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기반 가상화와 AI 통합..
로봇 기술의 미래를 재정의한다

민트로봇은 강형석 CEO의 주도로 CES 2025에서 클라우드 컴퓨팅과 로봇 기술을 통합한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정의 로봇(SDR; Software-Defined Robotics) 기술을 선보였다.
민트로봇의 컨테이너 기반 가상화 기술은 모션 컨트롤러, 내비게이션 컨트롤러, 통합 컨트롤러를 클라우드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해 실제 로봇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 가상 로봇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번 행사에서 민트로봇은 가상 메타버스 부스를 통해 자사의 기술력을 선보였으며, 독자적인 모션 컨트롤러, ROS Navi2 기반 내비게이션 컨트롤러, 인지 작업을 위한 AI 에이전트 엔진인 Fabric Mind 등의 핵심 혁신 기술을 강조했다.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 중심의 로봇 시스템의 미래 가능성을 입증했다.
민트로봇 강형석 CEO는 가상화 기술의 효율성을 강조하며, “이 기술을 활용하면 생산 전에도 다양한 기능을 검증할 수 있어 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NVIDIA 젠슨 황 CEO의 키노트에서 강조된 물리적 AI와 옴니버스(Omniverse) 디지털 트윈 플랫폼과 같은 산업 트렌드와도 일치한다.
민트로봇은 이러한 기술을 자사의 가상화 기술과 통합해 로봇 기술의 적용 범위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원통형 로봇 플랫폼으로의 전략적 전환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장악하겠다는 구상이다.
강형석 CEO는 “하드웨어는 기반이지만, 소프트웨어가 가치를 정의한다”고 밝히고, NVIDIA의 GeForce 하드웨어와 CUDA 소프트웨어의 성공 사례를 언급했다. 이 철학은 민트로봇의 CES 프레젠테이션에서도 잘 드러났으며,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화로운 통합을 통해 로봇 기술의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이 기사는 아이씨엔매거진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사를 아이씨엔매거진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