사이의 개별 레인으로 전달된다. 2006년 말에서 2007년 초 사이 멀티 레인 구성은 4 레인에서 32 레인에 이르고 있다.
    다수의 시리얼 버스 기술에서 공유하고 있는 또 다른 특징은 데이터 패킷의 8b/10b 인코딩이다. 8b/10b 인코딩 체계란 시리얼 전송을 위해 8비트 데이터 바이트를 10비트 기호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인코딩을 통해 데이터 값에 관계없이 1과 0이 비교적 균형 잡힌 조합을 이루게 되므로 클럭 복구가 간편해진다. 인코딩에서 추가되는 비트는 또한 오류 감지에도 유용하게 활용된다. 검증, 적합성 테스트, 문제 해결 작업의 일부로 신호를 획득하고자 하는 엔지니어의 경우 8b/10b 인코딩 방식으로 인해 추상 계층과 복잡성이 더해지는 단점도 있다.
    텍트로닉스의 새로운 디지털 시리얼 분석기 DSA70000 시리즈는 물리 계층 및 프로토콜 획득 요구에 모두 부응하는 제품이다. DSA70000시리즈는 신호의 모든 아날로그 정보를 캡처하는 기존 오실로스코프 획득 방식과, 복잡한 패킷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지만 디지털(바이너리) 캡처라는 한계를 가진 프로토콜 분석기 사이의 오랜 차이를 극복한 제품이다.
    물리 계층 문제에서 야기된 멀티 레인 획득 방식
    DSA70000 제품은 시리얼 장치 검증, 적합성 테스트, 디버깅 작업에 완벽한 통합 접근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물리 계층 설계 문제를 해결한다. 위 세 가지 분야의 요구조건은 신호 무결성 측정에서 명백한 논리적 오류의 추적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멀티 레인 시리얼 버스에서 검증 또는 디버깅 작업을 수행하는 설계자들은 동시에 4개 이상의 레인에서 실시간 데이터 세트를 획득해야 한다. 검증의 경우, 프로세스 후반에 문제가 발견될 경우에 대비하여 추후 검색 및 심층 분석이 가능하도록 정보를 저장해야 한다. 항상 오류가 발생된 전후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4개 레인의 시간 상관(time-correlated) 데이터를 기록한다면 오류 이벤트뿐 아니라 모든 레인에서 오류 전후의 이벤트에 대한 시각을 확보할 수 있다. DSA70000 시리즈는 완전한 실시간 샘플링 속도로 4개 레인 모두의 고속 시리얼 데이터 트래픽을 최고 4 ms까지 캡처할 수 있다.
    디버깅의 경우, 설계자들은 멀티 레인 획득 기능을 통해 레인 사이의 상호 작용을 관찰할 수 있다. 오늘날과 같이 밀접하게 배치된 회로 디자인에서는 과도 현상이 하나의 신호 경로에서 인접한 다른 경로로 손쉽게 전파되는 ‘누화(crosstalk)’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고속 시리얼 장치에서 2개 이상의 레인에 영향을 주는 이상 현상 중 하나이다. DSA70000 시리즈는 완전한 샘플링 속도로 동시에 4 채널(레인)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2번 레인의 이상이 3번 레인의 신호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 파악하기가 쉽다.
    또한 DSA70000 오실로스코프는 우수성이 입증된 지터 분석 기능을 통해 동시에 4 채널 모두에서 TIE(Time Interval Error) 및 RJ/DJ(Random and Deterministic Jitter)와 같은 지터 특성을 포착할 수 있다.
    다른 물리 계층 작업의 경우 ‘한 번에 한 레인’ 방식으로 처리된다. 특성 파악 측정의 경우 대부분 설계자들이 단일 채널 파형의 관점에서 신호 무결성 문제를 파악해야 한다. 또한 업계 표준에는 레인별 아이 다이어그램 분석이 규정되어 있다. DSA70000 시리즈는 최신 주요 시리얼 버스 표준에 적합하게 구성된 시리얼 적합성 테스트 및 분석 도구 세트를 통해 아이(eye) 분석 속도를 높여준다.
    무결성 측정 분야의 특정 요구에 대응
    1세대 시리얼 버스 아키텍처는 대부분 2.5 Gb/s에서 3.125 Gb/s 사이에 데이터 전송 속도가 집중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속도는 현재의 4 ~ 5 GHz 오실로스코프로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신호 충실도 측정, 특히 상승 시간 평가의 경우 훨씬 높은 대역폭이 필요하며, 대부분의 표준 기구는 이러한 요구를 인지하고 있다. 대부분의 표준은 오실로스코프가 버스 작동 기반 주파수의 5차 고조파를 트랜스미터 핀에서 정확하게 획득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상승 시간 측정 정확도를 5% 이내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오실로스코프의 대역폭은 또한 아주 중요한 요소인 신호의 아이 다이어그램에도 영향을 준다. 이러한 업계 표준 오실로스코프 이미지는 적합성 및 검증 테스트의 초석으로, 하나의 포괄적인 화면에 1비트 또는 단위 시간의 데이터와 가능한 모든 에지 트랜지션 및 상태를 중첩 표시하는 이미지이다. 결과 화면에는 중앙에 있는 대략 6각형에 가까운 개방 영역을 둘러싼 다양한 파형 궤적이 표시된다. 이 도형이 바로 ‘아이(eye)’를 의미하며 개방 정도가 신호 품질의 척도가 된다. 시리얼 로직 장치가 데이터에 정확하게 응답하려면 아이 영역 내의 1과 0 상태를 분명하게 구분해야 한다. 아이 영역에서 성공/ 실패를 가려내기 위해 그래픽 ‘마스크’가 사용되기도 한다.
    오실로스코프의 대역폭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 신호를 포착할 때 최대 1 dB의 (수직) 진폭까지 롤오프(roll-off)될 수 있다. 이러한 손실은 대개 바이너리와 관련된 결정을 좌우하는 아이 다이어그램의 개방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충분한 대역폭은 아이 다이어그램 측정뿐 아니라 에지 측정의 경우에도 중요한 요소가 된다.
    텍트로닉스의 새로운 디지털 시리얼 분석기 DSA72004는 이러한 표준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타이밍 및 에지 측정에 필요한 대역폭을 제공한다. 이 제품의 대역폭은 20 GHz로(모든 채널에서 50 GS/s의 샘플링 속도 지원) 오늘날 점차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시리얼 버스의 전체 범위를 포괄하고 있다. 파형 에지의 10 ~ 90%는 DSA72004의 입력 상승 시간이 22 ps에 불과하다. 또한 DSP 기반의 대역폭 확장 기술로 최고 속도 1세대 시리얼 표준의 5차 고조파 범위까지 평탄한 주파수 성능을 제공하며. 대역폭 확장 기능은 또한 모든 채널에서 최적의 주파수 및 진폭 응답 매칭을 보장한다.
    고차 계층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는 8b/10b 프로토콜 트리거링
    DSA70000 시리즈는 업계 유일의 강력한 실시간 하드웨어 기능인 8b/10b 트리거링을 통해 설계자들이 프로토콜 관련 문제를 추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대부분의 시리얼 버스는 프로토콜 수준에서 ‘8b/10b’ 인코딩을 사용한다. 이 방식에서는 8비트 단어를 1과 0의 정연한 조합이 포함된 10비트 문자열로 매핑하여 클럭 복구와 오류 감지를 지원한다. 8b/10b 인코딩은 데이터와 제어 문자의 파운데이션을 제공한다. 개별 표준에는 이 공용 문자 세트를 기준으로 하는 고차 프로토콜 계층이 규정되어 있다.
    물리 계층 문제는 프로토콜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전송 로직 문제 또는 기타 문제로 인해 연결 계층과 같은 고차 계층에서 자체적으로 오류가 확산될 수 있다. 최근까지만 해도 프로토콜 획득은 전용 프로토콜 분석기의 영역이었지만 텍트로닉스는 최초로 TDS6000C 시리즈 초고성능 오실로스코프에 데이터 전송 속도가 최고 3.125 Gb/s에 달하는 8b/10b 트리거링 기능을 탑재하여 엔지니어들이 물리 계층 특성과 연계할 수 있는 고유 코드 조합을 포착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또한 DSA70000 시리즈에도 동일한 기능을 통합하여 이 신 모델은 프로브 작업이 가능한 모든 위치에서 8b/10b 트래픽을 디코딩할 수 있게 하였다.
    궁극적으로 트리거 조합은 40비트 스트림으로 구성되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트리거 파라미터를 비트, 단어 또는 문자별로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사용자들은 지루한 개별 비트를 다루는 대신에 8b/10b 트래픽의 기호 언어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다. 트리거는 입력 데이터에 실시간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설계자들은 주먹구구식으로 일정 구간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오류를 검색하는 대신 특정 오류 조건을 감지하도록 트리거를 설정할 수 있다. 오류 발생 이후에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신호 오류가 발생한 즉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간소화되며 문제 해결 시간이 단축된다.
    8b/10b 데이터가 포착되면 장비에 문자 및 단어 수준의 정보와 설명이 포함된 파형에 표시된다.
    * 신호 동작 및 10비트 기호 내용
    * 문자 및 해당 데이터 또는 기호 값
    * 원시 및 고차 구조와 같은 단어 수준의 정보
    디코딩된 8b/10b 신호 화면과 파형 화면이 동기화되므로 한쪽의 결과를 다른 쪽의 상황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단어 화면에 표시되는 오류를 물리 계층 신호 활동까지 거슬러 올라가 추적할 수 있다.
    결론
    신제품 DSA70000 시리즈 디지털 시리얼 분석기는 시리얼 버스 설계자들이 물리 계층 특성과 프로토콜 수준의 특성, 그리고 둘 사이의 상호 작용을 평가할 수 있는 솔루션에 대한 요구를 충족하는 제품이다. 또한 전체 대역폭에 탁월한 멀티 레인 포착 기능을 제공하므로 엔지니어들이 레인 사이에서 발생하는 혼선과 간섭으로 인한 문제를 확인하고 해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지터 측정을 모든 채널에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첨단 8b/10b 트리거링 기능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프로토콜 수준의 오류를 포착하고 디버그 과정에서 이를 물리(파형) 이벤트와 연계할 수 있다. DSA70000 시리즈는 파형 포착 기능과 순전한 프로토콜 기반 분석 도구 사이의 격차를 극복한 제품이다.
    < 자료제공: 한국텍트로닉스>
    아이씨엔 매거진 2007년 02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